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oogle map

검색결과 177건 처리시간 0.045초

Design of Falling Context-aware System based on Notification Service using Location Information and Behavior Data

  • Kwon, TaeWoo;Lee, Daepyo;Lee, Jong-Yong;Jung, Kye-Dong
    • International Journal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 /
    • 제10권3호
    • /
    • pp.42-50
    • /
    • 2018
  • The majority of existing falling recognition techniques provide service by recognizing only that the falling occurred. However, it is important to recognize not only the occurrence of falling but also the situation before and after the falling, as well as the location of the falling. In this paper, we design and propose the falling notification service system to recognize and provide service. This system uses the acceleration sensor of the smartphone to recognize the occurrence of a falling and the situation before and after the falling. In order to check the location of falling, GPS sensor data is used in the Google Map API to map to the map. Also, a crosswalk map converted into grid-based coordinates based on the longitude and latitude of the crosswalk is stored, and the locations before and after falling are mapped. In order to reduce the connection speed and server overload for real-time data processing, fog computing and cloud computing are designed to be distributed processing.

3차원 지형 디스플레이 기능을 갖는 SEAMCAT 기반 전파 간섭 평가 도구 (SEAMCAT Based Interference Evaluation Tool with 3D Terrain Display)

  • 박상준;전준영;임창헌
    • 전자공학회논문지
    • /
    • 제50권10호
    • /
    • pp.13-20
    • /
    • 2013
  • SEAMCAT(Spectrum Engineering Advanced Monte Carlo Analysis Tool)은 통신 시스템 간에 발생할 수 있는 간섭 영향을 분석하는 도구로서 현재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전 논문 [9]에 따르면 기존의 SEAMCAT에 ITU-R P.526 경로 손실 모델을 추가하여 지표 고도 정보를 반영한 간섭 분석 연구를 수행한 바가 있다. 이때 간섭 분석 대상 지역을 보여주기 위하여 구글 맵에 기반한 지형 디스플레이 기능도 함께 추가하였다. 하지만 구글 맵은 2차원 지도 형태로 실제 지형의 형태를 보여주지 않기 때문에 사용자가 해당 지역의 지표 고도 변화 등의 지형 특성을 파악하는데 효과적이지 않았다. 본 논문에서는 이를 개선하기 위해 3차원으로 지형을 보여주는 구글 어스(Google Earth)의 API 기능을 활용하여 입체적으로 지형을 보여주면서 부가적으로 분석 대상 통신 시스템의 위치 표시, 위치에 따른 전계 강도나 간섭 강도의 변화, 음영 지역 표시, 가시 분석을 함께 표시할 수 있는 기능을 SEAMCAT에 추가하였으며, 이를 사용한 간섭 분석 사례를 제시하였다.

공연 및 행사 정보 서비스 챗봇 설계 및 구현 (A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Performance and Event Information Service Chatbot)

  • 이원주;최민수;이준혁;김혜왕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22년도 제66차 하계학술대회논문집 30권2호
    • /
    • pp.427-428
    • /
    • 2022
  • 본 논문에서는 공연 및 행사 정보를 제공하는 챗봇을 설계하고 구현한다. 이 챗봇은 메타데이터를 이용하여 공연 및 행사 정보를 가져오고 Google map API를 활용하여 위치 정보와 최단거리 경로를 제공한다. 또한 Microsoft Azure Database에 사용자가 전화번호를 입력함으로써 데이터를 등록해서 특정 공연 및 행사에 대해 즐겨찾기를 할 수 있고 즐겨찾기 한 항목들을 조회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 PDF

노약자 활동 감시를 위한 구글 맵 3D 기반의 실시간 웹 위치 추적 시스템 (Real-time Web Location System for the elderly active surveillance based on Google Map 3D)

  • 이영민;최옥경;김기형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1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120-122
    • /
    • 2011
  • 과학 기술과 의학 기술의 발달로 전 세계적인 고령화 인구 비율도 해마다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고령화 인구 증가 현상에 대한 대책 방안의 하나로 U-HealthCare 시스템에 구글맵(Google Map) 3D 기반의 실시간 위치 추적기법을 적용 시켜 노약자들이 이동하는 중간에 실시간 위치 추적을 실시하여 추후 발생 할 수 있는 위험 사태에 대비하고자 한다. 제안 방식은 구글 맵 3D 서비스 방식이기에 2D 서비스나 문자 서비스 방식보다 시각적으로 건물의 생김새나 주변의 건물에 대한 정확한 파악이 가능하여 노약자들의 위치 정보에 대한 신속한 대체가 가능하다.

응급환자 발생 시 골든타임을 지키기 위한 응급처치 실시간 위치 기반 알림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Real-time, location-based notification service app for first aid to protect golden time in case of emergency patients)

  • 오승은;장윤희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20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5-7
    • /
    • 2020
  • 본 논문에서는 응급상황 발생 시, 응급 처치가 가능한 주변 사용자에게 알람을 보내 구급대원이 오기 전까지 응급 구조를 원활하게 도와주는 안드로이드 애플리케이션 시스템 구현 결과를 보인다. Google Map API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지도에 표시한다. 그리고 FireBase Cloud Messaging API를 이용하여 애플리케이션 이용자들에게 알람을 보낸다. 또한, WebRTC API를 이용하여 애플리케이션 안에서 음성 및 영상 통화를 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을 켜지 않아도 위젯을 활용하여 응급상황을 신고할 수 있도록 하여 애플리케이션의 활용성을 높였다.

