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rade Maintenance

검색결과 214건 처리시간 0.029초

터널구조물 정밀안전점검 및 정밀안전진단 개선방안 고찰 (A study on the improvement plans of precision safety inspection and precision safety diagnosis in tunnel structure)

  • 이규필;김정흠
    •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 논문집
    • /
    • 제24권2호
    • /
    • pp.183-192
    • /
    • 2022
  • 터널구조물의 기능 및 성능저하는 도로의 기능상실 등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초기 손상이 심화된 손상으로 진전되지 않도록 선제적 유지관리가 필요하다. 이에 관련 법령에 따라 정기적인 점검/진단이 시행되고 있으나, 점검/진단, 보수/보강 계획 수립 및 실시 등 일련의 과정을 충분히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도로터널 1,728개소에 대해 시행한 5,540건의 정밀안전점검, 정밀안전진단 사례에 대한 조사/분석을 통하여 합리적인 유지관리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치주질환 심도에 따른 조직내 림프구 및 NK 세포의 변화에 관한 면역조직학적 연구 (AN IMMUNOHISTOCHEMICAL STUDY ON THE CHANGES OF LYMPHOCYTE SUBPOPULATIONS AND NK CELLS ACCORDING TO THE SEVERITIES OF THE PERIODONTAL DISEASE)

  • 최호근;권영혁;이만섭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23권2호
    • /
    • pp.300-314
    • /
    • 1993
  • Periodontal disease research has been focused on understanding the immunopathologic mechanisms which may operate in the development and maintenance of peiodontal inflammatory changes. Immunologic and inflammatory responses may relate to the etiology and pathogenesis of periodontal disease. In order to research immunopathology of periodontal disease, previous investigators have spent much time on the distribution of lymphocyte subpopulations and NK cells but they have spent less time on the changes of those cells to the periodontal disease severity. The purpose of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changes of the distribution of T lymphocytes, B lymphocytes, T lymphocyte subsets, and Natural Killer cells in the gingival epithelium and connective tissue of the periodontal disease with the various clinical parameters including Gingival Index, Sulcular Bleeding Index, and pocket depth. Gingival tissues were obtained from 25 patients with different severity of periodontal disease. Serial cryostat sections displaying a cross section of gingiva were labelled with monoclonal antibody for pan T cells, T cytotoxic/suppressor cells, T helper/inducer cells, pan B cells, and NK cells were develped using an avidin-biotin-peroxidase system. Lymphocyte populations were enumerated in repeatable fields from gingival section. 1. T cells were more increased at grade 1 and 3 than at grade 0 of gingival index (p<0.05). Helper T cells and NK cell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at grade 1, 2, 3 than at grade 0(p<0.05). 2. T cells were more decreased at grade 3 and 4 than at grade 1 of sulcular bleeding index (p<0.01, p<0.05). Especially, Natural Killer cell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at grade 1, 2, 3, 4 than at grade 0 (p<0.05, p<0.001). 3. The ratios of helper T/suppressor T cells were more decreased at grade 4 than at grade 0 and at grade 4 than at grade 2 of sulcular bleeding index (p<0.05, p<0.05). 4. Helper T cells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at grade II and III than at grade I, however the Natural Killer cells showed a increasing tendency with the increase of the pocket depth,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each grade of pocket depth. 5. The ratios of helper T/suppressor T cells were tended to be decreased with the increase of the pocket depth,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each grades of pocket depth. There was a very weak change in the distribution of T lymphocytes, B lymphocytes, T lymphocyte subsets, and Natural Killer cells in the gingival epithelium and connective tissue of the periodontal lesion with the various clinical parameters including gingial index, sulcular bleeding index, and pocket depth. But, the number of T lymphocytes and Natural Killer cells were significantly changed in gingival index and sulcular bleeding index.

