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rain number per panicle

검색결과 215건 처리시간 0.025초

친환경 광역단지 내 젤라틴·키틴분해미생물을 이용한 유기 벼 생산 (Organic Rice (Oryza sativa L.) Production in Eco-friendly Complex using Gelatin·Chitin Microorganisms)

  • 최승희;차광홍;서동준;박흥규;권오도;안규남;이재학;김길용;정우진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629-647
    • /
    • 2018
  • 1. 유기재배구의 토양조건은 배수가 약간 불량한 미사질 양토인 전북통 보통답으로 유효규산이 높은 것을 제외하고는 우리나라 논토양의 화학적 성분과 평균 함량이 유사하였다. 2. 관행재배구와 유기재배구 간에 생육은 초장, 분얼수, 이삭수, 이삭길이 모두 관행재배구에서 높은 것을 확인하였으며 이삭당 입수와 등숙율은 유기재배구에서 다소 높게 나타났다. 3. 병해충 발생정도는 물바구미, 잎집무늬마름병, 혹명나방, 도열병이 유기재배구에서 많이 발생하였고, 이삭누룩병은 관행재배구에서 조금 더 많이 발생하였다. 4. 주요 관리대상 병해충인 잎집무늬마름병(y=-0.2848x+199.57, $R^2=0.704^*$), 혹명나방 발생(y=-0.1361x+92.535, $R^2=0.8049^*$)과 쌀 수량과의 관계에서 유의성이 높은 부의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5. 백미 품질은 유기재배구에서 파쇄미의 증가로 완전립 비율이 낮았지만, 단백질함량이 관행재배구에 비해 낮아 전반적인 품질 및 윤기치가 높아졌다. 6. 쌀 재배 순수익은 관행재배구에서 36만원/10a, 유기재배구에서 61만원/10a로 유기재배구의 순수익이 68% 높게 나타났다.

인공사막환경에서 벼 재배시 관개량에 따른 생육 및 수량 특성 변화 (Effect of Irrigation Amounts on Growth and Yield of Rice in Desert Climates)

  • 정기열;이상훈;정재혁;전현정;오승가;전승호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66권3호
    • /
    • pp.201-209
    • /
    • 2021
  • 본 연구는 사막기후에서 벼 재배시 지표점적관개 및 관개량에 따른 벼의 생육·수량 특성 및 물생산성을 알아봄으로써 적정 관개량 선정 및 사막기후환경에서 벼 관개시설 재배에 대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수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출수기 생육특성에서는 FL478, 아세미 모두 FC 100% 처리구에서 초장과 분얼수가 가장 길고, 많았고, 수확기 생육특성에서는 두 품종 모두 간장과 이삭장에서 FC 100% 처리구가 대조구에 비해 높거나 같았으나, 이삭수, 이삭당립수 및 등숙율은 대조구에서 가장 높았다. 2. 정조수량은 두 품종 모두 대조구에서 각각 1.40, 2.20 kg/Pot로 가장 높은 수량을 보였으며, 대조구 다음으로 FC 100%와 FC 120% 처리구가 대조구 대비 70% 이상으로 나타났다. 3. 관개량별 물생산성에서는 두 품종 모두 관개량이 가장 적었던 FC 80% 처리구가 각각 0.45, 0.63 kg/m3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FC 100% 처리구에서 각각 0.42, 0.59 kg/m3로 높게 나타났으나, 대조구 대비 약 14.3, 20.3% 더 높은 물생산성 평가를 보였다. 4.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두 품종간에 천립중과 정조수량을 제외한 간장, 수장, 주당 이삭수, 등숙률에서는 상관관계가 인정되지 않았으며, 관개량별에 따른 상관관계에서는 간장 그리고 수량구성요소인 수당립수, 등숙률에서 높은 양의 상관관계가 나타났으며, 정조 수량 또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따라서, 사막기후환경에서 벼 재배시 지표점적관개는 FC 100% 처리구가 일정 수량을 확보할 수 있고, 효율적인 관개량 관리도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분설경수(分薛莖數) 벼 생육(生育)과 주내(株內) 경쟁반응(競爭反應)에 마치는 영향(影響) (Effect of Tiller Number Per Hill On Growth and Competitive Response of the Rice Plant)

