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onadosomatic index (GSI)

검색결과 219건 처리시간 0.029초

여수 연안에 출현하는 참문어(Octopus vulgaris)의 성숙과 산란 (Maturation and Spawning of the Common Octopus Octopus vulgaris in the Coastal Waters of Yeosu, Korea)

  • 양혜진;진수연;김도균;김희용;문성용;백근욱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54권6호
    • /
    • pp.1000-1006
    • /
    • 2021
  • The maturity and spawning of the common octopus Octopus vulgaris were studied using 317 samples collected monthly from January to December of 2020 from the coastal waters of Yeosu, Korea. The mantle length (ML) of O. vulgaris ranged from 5.1 to 19.7 cm and body weight (BW) ranged from 117.6 to 3,645.4 g. We analyzed monthly changes in sex ratio, gonadosomatic index (GSI), histological maturity stage, and body weight at 50%, 75% and 97.5% group maturity. The sex ratio was 1:1.02, which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e value that expected. Based on histological observation of the gonad development and gonadosomatic index, the spawning periods lasted throughout the year, with peak spawning periods estimated from March to April and July to August. The percentages of sexually mature females estimated using a logistic equation were over 50% at 554.46 g BW, 75% at 1,134.38 g BW and 97.5% at 2,474.22 g BW respectively.

번식주기에 있어서 자성무지개송어 (Oncorhynchus mykiss) 뇌하수체의 생식소자극호르몬 분비세포와 난형성에 특이하게 작용하는 내분비물질 및 혈장성분의 연중변화 (Annually Reproductive Cycles of Gonadotropic Cells, Endocrine Materials and Plasma Components in Special Relation to Oogenesis in Rainbow Trout, Oncorhynchus mykiss)

  • 윤종만;김계웅;박관하
    • Applied Microscopy
    • /
    • 제31권1호
    • /
    • pp.19-35
    • /
    • 2001
  • 계절성 번식기 동안에 자성무지개송어 (Oncorhynchus mykiss)의 혈장내 $estradiol-17\beta$, 혈장성분, 전기영동상 그리고 미세구조 변화의 특징을 살펴보았다. 정상적인 자연조건에서 혈장내 $estradiol-17\beta$는 난황형성기(vitellogenic season)말인 9월에 peak를 나타내었고, 산란이 이루어진 시기 이후인 12월에는 서서히 감소하였으며, 난소의 재형성 초기인 2월과 3월에는 급격하게 감소하였다. 이러한 $estradiol-17\beta$의 변화 추이를 볼 때 이 호르몬은 자성 무지개송어에서 혈장내 calcium, phosphorus, glucose, albumin및 total protein수준의 증가에 의해서 증명된 것과 같이 난황전구물질(vitellogenin)의 생성을 자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Latematuring단계 혹은 산란중인 난모세포의 전기영동상(분자량이 각각 약 70,000과 200,000 Da)은 late perinucleolus단계의 난모세포의 전기명동상보다 훨씬 두껍고 진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이 단백질 2개의 전기영동상은 $estradiol-17\beta$ 호르몬 peak와 일치하는 추이를 나타내면서 SDS-PAGE에서 확인되었다. 생식소 숙도지수 일명 성성숙지수, [gonadosomatic indices(GSI)]는 10월로부터 그 이듬해 1월까지 유의성 있게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고, 성숙난자의 급격한 수적인 증가와 일치하면서 1월에 가장 높은 peak를 나타내었다. 산란 전단계에서 estradiol-17 수준과 CSI간에는 정 (+)의 상관관계 (r=0.701, p<0.01)를 나타내었고, 간숙도지수 [hepatosomatic index (HSI)]는 번식시기인 12월에 가장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번식시기 (12월)에 생식소 자극호르몬 분비세포(gonadotropes)는 granules와 globules와 같은 생식소자극호르몬을 포함한 봉입체로 가득찬 상태를 나타내었다. 난황형성기에는 late perinucleolus 난모세포가 난황의 축적을 통해서 early maturing난모세포로 변형되는 과정이며, 이 시기의 난모세포는 late maturing단계로 되면서 난황으로 완전히 가득찬 상태로 확인되었다. 핵이주 단계에 있는 난모세포의 과립막세포의 미세구조를 살펴보면 팽창된 조면 내형질세망과 tubular cristae가 있는 간상의 미토콘드리아로 구성되어 있었다. 방사대 (zona radials)와 난황막 사이에 있는 미세융모(finger-like projections)는 각각 성장하면서 난황형성기에 pore canals을 이루면서 서로 연결되나, 난성숙기에 방사대가 더욱더 치밀하게 되면 수축되어 봉쇄되면서 위축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방사대는 외측에 않은 homogeneous layer와 내측에 2개의 두꺼운 helicoidal layers (zona radiata interna and zona radials externa)총 3개의 구조물로 구성되어 있었다. 정상적인 환경조건에서 볼 때 난포는 난형성과 생식소에서 분비되는 스테로이드 흐르몬의 생성에 충분할 만큼 조직의 발달과 호르몬의 주기적인 분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이사천에서 채집된 칼납자루, Acheilognathus koreensis의 생식과 기관계 구조 이상 (Abnormality of Reproduction and Organ Structure of the Oily Bitterling, Acheilognathus koreensis from Isa Stream)

