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rafting

검색결과 1,530건 처리시간 0.032초

고구마 품종 간 이면접목에 의한 생산능력과 저장능력 (Source and Sink Relationship in Diallell Grafting among Sweet potato Cultivars)

  • 남상영;정승근;김인재;김민자;이철희;김태수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89-93
    • /
    • 2001
  • Source와 Sink의 차이가 있는 고구마 품종간 이면 접목을 통하여 수량에 미치는 source와 sink의 상대적 기여도를 구명함으로서, 고구마의 품종육성 및 재배법개선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율미, 신율미, 건미, 홍미 및 선미의 5품종을 공시하여 저장능력과 생산능력을 분석 하였다. 1.경엽중과 괴근중에 대한 일반접목효과(GGE), 특정접목효과(SGE) 및 정역접 목 효과(RCE)가 모두 고도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2 총 건물중은 접목에 의하여 감소되었으며, 접목조합에 따라서 차이가 있었다. 3. 생산능력은 접수 그리고 저장능력은 대목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 4.신율미는 잠재생산능력과 잠재저장능력이 높아, 총 건물중이 많았으며, 홍미와 율미는 잠재생산능력이 낮아 총 건물중이 적었다.

  • PDF

고구마 품종간 이면접목이 생육과 수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Reciprocal Grafting on Growth and Yield of Sweet potato)

  • 남상영;정승근;김인재;김민자;이철희;김태수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6권3호
    • /
    • pp.176-179
    • /
    • 2001
  • Source와 sink의 상대적 크기가 다른 고구마 품종간 이면접목을 통하여 생육에 미치는 고구마의 source와 sink의 상호관계를 분석함으로써, 고구마의 품종육성 및 재배법개선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수행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만장, 괴근수는 접목에 의하여 감소되었으며, 접목조합에 따라서 차이가 있었다. 2. 지상부의 생육은 접수, 지하부의 생육은 대목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 3. 주만장과 괴근수에 대한 접목효과, 접수와 대목의 효과와 이들 간의 상호작용은 모두 유의성이 있었다. 4. 상저비율은 보통삽식>자가접목>이면접목 순으로 높았다.

  • PDF

방사선에 의한 폴리에칠렌의 난연성전선 및 케이블에 관한 연구 (Applications of Irradiation to Polyethylene for Flame Retarded Wire and Cable Insulation)

  • Young Kun Kong;Hoon Seun Chang;Chong Kwang Lee;Jae Ho Choi
    •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13권4호
    • /
    • pp.245-253
    • /
    • 1981
  • 고분자피복재 중 polyethylene은 전기적 절연성 및 내방사선성이 좋으나 난연성이 결여되어 있으므로 이 단점을 개질하였다. 방사선을 이용하여 polyethylene에 여러 종류의 난연제를 고착시켰는데 grafting 방법과 blending후 crosslinking 방법을 사용하였다. 일반적으로 grafting시키는 경우 시료에 난연제가 고착되는 량은 방사선선량이 증가할수록 증가하였다. Grafting 방법으로 polyethylene에 난연제를 고착시킬 때 시료를 팽윤(swelling)시켜서 난연제를 grafting시켜야 한다. Blending 한 후 crosslinking시킨 경우 시료와 난연제의 량을 자유롭게 조절하여 blending하여 crosslinking시킬 수 있는 이질이 있다. 난연제를 고착시키는 2가지 방법중 blending후 crosslinking 시키는 방법이 가장 바람직하다.

  • PDF

협착이 발생된 관상동맥에 대한 이식우회로술의 효과분석 (Analysis of Bypass Grafting Effects in Stenosed Coronary Arteries)

  • 김형호;서상호;이정상
    • 대한기계학회논문집B
    • /
    • 제36권2호
    • /
    • pp.153-159
    • /
    • 2012
  • 협착이 발생된 관상동맥의 치료를 위해 외과적인 수술방법으로는 이식우회로술이 많이 사용된다. 이식우회로술 시술 시 개존율 향상을 위해서는 최적의 혈관 문합 시술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Y-grafting bypass 와 T-grafting bypass 시술의 효과와 분지각도 및 문합각도 변화에 따른 문합효과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기하학적 형상을 최적화하고 각각의 기하학적 형상에 대해 혈류역학적 특성을 비교분석하였다. 이식혈관의 분지각도와 문합각도가 각각 $30^{\circ}$$15^{\circ}$일 경우에 LAD 와 LCX 쪽 모두 혈류량이 고르게 분배됨을 확인하였다.

