• 제목/요약/키워드: Grape-skin extract

검색결과 27건 처리시간 0.03초

포도껍질 추출물의 기능성 화장품 소재 특성 (Functional Cosmetic Characteristics of Grape Skin Extract)

  • 신은민;김주연;박시은;김창준
    • 청정기술
    • /
    • 제27권4호
    • /
    • pp.306-314
    • /
    • 2021
  • 포도껍질은 항산화 물질을 다량 함유한 유용자원임에도 불구하고 사람들은 포도의 과육만 섭취하고 포도껍질을 폐기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포도껍질 추출물을 기능성 화장품 원료로의 사용 가능성을 조사하였다. 건조된 포도껍질 분말을 증류수에 넣고 1 h 동안 교반시킨 후 고형물로부터 분리된 상등액을 추출물로 사용하였다. 추출 수율은 17.8 ~ 31.4%였고 추출물에 함유된 총 플라보노이드와 폴리페놀 함량은 각각 1.8 ~ 2.5 mg-QE g-extract-1와 16.9 ~ 20.3 mg-GAE g-extract-1였다. 추출물은 2,2-diphenyl-1-picrylhydrazyl (DPPH)와 Azino-bis (3-ethylbenzothiazoline-6-sulfonic acid) diammonium salt (ABTSTM) 라디칼을 효과적으로 제거하였고 소거정도는 추출물 농도에 따라 증가하였다. Collagenase의 콜라겐 가수분해 활성이 추출물에 의해 저해를 받았고 추출물 농도 증가에 따라 활성 저해율이 84.2%까지 증가하였다. 그러나 추출물에 의한 tyrosinase 활성 저해가 크지 않았다. 추출물에 편백수를 첨가함에 따라 tyrosinase 활성 저해율이 높아졌으나 DPPH 라디칼 소거활성은 오히려 감소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포도껍질 추출물은 항산화능과 주름개선 효능이 높은 반면 미백 효능은 낮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추출물에 편백수를 적절히 혼합함으로써 항산화능과 주름개선 효능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미백 효능도 향상되었다.

The Antioxidant Activity of Various Cultivars of Grape Skin Extract

  • Yoo, Mi-Ae;Kim, Jin-Sook;Chung, Hae-Kyung;Park, Won-Jong;Kang, Myung-Hwa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6권6호
    • /
    • pp.884-888
    • /
    • 2007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antioxidant properties of different cultivars of grape skin extract in an in vitro system. The extracts were prepared from eight grape cultivars: 'Campbell Early' (CE), 'Kyoho' (K), 'New Kyoho' (NK), 'Muscat of Alexandria' (MOA), 'Seibel' (S), 'Morgen Schow' (MS), 'Gold Finger' (GF), and 'Meru' (M). The total phenolic acid contents were highest in MS and K. Resveratrol content was high in NK (50.88 mg/l g of coat), and quercetin content was significantly higher in K (0.68 mg/l g of coat) than in the other grape species (0.21-0.44 mg/l g of coat). The K and MS grape species, in which total phenol content was comparatively high (K: $24.15\;{\mu}g/mL$, MS: $25.52\;{\mu}g/mL$), also showed a high level of electron donating activity (K, 53%; MS, 59%). The hydrogen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M (50.36%)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other grape species, including the S (50.21%), MS (49.43%), and K (49.06%) cultivars. Antioxidant activity varied depending on grape species, but overall it was highest in the MS and K cultivars.

Anti-obesity effect of resveratrol-amplified grape skin extracts on 3T3-L1 adipocytes differentiation

  • Zhang, Xian-Hua;Huang, Bo;Choi, Soo-Kyong;Seo, Jung-Sook
    •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 /
    • 제6권4호
    • /
    • pp.286-293
    • /
    • 2012
  • Resveratrol (3,4,5-trihydroxy-trans-stilbene), a phytoalexin found in grape skin, grape products, and peanuts as well as red wine, has been reported to have various biological and pharmacological propert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nti-obesity effect of resveratrol-amplified grape skin extracts on adipocytes. The anti-obesity effects of grape skin extracts were investigated by measuring proliferation and differentiation in 3T3-L1 cells. The effect of grape skin ethanol extracts on cell proliferation was detected by the MTS assay. The morphological changes and degree of adipogenesis of preadipocyte 3T3-L1 cells were measured by Oil Red-O staining assay. Treatment with extracts of resveratrol-amplified grape skin decreased lipid accumulation and glycerol-3-phosphate dehydrogenase activity without affecting 3T3-L1 cell viability. Grape skin extract treatment resulted in significantly attenuated expression of key adipogenic transcription factors, including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CCAAT/enhancer-binding proteins, and their target genes (FAS, aP2, SCD-1, and LPL). These results indicate that resveratrol-amplified grape skin extracts may be useful for preventing obesity by regulating lipid metabolism.