  • 정선영;신순호;진영국;주선미;이정식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87-96
    • /
    • 2006
  • 이사천에서 채집된 칼납자루의 생식과 기관계 구조를 조직학적인 방법에 의하여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암:수 성비는 1:1로 나타났다. 암컷의 경우 생식소중량지수(GSI)는 12월과 4월에 두 번의 정점을 나타냈으며, 산란관지수(OLI)는 불규칙한 변화 양상을 보였다. 기관계의 조직학적인 관찰 결과, 피부에서는 상피층의 위축과 색소세포의 증가가 확인되었으며, 아가미에서는 새판 상피층의 박리와 새엽의 분지현상이 나타났다. 그리고 간과 신장에서는 울혈 및 간세포의 세포질 변성과 사구체의 팽창, 세뇨관 상피세포의 초자성 변성 및 간질세포의 핵 응축이 관찰되었다.

서해 중부 해역에 출현하는 미끈망둑, Luciogobius guttatus (Gobiidae)의 생식생태와 개체군 동태 (Reproductive Biology and Population Dynamics of Luciogobius guttatus (Pisces: Gobiidae) in the Southwestern of Korea)

  • 김병기;김지혜;한경남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217-227
    • /
    • 2015
  • 미끈망둑의 생식생태와 개체군 동태를 조사하였다. GSI값은 3월부터 5월까지 높게 나타났다. 포란수는 3.1~4.0 cm (SL)에서 241개, 5.1~5.7 cm (SL)에서 716개의 범위를 보였다. 체장과 포란수의 관계식은 $F=11.242SL^{2.464}$ ($R^2=0.65$)이고, 포란수는 크기와 함께 증가하였다. 50% 군성숙체장은 2.6 cm로 나타났다. 산란기는 4~5월이었다. 성장 매개변수의 추정은 von Bertalanffy growth function (VBGF) 모델을 이용하였다 ($L_{\infty}=63.00mm$ TL, $K=0.85yr^{-1}$). 가입유형은 1년에 1회로 나타났다. 성장 비교지수 (${\phi}$)는 3.53으로 나타났다. 자연사망계수 (M)는 $1.00yr^{-1}$로 추정되었다.

Age and Growth of the Elongate Ilisha Ilisha elongata

  • Kim, Jin-Koo;Choi, Ok-In;Kim, Joo-Il;Chang, Dae-Soo;Park, Kyeong-Dong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10권1호
    • /
    • pp.30-36
    • /
    • 2007
  • We present age and growth data for Ilisha elongata, based on 363 specimens caught in 1999 and 2000 around Jeju Island and the southwest coast of Korea. Scale and ring radii of each ring group showed a direct one-to-one relationship, with ring radius increasing as scale radius increased. The relationship between fork length and scale radius was FL=39.553SR+60.935 for females, FL=39.474SR+54.026 for males, and FL=39.608SR+57.547 for both sexes. Monthly changes in the marginal index indicated that a new ring appears once each year (in July). Maximum age, mean age and mean fork length of fish were 10 years, 5.0 years, and 349mm, respectively. Von Bertalanffy's growth equations were $FL_t=495.4{\times}[1-\exp(-0.2586(t+0.6487))]$ for fork length (mm) and $W_t=1,112.5{\times}[1-\exp(-0.2586(t+0.6487))]^{2.874}$ for body weight (g) for both sexes. Monthly changes in the gonadosomatic index (GSI) indicated that the spawning period was in June and July, which corresponded closely with ring formation time. Differences in monthly GSI changes in 1999 and 2000 may be related to water temperature variation. Fecundity ranged from 5,664 to 176,290 eggs per individual (n=43, fork length 264-470mm). The relationship between fecundity(F) and fork length was $F=7.7{\times}10^{-7}{\times}FL^{4.9269}$.