  • 서선교;이상철;제상률
    • Current Research on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 /
    • 제7권
    • /
    • pp.1-10
    • /
    • 1989
  • 수도(水稻) 주요(主要) 품종(品種)들의 분설상태(分薛狀態)에 따른 수도(水稻)의 생육변이(生育變異)와 수량구성요소(收量構成要素)의 변이양상(變異樣相)을 검토(檢討)하고 품종간(品種稈)의 반응(反應)을 비교(比較)하기 위해서 통일형(統一型) 품종(品種)인 삼강(三剛)벼와 칠성(七星)벼와 일본형(日本型) 품종(品種)인 낙동(洛東)벼와 팔공(八公)벼를 공시(供試)하여 pot당(當) 분설경수(分薛莖數)를 분설(分薛)되는 순서(順序)에 따라 1, 4, 7, 10 그리고 13개(個)씩 확보(確保)한 후(后) 출수후(出穗后) 20일(日)까지 과다분설경(過多分薛莖)을 인위적(人爲的)으로 제거(除去)하여 재배(裁培)한 후(后) 수량(收量) 및 수량구성요소(收量構成要素)를 조사(調査)하였던 바 그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분설경수(分薛莖數)가 증가(增加)함에 따라 주당수량(株當收量)은 감소(減少)되었으나 총수량(總收量)은 증가(增加)되었고 수량구성요소(收量構成要素)인 등숙율(登熟率), 천립중(千粒重)은 수수(穗數)가 10개(個)일때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13개(個)일때는 품종(品種)에 상관(相關)없이 감소(減少)하는 경향(傾向)이었으며 분설경수(分薛莖數)가 증가(增加)함에 따라 간장(稈長)은 낙동(洛東)벼, 칠성(七星)벼, 삼강(三剛)벼는 증가(增加)하였으나 팔공(八公)벼는 간장(稈長)의 변이(變異)에는 차이(差異)를 나타내지 않았다. 그러나 분설경수(分薛莖數)에 따른 지엽(止葉)의 길이는 분설경수(分薛莖數)가 1개(個)일때 지엽(止葉)의 길이가 짧아졌다. 분설경수(分薛莖數)가 l개(個)일때에는 여러개(個)에 비(比)해 출수기(出數期)가 지연(遲延)되는 현상(現像)을 나타내었지만 분설경수(分薛莖數)가 4개이상(個以上)일때는 출수기(出穗期)의 차이(差異)를 뚜렷하게 볼 수가 없었다. 한편 출수소요기간(出穗所要期間)은 품종간(品種間)의 차이(差異)는 뚜렷하였지만 분설경수(分薛莖數)에 의(依)한 변이(變異)를 나타내지 않았다. 수확지수(收穫指數)는 품종간(品種間)에 통일형(統一型) 품종(品種)인 칠성(七星)벼와 삼강(三剛)벼가 일본형(日本型) 품종(品種)인 팔공(八公)벼와 낙동(洛東)벼 보다 높았고, 분설경수(分薛莖數)가 증가(增加)함에 따라 수확지수(收穫指數)도 증가(增加)하는 경향(傾向)이었다. 경쟁반응지수(競爭反應指數)와 등숙율(登熟率)과 수확지수간(收穫指數間)에는 높은 상관(相關)을 나타내었으며 경쟁지수(競爭指數)와 수장(穗長)과 수량간(收量間)에는 부(負)의 상관(相關)을 나타내었다.

  • PDF

Influence of the application of Tithonia diversifolia and phosphate rocks on the performances of rainfed rice

