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rafting

검색결과 1,531건 처리시간 0.032초

Graft 공중합에 의한 생사 Sericin 정착 (Sericin- Fixation of Raw Silk by Graft Copolymerization)

  • 김신덕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40-44
    • /
    • 1978
  • 1. 개시제농도에 따른 graft 율의 변화를 보면 CAN농도가 0.003M 일 때 최대를 나타내었다. 2. 단량체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graft 율이 상승함을 보였다. 3. HNO$_3$농도 0.lM 부근에 서 graft 율의 최대가 인정되었다. 4. 반응온도가 높아짐에 따라 graft 율이 상승하나 5$0^{\circ}C$ 이상이 되면 homopolymer 의 생성이 많아 비 효율적이다. 5. 중합시간이 1 시간 이상이 되면 graft 율이 급격히 상승함을 보이고 있다. 6. CAN 의 농도가 작을수록 연감율이 작게 나타났다. 7. graft 율이 20% 이상이 되면 sericin 이 대부분 정착되었다.

  • PDF

A review of complications of maxillary sinus augmentation and available treatment methods

  • Kim, Joongmin;Jang, Hyonseok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ons
    • /
    • 제45권4호
    • /
    • pp.220-224
    • /
    • 2019
  • Maxillary sinus grafting is a dependable procedure that has been in use for a long time. However, clinical complications often arise. To prevent complications of maxillary sinus grafting, it is necessary to know the contra-indications, both for general implantation and for maxillary bone grafting. In addition, presence of various complications requires careful consideration of treatment method; therefore, dentists should be familiar with the treatment protocols. Complications can be divided into postoperative, immediate postoperative, and delayed postoperative complications. Particularly for the outpatient, it is necessary to quickly distinguish between treatable cases and cases for which transfer is required. The purpose of this review is to discuss the contra-indications, complications, and treatment options for complications of maxillary sinus graft.

Therapeutic Effect of Autologous Activated Platelet-rich Plasma Therapy on Mid-dermal to Full-thickness Burns: A Case Series

  • Karina, Karina;Ekaputri, Krista;Biben, Johannes Albert;Hadi, Pritha;Andrew, Hubert;Sadikin, Patricia Marcellina
    • Archives of Plastic Surgery
    • /
    • 제49권3호
    • /
    • pp.405-412
    • /
    • 2022
  • Although modern medicine has made great strides in the management of burn injuries, associated complications such as pain, infection, dyspigmentation, and scarring have yet to be fully dealt with. Although skin grafting and meshing are routinely performed on burn patients, this method poses a risk for adverse effects. Activated autologous platelet-rich plasma (aaPRP), which is increasingly used in the field of plastic surgery, contains growth factors beneficial for wound regeneration. Seven cases of burns with varying severity and conditions that were treated with intralesional subcutaneous injection and intravenous aaPRP are presented and discussed herein. This case series indicates that subcutaneous and intravenous aaPRP is a safe procedure with the potential to be an alternative when skin grafting cannot be done or as an adjunct treatment to skin grafting.

허혈성 심근질환(좌심실박출지수${\leq}$35%) 환자에서 관상동맥우회술의 조기와 중기 결과 (Early and Midterm Results of Coronary Artery Bypass Grafting in Patients with Ischemic Cardiomyopathy ${(LVEF{\leq}35%)}$)