한국 서해산 웅어, Coilia nasus 암컷의 성숙과 산란 (Maturation and Spawning of the Korean Anchovy Coilia nasus on the West Coast of Korea)

  • 전제천;강희웅;이봉우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13권2호
    • /
    • pp.123-132
    • /
    • 2009
  • 웅어 Coilia nasus의 생식소중량지수(GSI), 비만도지수, 난소 발달, 군성숙도, 포란수를 2007년 1월부터 2007년 12월 까지 조직학적 관찰 및 형태 측정 분석에 의해 조사하였다. GSI와 비만도지수는 2월에 증가하기 시작하여 난소가 성숙해지는 6월에 최대에 이르며, 그 후 산란이 일어나는 7월에 급격히 감소하였다. 그러므로 GSI와 비만도지수의 월별 변화는 난소의 성숙 및 산란과 밀접한 관련을 갖는다. 암컷의 난소 발달 단계는 연속적인 5단계로 구분되었다. 초기성장기($2{\sim}$3월), 후기 성장기($3{\sim}$4월), 성숙기($5{\sim}$6월), 완숙 및 산란기($6{\sim}$7월), 회복 및 휴지기($12{\sim}$1월). 본 종의 성숙과 산란은 고수온-장일장인 $6{\sim}$7월 사이에 일어난다. 군성숙도 조사에서 50% 이상 산란에 참여하는 암컷 개체는 전장 $24.1{\sim}27.0$cm 이었으며, 30.1 cm 이상에서 전 개체가 산란에 참여하였다. 절대포란수에 있어서 총포란수와 송숙란수는 전장 및 체중이 커질수록 증가하였다. 상대포란수에 있어서 총포란수와 성숙란수는 전장에 비례하여 증가하였으나, 이들 난수는 최대 체중(126.0${\sim}$150.0 g)에 도달하면 상대포란수는 오히려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 PDF

범가자미 Verasper variegatus의 성성숙 (Sexual Maturation of the Spotted Flounder Verasper variegatus)

  • 김윤;안철민;김경길;백혜자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191-199
    • /
    • 1998
  • 범가자미 Verasper variegatus의 난소는 좌우 1쌍의 대칭구조로 주머니 모양이며 산란기가 되면 생식소는 복강 뒤부터 뒷지느러미까지 길게 발달하였다. 정소는 좌우 1쌍을 가지나 산란기에 복강 내에서만 발달하였다. 생식소중량지수(GSI)는 암컷의 경우 3월부터 7월까지는 낮은 값을 보이다가 8월부터 증가하기 시작하여 1월에 연중 최대값을 나타내었다. 수컷의 GSI 변화도 암컷과 마찬가지로 1월에 연중 최대값(1.7)을 나타내었다. 산란기의 난소에는 $600{\sim}1400{\mu}m$ 사이의 난모세포들이 4~6개의 무리를 이루어 발달하는 것으로 보아 범가자미는 4회 이상 산란하는 다회 산란어종으로 확인되었다. 군성숙도 조사에서 50% 산란에 참여하는 개체는 암컷이 전장 42.0~44.0cm, 수컷이 28.0~30.0cm 였으며, 100% 산란에 참여하는 전장은 압수 각각 44.0cm와 32.0cm 였다. 생식년주기는 8~10월의 성장기, 11~12월의 성숙기, 12월~2월의 완숙 및 산란기, 3~7월의 퇴화 및 휴지기 등으로 구분할 수 있었다.

  • PDF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s of the GnRHR Gene Associated with Reproductive Traits of Japanes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 He, Feng;Wen, Hai-Shen;Li, Ji-Fang;Yu, Da-Hui;Ma, Rui-Qin;Shi, Dan;Mu, Wei-Jie;Zhang, Yuan-Qing;Hu, Jian;Liu, Miao;Han, Wei-Guo;Zhang, Jia-Nan;Wang, Qing-Qing;Yuan, Yu-Ren;Liu, Qun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4권4호
    • /
    • pp.463-470
    • /
    • 2011
  • Gonadotropin-releasing hormone receptor (GnRHR) gene is expressed at the anterior pituitary gland and plays a key role in gonad development.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molecular genetic characteristics of the GnRHR gene and elucidate the effects of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s (SNPs) of GnRHR gene on sex steroid level in Japanes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We used polymerase chain reaction single-strand conformation polymorphism (PCR-SSCP) and sequencing of the GnRHR gene in 75 individuals. We identified three SNPs in the GnRHR gene: P1 locus (C759A and C830T) in the coding region of exon2 which were both linked together and P2 locus (G984T) in the coding region of exon3, which added a new transcript factor (ADR1) and a new methylation site (CG). Only C830T of P1 leads to amino acid changes Thr266Ile. Statistical analysis showed that P1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17{\beta}$-estradiol ($E_2$) level (p<0.01) and gonadosomatic index (GSI) (p<0.05). Individuals with genotype BB of P1 had significantly higher serum $E_2$ levels (p<0.01) and GSI (p<0.05) than those of genotype AA or AB. Another SNP, P2, synonymous mutation,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GSI (p<0.05). Individuals with genotype AB of P2 had significantly higher GSI (p<0.05) than that of genotype AA. In addition, there was a significant association between one diplotype based on three SNPs and reproductive traits. The genetic effects for both serum $E_2$ level and GSI of diplotype D4 were super diplotypes (p<0.05).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SNPs in Japanese Flounder GnRHR are associated with $E_2$ level and GSI.