  • Rusaati, Butoto Imani wa;Kang, Jun-Won;Gendusa, Patience Arusi;Bisimwa, Pacifique Bulakali;Kasali, Joseph Lumande;Rolly, Nkulu Kabange;Park, Joowon;Rehema, Esther Matendo;Ndabaga, Cephas Masumbuko;Kaboyi, Gentil Iragi;Nankafu, Orleanne Nangalire;Chirimwami, Anastasie Bahati
    • 농업과학연구
    • /
    • 제47권3호
    • /
    • pp.403-414
    • /
    • 2020
  • Gradient concentrations of Tithonia diversifolia green leaves and phosphate rocks were used to investigate their contributions as a fertilizer to the yield and quality improvement of a rainfed rice cultivar. Six treatments were compared: (1) T0, no fertilization (control); (2) T1, 1.28 g of phosphate rocks; (3) T2, 250 g of organic matter; (4) T3, 500 g of organic matter; (5) T4, 250 g of organic matter + 1.28 g of phosphate rocks; (6) T5, 500 g of organic matter + 1.28 g of phosphate rock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germination percentage recorded 15 days after sowing varied from 58 - 76% between T0 and T5. The number of panicles ranged between 2 (T0) to 6.3 (T5). Moreover, the recorded length of the panicles ranged between 7.5 (T1) to 15.8 cm (T2), and the number of grains per panicle ranged between 25.5 (T1) to 273.5 (T3). The plant height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T5 (79.27 cm) group compared to the T1 (33.63 cm) and control treatment (T0) (40.08 cm) groups. Although the plant height in the T2, T3, and T4 groups was slightly lower than the T5 group, the differenc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average of the grain number per plant was high in the T3 (273.6 grains) group compared to the T1 and T0 (25.5 and 32.8 grains) groups, respectively.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combination of T. diversifolia leaves and phosphate rocks as a natural fertilizer would be beneficial when integrated into soil fertility management strategies and would contribute to improving crop yield and quality.

Fusarium moniliforme의 Strain 별(別) 육묘상(育苗床)과 본답(本畓)에서 병(病) 발생(發生)과 피해(被害) 해석(解析)에 관한 시험(試驗) (Pathogenicity in Nursery Box and Symptom Appearance and Yield Damage in Paddy Field by Each Strain of Fusarium moniliforme)

  • 성재모;양성석;이은종
    • 한국균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65-73
    • /
    • 1984
  • Fusarium moniforme의 4가지 Strain중 Strain IV가 가장 병원성(病原性)이 강(强)하면서 유묘(幼苗)를 도장시키면서 고사(枯死)시키었다. 이병주(罹病株)는 Strain에 관계없이 밀양 23호와 남풍벼는 mesocotyl를 형성하였으나 삼남벼와 진주벼는 mesocotyl를 형성하지 않았다. Mesocotyl를 형성하는 밀양 23호와 남풍벼는 포장에서 건전화(健全化)되었으나 mesocotyl를 형성하지 않는 삼남벼와 진주벼는 대부분 고사(枯死)하였다. 이병(罹病)된 부위(部位)에서 병원균(病原菌)을 분리(分離)한 결과(結果)가 Strain IV가 가장많이 분리(分離)되었으며 분리부위(分離部位)는 벼전체에서 분리(分離)되었다. 키다리병출현(病出現)은 Strain IV에 이병(罹病)된것이 가장많이 본답(本畓)에서 키다리증상(症狀)을 보였으며 주당(株當)분얼수와 수량도 Strain IV에 이병(罹病)된 것은 상당히 감소 되는 경향이었다.

  • PDF

벼 자포니카와 통일형 품종간 광전역에 따른 엽신의 광합성특성 차이 (Effect of Light Pretreatment on Photosynthetic Characteristics of Leaf Blade in Japonica and Tongil Type Rice)

  • 허훈;류경열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9권4호
    • /
    • pp.307-316
    • /
    • 1994
  • 광전역이 수도엽신의 광합성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코져 일반형 2품종(추청벼, 화진벼)과 통일형 2품종(삼강벼, 칠성벼)에 대하여 분얼기에서 출수기에 이르는 기간동안 무처리, 30%, 70% 차광처리하여 분얼기와 출수기에 고저 광도 조건하에서 광합성 특성 및 이와 관련한 생리, 생태적 특성을 검토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차광처리에 의한 건물중의 감소는 70% 차광처리구에서 많았으며, 분얼기보다 출수기가 현저하였고, LAR 및 SLA도 출수기에 높았다. 2. 분얼기 저광도(5Klux)하의 개체의 광합성 능력은 낮은 편이며, 무처리<30%<70% 차광처리의 순이었고, 고광도(33Klux)하에서는 무처리구 보다 30% 차광처리구가 가장 높았다. 3. 출수기에 단엽의 광합성 능력은 무처리에 비하여 70%차광처리구가 오히려 높았다. 4. 광합성에 대한 호흡비율(Respiration/Photosynthesis${\times}$100)은 무처리구에 비하여 차광처리구에서 전반적으로 낮았다. 5. CGR, RGR, NAR은 무처리구에 비하여 차광정도가 높을수록 감소하였다. 6. 차광처리는 수량 구성요소중 특히 1수 영화수를 감소시켜 정조수량이 감소되고, 따라서 수확지수도 저하되었다.