  • 조성우;이영탁;최진호;김시욱;박계현;박표원;성기익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9권8호
    • /
    • pp.604-610
    • /
    • 2006
  • 배경 : 최근 중재적 시술과 심부전에 대한 내과적 치료의 발전으로 관상동맥우회술의 대상이 되는 허혈성 심근질환을 가진 환자들이 늘어나고 있다. 우리는 좌심실 기능이 감소된 이러한 환자들에 시행 된 관상동맥우회술의 결과를 후향적으로 분석하여 중단기 결과를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2001년 1월부터 2005년 6월까지 관상동맥우회술을 시행 받은 1,143 명의 환자 중 죄심실박출지수가 35% 이하인 환자는 144명이었다. 인공심폐기를 사용하지 않고 관상동맥우회술(‘off-pump’ coronary artery bypass grafting, OPCAB) 을 시행한 경우가 66예(45.8%), 인공심폐기를 사용하고 뛰는 심장에서 관상동맥우회술(on-pump beating heart coronary artery bypass grafting)을 시행한 경우가 34예(23.6%), 전통적인 관상동맥우회술(conventional coronary artery bypass grafting)을 시행한 경우가 44예(30.6%) 였다. 동반된 심장수술로는 승모판륜 성형술을 포함하여 35명(24.3%)의 환자들에서 48건이 시행되었다. 결과: 환자당 원위 문합수는 $3.5{\pm}1.3%$개였고 술 후 중환자실 체류기간과 재원기간의 중간값은 각각 2일과 8일이었다. 조기 사망은 6명(4.2%)으로 심실성 빈맥으로 인한 경우가 5명, 소장경색이 1명이었다. 평균 추적기간은 $21{\pm}14%(2{\sim}54$개월)였다. 1년 생존율은 $95{\pm}2%$, 3년 생존율은 $83{\pm}7%$였고 심장관련 event-free 1년, 3년 생존율은 각각 ${88{\pm}3%,\;69{\pm}7%}$였다. 결론: 만족할 만한 중단기 결과에 따라 허혈성 심근질환에서도 적극적으로 관상동맥우회술이 시행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되며 술 후 심실성 빈맥에 대한 치료를 집중적으로 시행한다면 더 좋은 결과를 보이리라 생각된다.

접목 과정에서 형성된 신생 2차목부의 조직학적, 세포화학적 연구 (Histochemical and Cytochemical Studies on the Secondary Xylem Formation during Grafting Process of Pinus thunbergii)

  • 김종식;이광호;김윤수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4권6호
    • /
    • pp.1-11
    • /
    • 2006
  • 접목 과정에서 형성되는 새로운 2차목부의 특징을 광학현미경 및 전자현미경적 차원에서 조사하고자 해송(Pinus thunbergii)을 사용하여 자가접목(autograft)을 실시하였다. 조직학적으로 접목은 괴사층의 형성, 치유조직(callus)의 형성 및 발달, 새로운 형성층의 분화 및 새로운 2차조직의 형성 등 4단계를 거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접목 초기에 형성된 괴사층은 펙틴과 리그닌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었으며, 점진적으로 분해되어 대목과 접수가 결합하는 시점에 소멸되었다. 접목 초기에 축적되었던 전분 입자와 지질은 접목이 진행될수록 점진적으로 감소하였으며 세포질 내 소기관, 핵 및 원형질연락사의 변화는 관찰되지 않았다. 유세포로 구성된 치유조직으로부터 접목 15일후부터 새로운 형성층(neocambium)이 발달하였으며, 이곳에서 새로운 2차조직이 형성되기 시작했다. 새로운 2차목부는 형성층에서 기원하는 정상적인 2차목부와는 다른 분화 및 형태를 나타냈다. 새로운 2차목부는 망상 또는 벽공상의 비후에 의한 2차벽을 갖는 가도관 요소에서 기원하였으며, 2차벽의 형성은 비후된 세포벽 사이를 충전시키는 형태로써 진행되었다. 2차벽의 형성은 불균일하고 간헐적이었으며 형성된 2차벽의 두께는 불균일하였다. 새로운 2차목부의 가도관은 S자 또는 소용돌이 모양을 지니는 것으로 수평 방향으로 배열되었다.

방사선 조사 그라프트중합에 의한 폴리프로필렌 정밀여과막의 친수화 및 물 투과특성 (Hydrophilic Modification of Polypropylene Microfiltration Membrane by Radiation-Induced Graft Polymerization and Water Permeability)

