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raded exercise testing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23초

고온에서의 점증적 최대운동시 매실함유 음료 밀 생수섭취에 따른 심박수 및 혈중 젖산농도 변화의 비교 (Comparison of Heart Rate and Blood Lactate between Ingestion of Prunus mume Solution and Water during Graded Maximal Exercise in Hot Environment)

  • 김기진;배지현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9권3호
    • /
    • pp.356-362
    • /
    • 1999
  • Humans may lose considerable amounts of water and electrolytes from sweat during exercise in a hot climate. Optimal ingestion of fluid-replacement beverages may overcome an obstacle factor of exercise performance in the heat. This study was performed the comparison of heart rate and blood lactate between ingestion of Prunus mume solution and water solution during graded maximal exercise using bicycle ergometer in the heat(ambient temperature of 31-32$^{\circ}C$ and relative humidity of 50-55%). Ten healthy no-heat-acclimatized males participated in the study. Exercise duration until all-out of graded testing in the condition of Prunus mume solution ingestion(786.15$\pm$47.66s) was significantly higher(P<0.05) than the condition of water ingestion. Heart rate at 4 min during graded testing and recovery phase in the condition of Prunus mume solution ingestion was significantly lower(P<0.05) than the condition of water ingestion. Blood lactate concentration at 30min of recovery phase after graded maximal exercise in the condition of Prunus mume solution ingestion was significantly lower(P<0.05) than the condition of water ingestion. Recovery rate of blood lactate concentration at 15 min and 30 min of recovery phase after grated maximal exercise in the condition of Prunus mume solution ingestion was significantly lower(P<0.05) than the condition of water ingestion. Present results suggested that ingestion of Prunus mume solution showed the positive effects on the cardiorespiratory function and acid-base regulation as compared with ingestion of water during graded maximal exercise and recovery phase in hot environment.

  • PDF

RPE에 의한 운동강도 예측인자의 남녀 대학생 비교 (Gender Comparison of Ratings of Perceived Exertion (RPE) as a Predictor of Exercise Intensity in College Students)

  • 김도연;이정아
    • 생명과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9-14
    • /
    • 2011
  • 심박수(heart rate) 및 산소 소비량(oxygen consumption) 등의 생리학적 변수는 운동자각도(RPE)와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RPE의 남녀차이에 의한 예측 운동강도의 정확성은 아직 밝혀지지 않고 있고, 본 연구는 남녀 대학생의 심장 혈관 및 신진대사의 반응을 평가하고 남녀의 차이를 밝히는 데 있다. 남자대학생($25.1{\pm}1.56$ yr)과 여자대학생($25.0{\pm}4.12$ yr) 각각 10명이 본 연구에 자발적으로 참여를 하였고, 본 연구를 위하여 설정된RPE는 Borg의 15 범주에서 결정을 하였으며, 점증적 운동부하(graded exercise testing)는 Bruce Treadmill Protocol을 이용하였다. 남녀의 평균 slope (p=0.501)와 RPE의 plotting rates와 최대산소섭취율(% $VO_2$max)은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각자의 상대적 최대산소섭취량은 남학생의 경우52.36${\pm}$7.35 ml/kg/min, 여학생은 41.44${\pm}$6.71 ml/kg/min로 나타나 두 그룹간에 유의하게 큰 차이가 있었으며, 절대적 최대산소섭취량은 남학생은 4.05${\pm}$0.36 l/min, 여학생은 2.53${\pm}$0.39 l/min로 나타나 두 그룹간에 큰 차이가 나타냈다. 남학생과 여학생간의 slope, y-intercept, SEE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본 연구에서 운동강도에 따른 남학생과 여학생의 RPE 의 차이는 유의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RPE는 운동중 산소섭취량에 대한 운동강도의 예측에 남녀별 차이가 없어 유효한 예측인자라고 사료된다.