Grafting of Glycidyl Methacrylate upon Coralline Hydroxyapatite in Conjugation with Demineralized Bone Matrix Using Redox Initiating System

  • Murugan, R.;Rao, K.Panduranga
    • Macromolecular Research
    • /
    • 제11권1호
    • /
    • pp.14-18
    • /
    • 2003
  • Grafting of glycidyl methacrylate (GMA) upon coralline hydroxyapatite in conjugation with demineralized bone matrix (CHA-DBM) using equal molar ratio of potassium persulfate/sodium metabisulfite redox initiating system was investigated in aqueous medium. The optimum reaction condition was standardized by varying the concentrations of backbone, monomer, initiator, temperature and time. The results obtained imply that the percent grafting was found to increase initially and then decrease in most of the cases. The optimum temperature and time were found to be 50 $^{\circ}C$ and 180 min, respectively, to obtain higher grafting yield. Fourier transform infrared (FT-IR) spectroscopy and X-ray powder diffraction (XRD) method were employed for the proof of grafting. The FT-IR spectrum of grafted CHA-DBM showed epoxy groups at 905 and 853 $cm^{-1}$ / and ester carbonyl group at 1731 $cm^{-1}$ / of poly(glycidyl methacrylate) (PGMA) in addition to the characteristic absorptions of CHA-DBM, which provides evidence of the grafting. The XRD results clearly indicated that the crystallographic structure of the grafted CHA-DBM has not changed due to the grafting reaction. Further, no phase transformation was detected by the XRD analysis, which suggests that the PGMA is grafted only on the surface of CHA-DBM backbone. The grafted CHA-DBM will have better functionality because of their surface modification and hence they may be more useful in coupling of therapeutic agents through epoxy groups apart from being used as osteogenic material.

친환경 응집제의 제조에 있어서 그래프팅 및 그래프팅효율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들 (Factors Affecting Grafting and Grafting Efficiency in the Preparation of Environment Friendly Flocculant)

  • 민성기;박찬영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105-112
    • /
    • 2014
  • With the incorporation of hydrogen peroxide($H_2O_2$) and NaLS as an initiator and emulsifier, acrylic acid monomer was graft copolymerized with sodium alginate prepared from alginic acid, and then the grafted copolymer was confirmed through IR spectrometer. When the amounts of acrylic acid increased the grafting also showed increasing trend. While the contents of hydrogen peroxide was varied in the aqueous sodium alginate solution, the grafting efficiency decreased gradually as the amounts of initiator increased.

Secondary bone grafting for alveolar clefts: surgical timing, graft materials, and evaluation methods

  • Kim, Junhyung;Jeong, Woonhyeok
    • 대한두개안면성형외과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53-58
    • /
    • 2022
  • Alveolar cleft belongs to the spectrum of cleft lip and/or palate, affecting 75% of cleft lip/palate patients. The goals of alveolar cleft treatment are stabilizing the maxillary arch, separating the nasal and oral cavities, and providing bony support for both erupting teeth and the nasal base via the piriform aperture. Secondary alveolar bone grafting is a well-established treatment option for alveolar cleft. Secondary alveolar bone grafting is performed during the period of mixed dentition using autologous bone from various donor sites. There are several issues relevant to maximizing the success of secondary alveolar bone grafting, including the surgical timing, graft material, and surgical technique. In this study, we reviewed issues related to surgical timing, graft materials, and evaluation methods in secondary alveolar bone grafting.