  • PDF

COBie-IM 및 BIM 기반 건축물 점검 및 유지보수 정보관리방안 제시 (Proposed Information Management Plan for Building Inspection and Maintenance Based on COBie-IM and BIM)

  • 이채원;김상용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57-68
    • /
    • 2023
  • 노후화된 건축물이 정상적인 기능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주기적인 점검과 보수·보강이 수행되어야 한다. 하지만 현재 건축물 유지관리 단계에서 발생하는 정보의 형태와 의사결정은 여전히 비효율적인 방식에 의존하고 있다. 이는 건축물 유지 관리에서 발생하는 비용의 증가와 시간 낭비의 원인이다. 이에 본 연구는 COBie를 벤치마킹하여 건축물 점검 및 유지보수 정보 관리용 COBie-IM 문서를 제안하고 이를 BIM에 연계하여 정보를 확인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또한, 건축물에서 발생한 결함의 손상등급에 따라 색상을 지정하여 시각화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를 통해 건축물 유지관리 단계에서 점검 및 유지보수 시 발생하는 정보들을 체계적으로 통합·관리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또한, 결함에 대한 보수·보강의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의사결정을 지원함으로써 업무 효율성을 증대시킬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선호도기반 최적화방법을 이용한 교량의 유지보수계획 (Maintenance Planning for Deteriorating Bridge using Preference-based Optimization Method)

  • 이선영;고현무;박원석;김현중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28권2A호
    • /
    • pp.223-231
    • /
    • 2008
  • 이 논문에서는 교량의 유지보수비용을 최소화할 뿐만 아니라 교량의 성능을 동시에 최대화할 수 있는 새로운 유지보수계획법을 제시한다. 교량 수명연한 동안의 유지보수비용과 교량의 바닥판, 주형, 하부구조의 상태등급으로 표현되는 교량의 성능을 동시에 최적화 하는 다목적 최적화 문제를 구성하여 최적의 유지보수계획을 수립한다. 다목적 최적화문제의 해를 얻기 위한 수치해석 방법으로 유전자 알고리즘(Genetic Algorithm, GA)을 사용하고, 다목적 최적화방법을 적용하여 얻어진 여러 개의 해집합 중 최적해의 선택을 위한 의사결정(decision making)을 위해 선호도기반 최적화방법을 적용한다. 일반적인 5경간의 PSC I형 교량에 대한 수치예제를 통해, 이 연구에서 제안하는 방법이 유지보수비용 및 교량성능간의 균형 있는 최적화를 이룰 수 있음을 보인다.

고급 및 저급 한우육의 저장중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High and Low Grade Hanwoo Beef During Storage at $1^{\circ}C$)

  • 정근기;박나영;이신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10-15
    • /
    • 2006
  • $1^+$등급과 3등급의 우육안심을 함기포장한 후 $1^{\circ}C$에서 저장하면서 이화학적, 미생물학적 품질변화를 측정하였다. 조지방의 경우 $1^+$등급 우육이 3등급 우육에 비해 높은 지방함유율을 나타내었고, 냉장중 조지방의 변화는 저장초기부터 저장 21일째까지 뚜렷한 변화는 관찰되지 않았다. 수분함량의 경우 $1^+$등급 우육이 3등급 우육에 비해 낮게 나타났으며 $1^+$등급과 3등급 우육의 저장기간 동안 수분 함량은 뚜렷한 변화를 나타내지 않았다. $1^+$등급 우육의 총균수는 저장 21일째 약 $10^6\;CFU/cm^2$ 이하를 나타낸 반면 3등급 우육은 $10^8\;CFU/cm^2$을 나타내었다. 휘발성 염기태 질소 함량(VBN)은 저장기간 동안 $1^+$등급 우육에 비해 3등급 우육이 높게 나타났다. drip 발생량은 저장 14일째 $1^+$등급, 3등급 우육 각각 4.19%와 6.06%로 3등급 우육의 drip량이 현저히 높게 나타났다. a 값과 b값은 저장 전기간 동안 $1^+$등급 우육이 3등급 우육에 비해 높은 값을 나타내었고, b 값은 저장 21일째까지 b 값은 저장기간이 경과할수록 낮아지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나 저장 28일째의 $1^+$등급 우육과 3등급 우육은 각각 3.83, 2.60의 b 값 을 나타내어 저장 초기의 4.42, 3.22보다는 b 값이 감소하였으나 유의적인 차이(p<0.05)는 관찰되지 않았다.