융복합을 활용한 휠체어 트레드밀과 암에르고미터 점증부하운동검사 시 심폐기능, 운동자각도 및 젖산농도 비교 (A Comparison of Cardiopulmonary Function, RPE, and Blood Lactate following in Wheelchair Treadmill and Arm Ergometer GXT Test through Convergence)

  • 장홍영;김종혁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9호
    • /
    • pp.553-561
    • /
    • 2016
  • 본 연구는 비장애인 휠체어 농구 선수 11명을 대상으로 휠체어트레드밀과 암 에르고미터의 점증부하운동검사 시 심폐기능, 운동자각도 및 젖산 농도를 비교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으로는 휠체어트레드밀과 암 에르고미터의 점증부하운동검사 시 호흡가스분석기와 무선 심박수 측정기를 사용하여 심폐기능을 알아보았으며, 보그 스케일을 이용하여 운동자각도를 측정하였고, 젖산 분석기를 사용하여 안정 시, 운동직후, 회복기 2분, 4분, 6분, 10분의 혈중 젖산 농도를 측정하였다. 측정된 데이터는 SPSS 18.0 프로그램을 통하여 종속 t-검증(paired t-test)을 실시하여 분석하였고 통계적 유의수준은 .05로 설정하였다. 이 연구를 통하여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심폐기능 변인 중 최대산소섭취량은 암 에르고미터가 높게 나타났으며, 호흡교환율은 휠체어트레드밀이 높게 나타났으며, 최대 심박수는 휠체어트레드밀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주관적 운동 강도에서는 종료 점에서 암 에르고미터에서 높게 나타났다. 셋째, 혈중 젖산 농도는 운동 직후 암 에르고미터에서 높게 나타났다.

체육전공 남자 대학생의 흡연여부가 유산소 체력요인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moking on Aerobic Physical Fitness Factors among Physical Education Major Male University Students Participating in Regular Exercise)

  • 성동준;박혜미;차광석
    •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 /
    • 제28권5호
    • /
    • pp.97-104
    • /
    • 2011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smoking on aerobic physical fitness among physical education major male university students participating in regular exercise. Methods: A group of 42 healthy male students majoring physical education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non-smokers (n=$26, 20.61{\pm}2.78 $yrs) and smokers (n=16, $21.25{\pm}2.29 $ yrs). Graded exercise testing for maximal oxygen consumption ($VO_2max$) was measured by Bruce protocol. Results: $VO_2max$ was not different between non-smokers and smokers, however, exercise duration time in non-smokers was more longer than smokers'. In non-smokers, ventilatory threshold (VT) time was delayed longer than smokers (p<0.01). %VT/VEmax was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non-smokers and smokers (p<0.01). Resting heart rate (p<0.01) and recovery heart rate at 80 seconds (p<0.01) in non-smokers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of smokers. The decrease in heart rate recovery in non smokers was greater than in smokers at 40(p<0.05), 60(p<0.05) and 80(p<0.01) seconds. Conclusions: These results suggest that smoking has negative effects on aerobic fitness of male university students in physical education major.

흡연 중단시간에 따른 유산소운동 시 심혈관계 반응의 변화 (Cardiovascular Responses to Exercise during Acute Nicotine Abstinence)

  • 이선규;최현민;김종경;김찬호;노호성
    • 생명과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532-537
    • /
    • 2012
  • 흡연자의 단시간의 흡연 중단이 안정 시 및 저강도(40% of $VO_2max$), 중강도(60% of $VO_2max$)에서의 일회성 유산소성 운동 중에 나타내는 심혈관 반응의 차이를 알아보는데 있다. 따라서 성인 남성 흡연자를 대상으로 흡연 직후, 흡연 중단 24시간과 흡연 중단 48시간 경과 후의 안정 시, 저강도, 중강도의 강도별 사이클 에르고미터를 통한 일회성 유산소 운동 시 심혈관계 반응을 검토하였다. 이에 따른 결과 흡연 직후, 흡연 중단 24시간과 흡연 중단 48시간 경과 후의 안정 시, 저강도, 중강도의 수준의 운동 강도별 사이클 에르고미터를 통한 일회성 유산소 운동 시 SBP, DBP, MAP, HR에서 유의한 감소가 나타났다($p$<0.05). 또한, 안정 시와 중강도에서는 CO의 유의한 감소가 나타났다($p$<0.05). 이상의 결과로부터 단시간의 흡연 중단은 교감신경의 항진상태를 완화시키고, 부교감신경계의 활성화로 인해 HR을 감소시킴으로써 안정 시와 동일 강도 유산소운동 시의 과도한 심혈관 반응을 완화키는 것으로 사료된다. 이를 통해 흡연자에게 있어 단기간의 흡연 금지만으로도 운동 중에 심혈관계 반응의 위험을 감소시킬 수 있다는 가능성을 나타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