동자개(Pseudobagrus fulvidraco)의 생식소 퇴화에 미치는 수온과 광주기의 영향 (Effect of Water Temperatures and Photoperiods on Gondal Degeneracy in Banded Catfish Pseudobagrus fulvidraco)

  • 임상구;김영수;한창희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4권6호
    • /
    • pp.845-853
    • /
    • 2012
  • To investigate the role of temperatures and photoperiods as environmental cues regulating reproductive rhythm in Pseudobagrus fulvidraco, rearing experiments were conducted using sveral rearing regimes conbined with photoperiods and water temperatures during gonadal degeneration periods. Gonadosomatic index (GSI) in control was $8.16{\pm}1.50%$, while in other experiment GSI levels in female were lower than that in the control. In case of experimental precinct of 9 light (L) and 15 L, GSI levels were decreased. But GSI level with $20^{\circ}C$ was no diffrence after 40 and 60 days. GSI level in male of control was $0.35{\pm}0.05%$. GSI under 9 L and $25^{\circ}C$ was similar to that in control, whereas its level in other experiments was lower than that in control. Testosterone (T) of female was $3.68{\pm}0.22$ ng/mL at experimental precinct. In case of 9 L and 15 L, concentration of T were lower than experimental precinct in all of water temperature. Estradiol-$17{\beta}$ ($E_2$) and $7{\alpha}$, $20{\beta}$-dihydroxy-4-pregnen-3-one ($17{\alpha}20{\beta}OHP$) levels of female were $0.42{\pm}0.02$ and $0.83{\pm}0.01$ ng/mL at experimental precinct. $E_2$ levels of 9 and 15 L were higher than experimental precinct and $17{\alpha}20{\beta}OHP$ levels of 9 and 15 L were higher than experimental precinct. In case of T and 11-ketotestosterone levels were $0.69{\pm}0.11$ and $.62{\pm}0.03$ ng/mL in male. During the period of gonadal degeneration, gonadal maturation did not occur in any of the experimental regimes. However, comparatively high levels of $E_2$ observed at low temperature regimes ($20^{\circ}C$) regardless of photoperiods.

광주기와 수온이 양식산 수컷 참조기(Larimichthys polyactis) 성성숙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hotoperiod and Water Temperature on Male Sex Steroid Levels in Cultured Small Yellow Croaker (Larimichthys polyactis))

  • 김효원;김정현;박진우;백혜자;김대중
    • 생명과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314-320
    • /
    • 2021
  • 본 연구는 환경요인이 성숙기 발달단계의 양식산 수컷 참조기(Larimichthys polyactis)의 성성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광주기와 수온에 따른 GSI, 정소 발달 및 혈중 성호르몬 변화를 조사하였다. 실험 1 : 광주기를 자연광주기(Natural Photoperiod, NP, 10L:14D~11L:13D), 장일주기(Long Photoperiod, LP, 14L:10D), 단일주기(Short Photoperiod, SP, 10L:14D)로 설정하였고, 수온은 17℃로 설정하여 90일간 실험하였다. 그 결과, GSI는 실험 30일째와 60일째, 혈중 11-KT 농도는 실험 30일째에 LP 실험구에서 다른 실험구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실험 2 : 수온을 자연수온(Natural temperature, NT, 19.1~15.0℃), 17℃, 21℃, 25℃로 설정하였고, 광주기는 14L:10D로 설정하여 60일간 실험하였다. 그 결과, GSI는 실험 30일째와 60일째, 혈중 11-KT 농도는 실험 60일째에 25℃ 실험구에서 다른 실험구보다 유의하게 낮게 나타났다. 따라서 수컷 참조기는 단일주기(10L:14D)보다 장일주기(14L: 10D)에서 성성숙이 촉진되고, 25℃ 이상의 수온에서는 성성숙이 억제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이러한 결과는 참조기 번식생리학 연구를 위한 기초자료로 유용하게 이용될 것이라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