초등학교 저학년 화장실 공간디자인 개선에 관한 연구 - 서울강서교육지원청 관할 초등학교 사례조사를 바탕으로 - (A Study on the Guideline of Toilets Design for Elementary Lower-Grade Students - Based on the Survey for Elementary Schools under Seoul Gangseo District Office of Education -)

  • 윤현영;정유나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2권1호
    • /
    • pp.307-317
    • /
    • 2013
  • Elementary school's physical environment is critical to lower grade students. Among the many physical conditions, Toilet, which belongs to health and sanitation category is very important to those who start school for the first tim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for suggesting the guidelines of toilet design reflecting psychological and behavioral aspects of lower grade students. The research was executed as follows. Firstly, focused survey groups were carefully chosen. Five elementary schools were selected, being all open after 2005 under Seoul Gangseo District Office of Education. Secondly, field study was executed to find out toilet usage, during the period between April to June 2012, by visiting schools to see basic facilities, taking pictures and making actual measurement in each toilets. The architectural analysis was focused on location, moving line, actual size and space zoning, while the interior analysis being on finishing materials and the design of sanitary equipments. And the design elements such as color, lighting fixture, art works or signage were analysed, too. Finally, questionnaire survey was done to find out preferences of lower grade students. As a result, the guidelines of toilet design can be divided into two main parts, Physical and Psychological. For the Physical part, it is necessary for related facilities to be concentrated in order to give easy access. In addition, good ventilation, better lighting and to install sanitary equipments ergonomically are required. Furthermore, safe and clean maintenance should be considered. Psychologically, the design should be directed for making lower grade students come to toilets with comfort and more pleasantly.

강종 및 보강방법에 따른 대골형 파형강판 합성부재의 휨성능에 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Flexural Strength of Deep Corrugated Steel Plate Composite Members by Steel Grade and Reinforcement Method)

  • 김용재;오홍섭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21권2호
    • /
    • pp.1-12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대골형 파형강판 합성부재의 구성요소를 고강도 재료로 대체하고 이음방법, 전단보강방법 등 단면구성방법에 따른 단위부재의 휨거동을 분석하여 대골형 파형강판 합성부재 구조물의 장대화 및 적용범위확대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GR40과 SS590 강재를 적용한 합성구조체의 휨실험 결과, SS590 파형강판을 적용한 경우 정모멘트 하중저항성능은 약 28%가 증가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나 부모멘트 저항성능은 미미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볼트의 개수를 증가시킨 파형강판 이음방법의 정모멘트 및 부모멘트 저항성능증가율은 높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고강도 재료에 따른 볼트의 접합 특성(볼트중심에서 연단까지의 거리, 볼트중심간 간격 등)이 거동에 영향을 미쳤기 때문인 것으로 추정된다. 전단보강재 간격별 휨실험 결과, 보강재 간격이 감소할수록 정모멘트에 대한 하중저항성능, 부모멘트에 대한 변위저항성능이 향상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전단보강재 형상별 휨실험결과, U형 보강재 적용에 따른 정 부모멘트 저항성능 증가율은 약 2%~7% 로 낮았다. 따라서 대골형 파형강판 합성부재의 휨성능증가에는 파형강판의 강종, 전단보강재 간격, 보강철근의 특성이 주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된다.

저분말도 고로슬래그 미분말(3000급)을 혼입한 콘크리트의 내구성능평가 (Evaluation of Durability Performance in Concrete Incorporating Low Fineness of GGBFS (3000 Grade))