  • PDF

수도에 대한가리분시에 관한 연구 -가리의 분시시기에 관하여- (Studies on the Effect of Potassium Split Application on Paddy -On the Time of Potassium Split Application-)

  • 오왕근;이상범;박찬호;김성배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17권
    • /
    • pp.143-148
    • /
    • 1974
  • 수도'진흥'에 대한 가리의 분시시험을 습도 및 동답의 작토를 담은 폿드에서 실시하여 얻은 수량과 수량구성요소를 분석검토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가리의 분시회수와 분시하는 시기에 따라 벼의 수수와 임실립수(1000립중이 27.8g인 것으로 환산한 수)는 달라지는데 석회나 생고를 시용하지 않은 원토에서는 가리를 유수형성기와 출수기에 결시했을 때의 임실립수가 크게 적어져서 상조수량이 낮아지고, 원토에 석회를 시용했을 때는 분시회수가 늘어서 기비에 들어가는 가리량이 적을수록 수수가 적어져서 수량이 낮아졌다. 원토에 생고를 시용했을 때는 석회를 시용했을 때와 비슷한 경향이었다(폿드시험). 2. 유효분고기에 가리를 추비하는 것은 수수를 증가하는 대신, 임실립수를 감소시켜 오히려 수량을 감소하는 것 같았다(폿드시험). 3. 정보와 생고를 생산량으로 본 자연습답(포장시험)에서의 가리 분시효과는 그 크기가 현저하지 않으나, 석회생고를 시용하지 않고 원토 그대로를 가지고 시험했을 때와 유사한 경향이었다. (1과2항참조). 4. 수수와 임실립수간에는 서로 역상관이 있는데 원토에서는 예각의 직선관계를 석회나 생고를 시용했을 때는 원만한 곡선관계를 후자가 벼의 다수확에 위험성이 적었음을 암시하였다. 5. 생고의 시용이 석회의 시용과 유사한 결과를 보인 것은 폿드시험이란 조건외에 생고가 가리를 공급했기 때문으로 여겨졌다.

  • PDF

우리나라 재래벼의 작물학적 특성 (Agronomic Characteristics of Korean Landrace in Rice)

  • 강희경;안대환;박용진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75-90
    • /
    • 2003
  • 우리나라의 재래벼 192품종을 공시하여 다양한 작물학적 특성을 평가하고 양적 형질간의 상근관계를 검토하여 유기농업 및 친환경농업에 적합한 품종을 선발하고 추후 이를 품종육성의 소재로 활용하고자 실험을 수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재래벼는 파종에서 출수까지 평균 111.1일이 소요되어 중생종에 속하는 품종이 많았고 초장과 간장은 일반 재배 품종에 비하여 대부분 20∼40cm 정도 컸다. 2. 엽폭과 이삭의 평균 길이는 각각 1.3cm, 22.4cm이었고 주당 이삭수는 평균 10개로 소얼성의 특성을 나타내었으며, 현미의 장폭비는 평균 1.7이었고 장립종도 일부 존재하였으며 천립중은 평균 21.6g이었다. 3. 재래벼의 양적 형질간 상관관졔는 간장과 수장, 엽폭, 출수기간에는 고도로 유의한 정의 상관이 있었으며, 출수기와 천립중 간에는 고도로 유의한 부의 상관이 존재하였다. 4. 간강도는 27.1%가 약한 특성을 나타내었고 엽신과 엽초의 색은 3.6%가 자주줄무늬를 나타냈으며 엽각와 지엽각도는 직립형이 각각 46.9%, 10.9%이었고 엽노화도는 지연형이 24.0%이었다. 5. 재래벼의 74.5%가 까락이 있었고 찰벼는 20.3%, 갈색종피는 4.2%가 존재하였으며, 주두색, 영색, 부선색 및 망색은 백색, 갈색, 적색 및 자색 등 다양한 색이 존재하였다.