  • 박재형;이근우;황택성;이재원;오원진
    • 공업화학
    • /
    • 제10권6호
    • /
    • pp.954-959
    • /
    • 1999
  • 본 연구에서는 소수특성의 PP 정밀여과막에 방사선을 조사하여 친수성 모노머인 2-hydroxyethyl methacrylate(HEMA), acrylic acid(AAc) 및 methacrylic acid(MAAc)를 그라프트 중합하였다. 3가지 모노머에 대한 그라프트 중합반응에서 물/메탄올 혼합용매의 조성에 따라 그라프트율에 미치는 효과를 조사하였으며, 이에 대한 각 모노머의 농도에 따른 영향을 고찰하였다. 가장 높은 그라프트율을 얻는 용매조건은 AAc는 순수한 물에서, MAAc는 물/메탄올 혼합비가 50/50 vol %에서, 그리고 HEMA는 25/75 vol %이었다. 그라프트된 PP 다공성 분리막의 모노머 도입여부와 표면특성변화는 FTIR-ATR 및 SEM을 이용하여 관찰하였다. 또한 인장강도와 연신율을 측정하여 그라프트율에 따른 막의 기계적 특성을 평가하였다. 그라프트된 PP막은 본래의 PP막보다 물 투과속도가 증가하였으며, 물 투과에 적당한 모노머로 HEMA임을 알았고 99%의 그라프트율에서 가장 좋은 물 투과속도를 보였다. 또한 AAc가 그라프트된 PP막 및 MAAc가 그라프트된 PP막의 물 투과속도는 pH나 $Cu^{2+}$에 의해 크게 좌우되나 HEMA는 pH나 $Cu^{2+}$에 영향이 거의 없었다.

  • PDF

요소(Urea) 및 이온의 선택적 분리를 위한 음이온교환막의 제조 (Preparation of Anion-exchange Membrane for Selective Separation of Urea and Ion)

  • 김병식;김민;허광범;홍주희;나원재;김재훈
    • 공업화학
    • /
    • 제17권3호
    • /
    • pp.303-309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음이온 및 요소의 투과유속이 강화된 복막투석용 기능성 음이온 교환막의 제조와 특성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음이온 교환막은 UV와 방사선 그라프트 중합법에 의하여 제조되었다. UV 그라프트 중합법에 의해 제조된 분리막의 경우 HEMA와 VBTAC의 비율이 1:2일때 가장 높은 그라프트율을 보였으며 그 이상의 농도에서는 호모폴리머의 생성이 많아지면서 그에 의한 자외선 침투의 제약으로 그라프트율이 감소하였다. 광개시제의 경우에는 0.2 wt%인 경우에 가장 높은 그라프트율을 나타내었으며 그 이상의 농도에서는 다소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방사선 그라프트 중합법에 의해 제조된 분리막의 경우 VBTAC/HEMA막의 경우 6 h 반응시 96%, GMA막의 경우 반응시간 2 h에 100% 이상의 그라프트율을 나타내었다. 또한, 음이온 교환막을 제조하기 위해 그라프트율 113% 막을 사용하였으며, 음이온 교환기로는 DEA, TEA를 사용하였다. DEA막의 경우 반응시간 4 h에서 70%, TEA막의 경우 2 h 반응에서 30%의 전화율을 나타내었다. 또한, 두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음이온 교환막은 양이온은 배제시키고 음이온과 요소만을 투과하는 특성을 나타내었다.

무수말레인산으로 그라프트된 폴리에틸렌 왁스의 중합과 가수분해에 대한 연구 (A Study on Synthesis and Hydrolysis of the Maleated Polyethylene Wax)

  • 유시원;최중소;나재식
    • 청정기술
    • /
    • 제19권4호
    • /
    • pp.393-400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고밀도 폴리에틸렌 제조 공정에서의 부산물인 폴리에틸렌 왁스를 대상으로 무수말레인산(MAH)을 도입하여 솔루션 그라프트 반응을 수행 하였고, 반응 효율에 영향을 끼치는 반응 인자들과 MAH 기능기의 가수분해의 영향에 대해서 조사하였다. 측정 결과, MAH 단량체의 농도가 증가 할수록 그라프트 율은 증가하지만, 전환율은 감소하여 MAH 단량체의 농도가 15 wt% 정도에서 최대 효율을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DCP (dicumyl peroxide)와 DTBP (di-tert-butyl peroxide)를 개시제로 사용하여 농도에 따라 그라프트 반응한 결과, 약 0.5 wt%에서 그라프트 율이 최대값에 도달함을 볼 수 있었고, 가교반응은 2% 이하의 낮은 수치를 보임을 확인하였다. 반응온도에 따른 그라프트 율은 반응온도가 높아짐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며, 최대 반응시간은 2 h 내외가 됨을 알 수 있었다. 폴리에틸렌 왁스에 그라프트 된 MAH 기능기는 주로 고리열린 상태로 존재하지만 그라프트 율이 5%이상에서는 고리가 닫힌 상태가 생성되었고, 이에 대한 가수분해 측정결과, 언하이드라이드(anhydride)기가 카르복실(carboxylic acid)기로 전환되는 율이 약 10% 정도로 측정되어, 저분자량 폴리에틸렌 왁스(polyethylene wax, PEW)-g-MAH 물성에 영향을 주는 인자로 여겨졌다.