  • 이승헌;조성준;권성준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23권4호
    • /
    • pp.96-102
    • /
    • 2019
  • 고분말도 슬래그를 사용할 경우 초기재령에서의 강도발현은 우수하나 수화열 및 품질관리에 따른 문제가 발생하기 쉽다. 본 연구에서는 3000급 저분말도의 고로슬래그 미분말을 혼입한 콘크리트의 강도특성 및 내구특성을 분석하였다. 작업성을 기준으로 3가지 배합을 고려하였으며, 압축강도와 내구특성시험이 수행되었다. 강도특성 결과 3000급 슬래그를 혼입한 콘크리트는 28일 재령에서 OPC(Ordinary Portland Cement) 배합 대비 강도가 떨어지지만 장기재령에서는 잠재수경성의 촉진으로 인하여 큰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탄산화 및 동결융해 실험에서는 4200급 슬래그 배합 대비 약간 우수한 저항성능이 나타났는데, 이는 동일 슬럼프를 목표로 배합을 진행하여 3000급 슬래그 배합에 단위수량을 적게 고려하였기 때문이다. 장기재령의 경우, 3000급 슬래그 배합의 염화물확산계수는 OPC 배합 대비20% 수준으로 감소하여 우수한 내염해특성이 평가되었다. 단위수량을 조정하고 3000급 저분말도의 고로슬래그 미분말을 혼입하여 사용할 경우, 기존 분말도의 슬래그가 사용된 콘크리트 및 OPC 콘크리트와 비교시 우수한 작업성능과 내구특성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CONDITION MONITORING USING EMPIRICAL MODELS: TECHNICAL REVIEW AND PROSPECTS FOR NUCLEAR APPLICATIONS

  • Heo, Gyun-Young
    •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40권1호
    • /
    • pp.49-68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tensively review the condition monitoring (CM) techniques using empirical models in an effort to reduce or eliminate unexpected downtimes in general industry, and to illustrate the feasibility of applying them to the nuclear industry. CM provides on-time warnings of system states to enable the optimal scheduling of maintenance and, ultimately, plant uptime is maximized. Currently, most maintenance processes tend to be either reactive, or part of scheduled, or preventive maintenance. Such maintenance is being increasingly reported as a poor practice for two reasons: first, the component does not necessarily require maintenance, thus the maintenance cost is wasted, and secondly, failure catalysts are introduced into properly working components, which is worse. This paper first summarizes the technical aspects of CM including state estimation and state monitoring. The mathematical background of CM is mature enough even for commercial use in the nuclear industry. Considering the current computational capabilities of CM, its application is not limited by technical difficulties, but by a lack of desire on the part of industry to implement it. For practical applications in the nuclear industry, it may be more important to clarify and quantify the negative impact of unexpected outcomes or failures in CM than it is to investigate its advantages. In other words, while issues regarding accuracy have been targeted to date, the concerns regarding robustness should now be concentrated on. Standardizing the anticipated failures and the possibly harsh operating conditions, and then evaluating the impact of the proposed CM under those conditions may be necessary. In order to make the CM techniques practical for the nuclear industry in the future, it is recommended that a prototype CM system be applied to a secondary system in which most of the components are non-safety grade. Recently, many activities to enhance the safety and efficiency of the secondary system have been encouraged. With the application of CM to nuclear power plants, it is expected to increase profit while addressing safety and economic issues.

국내 소규모취약시설 안전점검 데이터기반 안전 및 유지관리 수준 평가 (Assessment Level of Safe and Maintenance Based on Safety Inspection Data of Small Vulnerable Facilities in Domestic)

  • 김민수;이정석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25권6호
    • /
    • pp.121-130
    • /
    • 2021
  • 최근 국내 소규모취약시설은 시설물의 노후화가 가속되고, 다양한 안전사고 발생 및 이용빈도 증가 등에 따라 안전 및 유지관리에 대한 새로운 접근과 인식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특히 대부분의 사회복지시설을 포함하는 소규모취약시설은 안전취약계층의 다수가 이용하는 시설로 안전관리의 중요성이 매우 높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 소규모취약시설을 대상으로 최근 13년간(2008년~2020년) 수행한 안전점검 결과(총 31,114개소)를 토대로 다양한 현황을 조사하였고, 데이터기반의 분야별 특성과 안전 및 유지관리에 관한 성과수준을 평가하였다. 이는 향후 국내 소규모취약시설의 안전기준 개선, 유지관리 전략 등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하며, 취약계층 대상 이용시설의 안전관리 강화에 대한 정책적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