삽접법을 이용한 기계접목 메카니즘 연구 (Mechanism of a grafting machine using the insertion method)

  • 박규식;이기명;김주엽
    • Current Research on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 /
    • 제15권
    • /
    • pp.115-122
    • /
    • 1997
  • 과채류의 재배에 있어서 접목은 작물의 안정적인 생산과 품질 향상을 위해 없어서는 안되는 기술이다. 그러나 지속적인 숙련 노동력의 감소와 농촌 인구 노령화 등으로 나타나는 노동력 부족 현상은 집목묘의 대량생산 공급에 어려움이 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계접목에 있어서 접목법이 간단하며 접합부자재가 불필요한 삽접법을 이용하는 기계접목 메카니즘 개발의 기초연구를 수행하였다. 트레이상의 육묘상태에서 자동으로 접목하기 위한 기계접목의 기초연구로써 1본씩 수동 공급하는 반자동 기계삽접의 메카니즘 개발에 관한 연구로서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접합부자재를 사용하지 않고 대부분 과채류에 적용가능한 삽접 기계접목장치의 메카니즘을 구성하였다. 2. 오이를 접수로 하고 신토좌와 흑종을 대목으로 하는 기계접목시험에서 모두 98%의 접목성공율을 나타냈다. 3. 1본 수동 공급에 의한 기계접목 시스템은 10초 정도로 접목 성능은 저조하지만 기계접목 메카니즘의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 PDF

Adipose-Derived Stem Cells Improve Efficacy of Melanocyte Transplantation in Animal Skin

  • Lim, Won-Suk;Kim, Chang-Hyun;Kim, Ji-Young;Do, Byung-Rok;Kim, Eo Jin;Lee, Ai-Young
    • Biomolecules & Therapeutics
    • /
    • 제22권4호
    • /
    • pp.328-333
    • /
    • 2014
  • Vitiligo is a pigmentary disorder induced by a loss of melanocytes. In addition to replacement of pure melanocytes, cocultures of melanocytes with keratinocytes have been used to improve the repigmentation outcome in vitiligo treatment. We previously identified by in vitro studies, that adipose-derived stem cells (ADSCs) could be a potential substitute for keratinocytes in cocultures with melanocytes. In this study, the efficacy of pigmentation including durability of grafted melanocytes and short-term safety was examined in the nude mouse and Sprague-Dawley rat after grafting of primary cultured human melanocytes, with or without different ratios of primary cultured human ADSCs. Simultaneous grafting of melanocytes and ADSCs, which were separately cultured and mixed on grafting at the ratios of 1:1, 1:2, or 1:3, showed better efficacy than that of pure melanocytes. Grafting of melanocytes cocultured with ADSCs resulted in a similar outcome as the grafting of cell mixtures. Skin pigmentation by melanocytes : ADSCs at the ratios of 1:1 and 1:2 was better than at 1:3.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between the 1-week and 2-week durations in coculturing. Time-course microscopic examination showed that the grafted melanocytes remained a little longer than 6-week post-grafting. No inflammatory cell infiltration was observed in the grafted skin and no melanocytes were detectable in other organs. Collectively, grafting of melanocytes and ADSCs was equally safe and more effective than grafting of melanocytes alone. Despite the absence of significant differences in efficacy between the group of 1:1 and that of 1:2 ratio, 1:2 ratio for 1-week coculturing may be better for clinical use from the cost-benefit viewpoint.

방사선 그래프트에 의한 반투막 제조연구 (Preparation of Permselective Membrane by Mean of a Radiation-Induced Grafting)

  • Young Kun Kong;Hoon Seun Chang;Chong Kwang Lee;Jae Ho Choi
    •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15권1호
    • /
    • pp.1-10
    • /
    • 1983
  • Grafting과 주형용액 성분의 조절에 의한 붕괴 반웅과 방사선애 의한 graft 중합의 공간적 변화는 발견되지 않았다. 스틸렌-셀루로즈 아세테이트 grafts의 내절연성은 스틸렌 함량이 증가할수록 증가한 반면 친수성 단량체에 관한 grafts는 확실한 효과를 나타내지 않았다. 동시 조사법에 의해 graft된 셀루로즈 아세테이트막과 비교해 보면 전조사법에 의해 graft된 막은 ${\gamma}$선 또는 전자선의 방사선선량과 graft %에 관계없이 거의 변하지 않았다. VP:St: BPO 시스템내 디비닐벤젠 (DB) 또는 트리메틸프로판트리아크레이트(TMPT) 같은 가교제의 혼합으로 점차 graft %는 증가되었다. 셀루로즈 아세테이트막에 대한 St:VP:BPO 용액의 grafting에 관한 활성화 에너지는 55$^{\circ}$-8$0^{\circ}C$에서 약 21.8Kca1/mole이었다. Grafting의 초기속도 (%/hr)는 선량강도의 0.76 승에 비례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