머루 과피 용매추출물의 항산화성 및 아질산염 소거작용 (The Antioxidative and Nitrite Scavenging Ability of Solvent Extracts from Wild Grape (Vitis Coignetiea) Skin)

  • 최선영;조현소;성낙주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5권8호
    • /
    • pp.961-966
    • /
    • 2006
  • 머루 과피 용매추출물의 전자공여 작용, 환원력, SOD 유사활성, TBARS 및 아질산염 소거작용을 측정하여 항산화 기능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총 페놀과 플라보노이드 함량이 가장 높은 ethyl acetate 추출물의 경우 전자공여 작용도 $100\;{\mu}g/mL$ 농도에서 $79.2{\pm}0.06%$로 BHT$(74.1{\pm}0.15%)$보다 더 활성이 높았고, 추출물의 농도에 비례하여 전자공여 작용과 환원력은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SOD 유사활성은 $100\;{\mu}g/mL$ 농도에서 ethyl acetate와 butanol 추출물에서 각각 $25.1{\pm}0.41%$$20.2{\pm}0.13%$로 다른 추출물에 비해 높은 활성을 보였다. $FeCl_2$$CuSO_4$에 대한 항산화 활성도 추출물의 농도가 높아짐에 따라 그 활성이 증가하는 경향이었는데, ethyl acetate 추출물은 ascorbic acid보다 항산화 활성이 높았다. 머루 과피 용매추출물의 아질산염 소거작용은 pH 2.5에서 ethyl acetate$(90.5{\pm}0.75%)$>butanol$(65.9{\pm}2.16%)$>hexane$(58.1{\pm}1.74%)$>chloroform$(55.4{\pm}1.02%)$>water$(40.9{\pm}0.35%)$ 추출물의 순으로 소거작용이 높았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머루 과피의 항산화 활성은 ethyl acetate 추출물에서 가장 우수하였다.

거봉 포도종의 에탄올 추출물 및 분획물에 대한 생리활성 효능 (Biological Activities of Ethanol Extracts and Fractions of Black Olympia Grape(Vitis Labruscana L.))

  • 박성진;박부길;이현용;오덕환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9권3호
    • /
    • pp.338-344
    • /
    • 2002
  • 본 연구는 포도 거봉종의 종자와 과피 추출물의 지질과산화 억제 효과와 암세포들에 대한 세포 독성을 살펴보았다. 추출 온도를 달리하여 추출한 종자와 과피의 에탄올 추출물과 추출물에 대한 분획물들을 이용하여 지질과산화물의 억제효과를 측정한 결과, 종자 및 과피 에탄올 추출물 모두 온도변화에 따른 영향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추출물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지질과산화물의 감소효과가 증가하였다. 종자 추출물의 경우, 3$0^{\circ}C$에서 추출한 에탄올추출물이 20 $\mu\textrm{g}$/$m\ell$ 농도에서 60.1%, 분획물 중에서는 ethyl acetate 분획물이 71.2%의 지질과산화를 억제하였다. 과피 에탄올 추출물의 경우, 5$0^{\circ}C$에서 추출한 추출물이 20 $\mu\textrm{g}$/$m\ell$ 농도에서 48.1%, 분획물 중에서는 hexane 분획물이 44.4%의 지질과산화를 각각 억제하였다. 암세포 생육 억제 효과에서는 모든 암세포(MCF-7, Hep3B 및 A549)에서 포도 종자 및 과피 에탄올 추출물 및 분획물들이 1.00 $\mu\textrm{g}$/ML 농도에서 대부분 50% 이상의 생육 억제율을 보였으며, 암세포에 대한 생육 억제와 정상 세포에 대한 selectivity에서는 종자 에탄올 추출물과 과피 에탄을 추출물간의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 결과, 거봉포도종자 및 과피의 에탄올 추출물들과 각 분획물은 지질과산화 억제 효과와 암세포들에 세포 독성이 캠벨종의 포도종자 및 과피에 비하여 낮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국내에서 재배한 포도 품종간의 이화학적 특성 비교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Different Grape Varieties Cultivated in Korea)