GPS 센서 기반의 최저가 업소 검색 애플리케이션 구현 (Implementation of lowest Price Shop Search Application based on GPS Sensor)

  • 이원주;정상원;노영단;유광식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21년도 제64차 하계학술대회논문집 29권2호
    • /
    • pp.205-206
    • /
    • 2021
  • 본 논문에서는 스마트 폰의 GPS 센서와 Google Map, 공공데이터를 활용해 사용자 주변의 최저가 업소를 맵에 표기하는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한다. 이 애플리케이션은 휴대폰 인증을 통한 회원가입 기능을 구현하였으며 안드로이드 GPS 센서를 이용하여 현재 사용자의 위치 주변의 최저가 업소들을 표기한다. 또한 사용자가 검색하고자 하는 업소의 업종을 선택하면 맵에 선택한 업종과 같은 업소들의 위치에 마커를 표시하고 마커를 클릭 시 업소명, 대표메뉴, 가격 등의 정보를 볼 수 있다.

  • PDF

지역 축제 및 여행 정보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설계 및 구현 (A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Local Festivals and Travel Information Service Application)

  • 이원주;안재현;이세연;이항주;한지원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22년도 제66차 하계학술대회논문집 30권2호
    • /
    • pp.239-240
    • /
    • 2022
  • 본 논문은 안드로이드 플랫폼의 내장 센서 중 만보기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걸음 횟수 센서(Step Counter Sensor)와 걸음 감지 센서(Step Detector Sensor), GPS 센서, Google Map API, 공공 데이터 포털 Open API를 활용하여 국내 여행지 및 국내 지역 축제 정보를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설계하고 구현한다. 이 애플리케이션은 특정 걸음 수를 달성했을 때 국내 여행지를 무작위로 추천하여 추천 지역까지의 걸음 수를 카운트하는 방식으로 사용자에게 목표를 부여하고, 추천 국내 여행지 방문 및 축제 참여 기회와 성취감을 얻도록 한다.

  • PDF

Google Earth를 이용한 경북대와 홍콩대 캠퍼스의 불투수율 비교평가 (Comparative Evaluation of Impervious Ratio between KNU and HKU Campus Using Google Earth)

  • 엄정섭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421-433
    • /
    • 2009
  • 불투수율은 물, 공기, 자연 생태계 등 전체 환경을 악화시키는 요인이 되기 때문에 도시지역의 총체적인 환경 질을 대표하는 지표로서 활용되고 있다. 본 연구는 Google Earth와 수치지도를 이용하여 대학 캠퍼스 불투수율을 정략적으로 비교 평가하는 방안을 제안한다. 경북대학교와 홍콩대학교 사례연구지역으로 선정되었으며 61cm의 공간해상도를 지닌 퀵버드 영상은 수치지도에서 추출한 레이어와 결합되어 도로, 건물, 주차장 등 세부적인 불투수면의 유형을 추출하였다. 경북대학교 캠퍼스는 도로와 주차장의 숲으로 뒤덮여 있는 것이 확인되었으며 반면에 홍콩대학교는 수목비율이 31%로 경북대보다 2배 정도 높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Google Earth를 이용한 불투수면 감시기법은 동일한 데이터와 일관된 작업과정을 적용할 수 있어 다수의 조사자에 의한 주관적 판단과 대상 지역의 차이에 따른 불규칙적인 기준 적용의 문제점을 보완할 수 있는 현실적인 대안이 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구글맵스 전자문화지도 기반의 학술지 지도 구현 (Implementation of Academic Journal Map based on Electronic Cultural Atlas using Google Maps)

  • 강지훈;문상호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9권4호
    • /
    • pp.864-870
    • /
    • 2015
  • 최근에 ICT 융합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문화지도 DB, 전자문화지도 등과 같이 학제 간 연구의 성격을 띠는 학문 분야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다. 전자문화지도는 기본적으로 다양한 문화적 양상을 점, 선, 면 등을 활용해 지도 위에 나타내며 사용자는 주제, 공간, 시간 값의 조작을 통해 세 가지 값이 연계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텍스트 위주의 정보를 지도 위에 점, 선, 면, 기호 등 다양한 방법으로 시각화하고 이를 통해 사용자에게는 시스템의 사용성, 접근성, 직관성을 높임으로써 보다 효율적인 정보 획득을 가능하게 한다. 본 논문에서는 구글맵스를 활용한 전자문화지도 기반의 학술지 지도 시스템을 구현한다. 이 시스템은 기본적으로 학술지 정보 서비스를 제공하고, 지도를 활용한 정보의 시각화를 통해 연구자들에게 효율적인 학술자료 제공 및 학문동향분석을 위한 도구로서 활용이 가능하다. 세부적으로 인문 지역연구자의 연구를 위한 토대시스템으로 활용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