  • PDF

서남부 간척지에서의 고품질 쌀 생산을 위한 적정 질소시비량 (Proper Nitrogen Fertilizer Level for Improving the Rice Quality at Reclaimed Saline Land in the Southwestern Area)

  • 백남현;최원영;고종철;남정권;박홍규;정진일;김상수;박광근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0권spc1호
    • /
    • pp.46-50
    • /
    • 2005
  • 서남부 간척지에서 고품질 쌀 생산을 위한 생태형별 적정 질소시비량을 구명하고자 2003년과 2004년에 호남농업연구소 계화도출장소 시험포장 문포통(세사양토, 토양 염농도 $0.1\%$)에서 삼천벼, 화성벼, 남평벼를 공시하여 질소시비량에 따른 벼 생육, 수량구성요소, 수량 및 품질 관련형질을 검토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단위면적당 수수와 영화수는 질소시비량이 증가할수록 많았으나 등숙비율이 낮았으며 현미천립중도 가벼웠다. 2. 백미의 완전립비율은 질소시비량이 많을수록 낮아졌고, 단백질 함량은 질소시비량이 증가됨에 따라 다소 높아지는 경향이었으나 아밀로스함량은 질소시비량간에 별 차이가 없었다. 3. 완전미 수량은 삼천벼가 질소 12/10a수준까지, 화성벼와 남평벼는 11/10a 수준까지는 증수되었으나 그 이상의 질소시비량에서는 수량차이가 인정되지 않았다. 4. 따라서 서남부간척지에서 벼 기계이앙재배시 완전미 수량, 등숙비율 및 미질 등을 고려한 10a당 적정 질소시비량은 $11\~12$으로 판단된다.

Paclobutrazol처리(處理)가 수도생육(水稻生育) 및 도복(倒伏) 관련형질(關連形質)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 of Paclobutrazol Application on the Growth and Characters Related with Lodging of Paddy Rice Plant)

  • 임일빈;이선룡;김종호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8권3호
    • /
    • pp.324-329
    • /
    • 1988
  • 생장조정제(生長調整劑) paclobutrazol를 수도(水稻) 출수전(出穗前) 35, 25, 15일(日)에 10a당(當) 12, 18, 24 g씩 처리(處理)하여 도복(倒伏)에 관련(關連)된 형질(形質)과 생육(生育) 및 수량(收量)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구명(究明)하고자 1985년(年) 본(本) 시험(試驗)을 실시(實施)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Paclobutrazol을 출수전(出穗前) 35, 25, 15일(日)에 처리(處理)한 결과(結果) 간장단축율(稈長短縮率)은 각각(各各) 12, 9, 7% 정도(程度)였으며, 35일(日) 처리(處理)는 $N_4$ 이상(以上), 25일(日) 처리(處理)는 $N_3$ 이상(以上) 15일(日) 처리(處理)는 $N_2$ 이상(以上)의 절간(節間)을 많이 단축(短縮)시켰고 각(各) 처리시간(處理時間) 공(共)히 처리량(處理量)이 많을수록 단축(短縮)시키는 정도(程度)가 컸다. 2. Paclobutrazol 처리(處理)는 간경(稈經), 간벽(稈壁)의 두께, 간(稈)의 횡단면적(橫斷面積)을 크게 하였다. 3. Paclobutrazol 처리(處理)는 도복지수(倒伏指數)가 낮았으며 도복(倒伏)이 되지 않았다. 4. 출수전(出穗前0 35일(日)에 paclobutrazol 처리(處理)는 영화수(潁花數)를 크게 감소(減少)시켰고 출수전(出穗前) 25일(日) 처리(處理)도 약간(若干) 감소(減少)시켰으며 처리량(處理量)이 많을수록 영화수(潁花數) 감소(減少)도 컸다. 5. 수량(收量)은 paclobutrazol 처리(處理)가 도복(倒伏)이 되지 않아 등숙비율(登熟比率)이 높아 무처리(無處理)에 비(比)하여 5~8% 높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