  • 안혁진;손홍석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4권3호
    • /
    • pp.280-286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동일한 조건하에 온실 재배하여 수확한 7종의 포도를 선발하여 품종간의 이화학적 특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포도의 당, pH, 총산도 등의 일반성분 분석과 HPLC를 이용한 유기산 분석, ICP-OES를 이용한 미네랄 분석을 실시하였다. 당도는 V. vinifera종이 V. labrusca종에 비해 $2-4^{\circ}Bx$ 정도로 높게 나타났고, Seibel 품종이 $20.93^{\circ}Bx$로 가장 높은 함량을 보였다. pH는 Chardonnay 및 Seibel 등이 4.01로 가장 높았으며, 총산도는 Steuben, Merlot, Cabernet Sauvignon 등이 0.9-1.0%로 다른 품종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Tartaric acid의 함량은 Merlot 품종이 과육과 과피에서 가장 높았으며, Steuben, Kyoho 품종은 상대적으로 낮은 함량을 보였다. Malic acid의 경우 Chardonnay와 Seibel 등의 백포도 품종이 적포도 품종에 비해 높은 함량을 보였다. Citric acid의 함량은 과육과 과피간의 유의적인 차이를 관찰할 수 없었고, Chardonnay와 Campbell Early의 과피에서는 검출되지 않았다. 미네랄 함량 중 potassium은 전체 미네랄 중 가장 높은 함량을 보였고, Chardonnay와 Seibel 등의 함량이 가장 높았으며, Steuben과 Campbell Early 등이 낮게 검출되었다. Calcium의 함량은 Kyoho 포도 품종이 가장 높았고, Magnesium의 함량은 Chardonnay가 가장 높았으며, Sodium의 함량은 Chardonnay, Seibel 등이 높게 나타났다. Chardonnay와 Seibel은 Calcium을 제외한 전체 미네랄 함량에서 모두 높은 수치로 검출되었다.

포도가공 부산물로부터 화장품용 항산화물질의 추출 및 분리 (Extraction and Isolation of Antioxidant Fraction from Waste of Grape Products for Cosmetic Application)

  • 김의진;이태호;신현재
    • KSBB Journal
    • /
    • 제24권5호
    • /
    • pp.477-482
    • /
    • 2009
  • 본 연구는 포도가공부산물로부터 유용성분을 추출하여 자원의 활용과 환경오염을 줄이고, 공정을 간결하게 하여 실제산업현장에서 이용할 수 있는 공정의 개발을 목적으로 하였다. 포도가공 부산물을 포도과피와 포도씨로 나누어 과피에서는 anthocyanin을 씨에서는 oligomeric proanthocyanidin (OPC)를 주 대상물질로 하여 추출하기 위한 공정을 개발하였다. 추출된 항산화물질은 HPLC를 이용하여 정량하였으며, 이들의 효능은 DPPH법, SOD법을 이용하여 대조군들과의 비교를 통하여 확인하였다. 두 방법 모두 포도씨 추출물의 효능이 포도과피 추출물보다 뛰어난 항산화도를 보였다. 이렇게 생산된 추출물을 이용하여 multiple lamella emulsion의 화장품 제형을 개발하였고 이 제형의 안전성과 안정성을 실험적으로 확인하였다.

머스커다인 포도 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균 활성 (Antioxidant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muscadine grape extracts)

  • 박미경;오준현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12-18
    • /
    • 2015
  • 본 논문은 미국 남부지역 특화작물인 머스커다인 포도의 부분별 추출물의 항산화능 및 항균활성을 구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Higgins, Jumbo, Noble 3종의 머스커다인 품종을 대상으로 하여 포도의 과피/과육부분과 종자부분을 추출하여 실험에 사용하였다. 각 추출물에 대하여, 항산화능은 총페놀함량 및 라디칼 소거능(Scavenging activity 및 $EC_{50}$)을, 항균활성은 E.coli K12에 대한 최소생육저해농도(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 MIC)를 조사하였다. 종자 추출물의 총페놀함량은 231.24~294.81 mg/mL GAE로 과피/과육 추출물에 비하여 높은 함량을 보였다. 또한 Higgins품종의 종자 추출물이 가장 우수한 라디칼소거능($EC_{50}=0.026mg/mL$)을 나타내, 종자추출물이 과피/과육추출물보다 우수한 항산화능을 보유하였다. 반면, E.coli K12에 대한 항균활성은 Higgins 품종의 과피/과육추출물이 40 mg/mL의 MIC를 보임으로써 가장 우수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머스커다인 포도 추출물이 천연 유래의 항산화 및 항균 기능성을 보유한 소재로 활용될 수 있는 잠재적 가치를 제시하였다.