Bone cement grafting increases implant primary stability in circumferential cortical bone defects

  • Shin, Seung-Yun;Shin, Seung-Il;Kye, Seung-Beom;Chang, Seok-Woo;Hong, Jongrak;Paeng, Jun-Young;Yang, Seung-Min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45권1호
    • /
    • pp.30-35
    • /
    • 2015
  • Purpose: Implant beds with an insufficient amount of cortical bone or a loss of cortical bone can result in the initial instability of a dental implant. Thu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 of bone cement grafting on implant initial stability in areas with insufficient cortical bone. Methods: Two different circumferential defect depths (2.5 mm and 5 mm) and a control (no defect) were prepared in six bovine rib bones. Fourteen implants of the same type and size ($4mm{\pm}10mm$) were placed in each group. The thickness of the cortical bone was measured for each defect. After the implant stability quotient (ISQ) values were measured three times in four different directions, bone cement was grafted to increase the primary stability of the otherwise unstable implant. After grafting, the ISQ values were measured again. Results: As defect depth increased, the ISQ value decreased. In the controls, the ISQ value was $85.45{\pm}3.36$ ($mean{\pm}standard$ deviation). In circumferential 2.5-mm and 5-mm defect groups, the ISQ values were $69.42{\pm}7.06$ and $57.43{\pm}6.87$, respectively, before grafting. These three value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P<0.001). After grafting the bone cement, the ISQ values significantly increased to $73.72{\pm}8.00$ and $67.88{\pm}10.09$ in the 2.5-mm and 5.0-mm defect groups, respectively (P<0.05 and P<0.001). The ISQ value increased to more than double that before grafting in the circumferential 5-mm defect group. The ISQ values did not significantly differ when measured in any of the four directions. Conclusions: The use of bone cement remarkably increased the stability of the implant that otherwise had an insufficient level of stability at placement, which was caused by insufficient cortical bone volume.

가지대목(EG-203)을 이용한 딸기 후작 토마토 무경운 재배에서의 풋마름병 경감 및 전작물 제거시기 구명 연구 (Study on Removal Time of Former Crop and Bacterial Wilt Reduction in Non-Tillage Tomato Culture by Grafting with EG-203 after Strawberry Cropping)

  • 이문행;박권서;이희경;이환구;김경제;이순계;조평화;김영식;김성은;한경숙;황갑춘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657-665
    • /
    • 2014
  • 토마토 억제 재배 시 생산비를 절감하고 토마토의 수확시기를 앞당기며 잦은 경운에 의한 토양환경을 보호하고자 가지대목(EG203)을 활용한 딸기후작 토마토 무경운 재배법 연구를 실시하였다. 가지대목(EG203)을 사용하여 토마토 재배를 실시한 결과 풋마름병 발생은 무경운 재배에서 실생은 30%, 가지대목(EG203)은 0%였으며 경운 재배에서는 실생은 25%, 가지대목(EG203)은 0%였다. 가지대목(EG203)을 이용한 경운 및 무경운 재배에서 상품수량은 각각 2,693, 2,657 kg/10a로 유사하였으며 당도 및 경도도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 따라서 딸기 후작 토마토 재배에서 풋마름병에 대한 안전성을 높이기 위해 가지대목(EG203)을 활용하여 접목을 실시하여야하며 가지대목(EG203)을 이용하여 재배할 경우는 경운과 무경운 재배의 차이가 나타나지 않으므로 경제성 및 환경적으로 무경운 재배가 유리할 것으로 판단된다. 토마토 정식 당일, 10, 20, 30일 후 전작물인 딸기를 제거한 결과 20, 30일 후 제거에서 초장과 절간장은 길었으나 다른 생육에서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상품수량은 정식 당일 제거한 것이 1,885 kg/10a로 30일 후 제거 1,678 kg/10a보다 12% 많았으나 전작물인 딸기의 제거 시기는 딸기의 생육과 가격을 토마토의 기대소득과 비교 경제성을 분석하여 결정하여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