Screening Biological Activities of Grape Seed and Skin Extracts of Campbell Early (Vitis labruscana B.)

  • Park, Sung-Jin;Lee, Hyeon-Yong;Park, Boo-Kil;Oh, Deog-Hwan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7권3호
    • /
    • pp.231-237
    • /
    • 2002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biological activities, such as lipid peroxidation inhibition, cytotoxicity, sun blocker, inhibition of tyrosinase, and antioxidative effect, of ethanol extracts, and of solvent fractionated ethanol extracts obtained from grape seeds and skins. The strongest lipid oxidative inhibition of 66.9% and 67.6% was observed respectively, in the presence of 20 $\mu\textrm{g}$/$m\ell$ of both ethanol extract and water fraction of grape seeds. Overall, the ethanol extracts and their fractions of grape seeds exhibited stronger lipid oxidative inhibition than that of skin extracts. On the other hand, the ethanol extracts of grape skins showed stronger cytotoxicity than that of seeds on MCF-7, Hep3B, and A549 cancer cell lines. However, the water fraction of seed ethanol extracts showed the strongest cytotoxic effect of 76.52% and 67.01% on MCF-7 and Hep3B, respectively among their fractions. Ethanol seed extracts obtained at 3$0^{\circ}C$ had the strongest absorbance both at UVA region (350 nm) and UVB region (308 nm) and the chloroform fraction showed the strongest absorbance at W region and butanol fraction at UVA region among their tractions, respectively. In the meantime, the ethanol extracts obtained at 3$0^{\circ}C$ and butanol fraction showed the strongest tyrosinase inhibitory effect of 39.4% and 37.6%, respectively. This study shows that ethanol extracts and their fractions of grape seeds and skins could be potential good materials for functional food and cosmetic products.

거봉 포도 종자 및 과피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Free Radical Scavenging Effect of Seed and Skin Extracts of Black Olympia Grape (Vitis labruscana L.))

  • 박성진;오덕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121-124
    • /
    • 2003
  • 본 연구는 거봉종 포도의 종자와 과피로부터 에탄올용매의 농도와 추출 온도변화에 의한 추출물의 수율의 차이와 그에 따른 free radical 소거 활성을 비교하였다. 각 분획물은 에탄올 추출물로부터 hexane 분획물, chloroform 분획물, ethyl acetate 분획물, butanol 분획물 및 물 분획물로 나누어 free radical 소거 활성을 $RC_{50}$으로 타나내었다. 추출 수율은 종자 및 과피 모두에서 추출 온도 $78^{\circ}C$, 에탄올 농도 100%에서 36.0%와 49.5%로 다른 온도와 농도 조건에 비하여 높은 수율을 나타내었다. 각 분획물 중에서는 물 분획물이 종자에서는 72.1%인데 비하여 과피에서는 92.7%로 다른 분획층에 비하여 많이 차지하였다. DPPH법에 의한 free radical 소거 활성에서는 종자의 경우, $78^{\circ}C$ 에탄올 추출물이 $RC_{50}\;=\;409.7\;{\mu}g/mL$이며, 분획물에서는 ethyl acetate층이 $RC_{50}\;=\;136.7{\mu}g/mL$로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과피의 경우, $78^{\circ}C$ 에탄올 추출물이 $RC_{50}\;=\;6528.8\;{\mu}g/mL$로, 분획물에서는 ethyl acetate층이 $RC_{50}\;=\;694.7\;{\mu}g/mL$로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으나, 물 분획물은 free radical 소거 활성을 보이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를 통하여 추출온도와 용매 온도에 따른 수율의 차이가 나타났으며 추출온도와 free radical 소거 활성의 효능은 별다른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반적으로, 본 연구 결과 종자 에탄올 추출물과 분획물 모두 과피 추출물보다 현저히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