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oby

검색결과 99건 처리시간 0.051초

망둥어의 일종(一種), Gobiosoma bosci의 세력권점유(勢力圈占有) 생태(生態) (The territorial behavior of the naked goby, Gobiosonia bosci, (Pisces: Gobiidae))

  • 석규진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208-216
    • /
    • 1993
  • 망둑어의 일종인 Gobiosoma bosci의 세력권 점유행동을 실험실에서 24시간마다 관찰을 하였다. 각 개체들은 크기나 성별에 관계없이 접근 위협 공격, 그리고 싸우는 세력권을 유지하기 위한 적대행동을 보였다. 실험동물의 체색변화는 실험기간동안 계속적으로 변하였으며, 점유자와 침입자의 크기가 비슷한 경우 싸우는 시간이 길었으며 체색의 변화가 심하였다.

  • PDF

제주도 남부 외해에서 출현한 망둑어과(농어목) 한국미기록종, Obliquogobius yamadai (First Record of a Deep-dwelling Goby, Obliquogobius yamadai (Perciformes: Gobiidae) from Korea)

  • 김병직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38-41
    • /
    • 2013
  • 제주도 남부 외해에서 채집된 3개체의 표본(체장 30.3~47.0 mm)에 근거해 깊은 바다에 서식하는 망둑어과 Obliquogobius yamadai를 한국미기록종으로 보고한다. 본 종은 체측에 황색 띠가 있는 점, 제2등지느러미 기조수가 1극조 9연조인 점, 후두부 측면에 비늘이 있는 점, 머리가 작고 눈이 비교적 큰 점, 꼬리지느러미가 상하로 비대칭인 점 등의 특징이 있다. 본 종의 신한국명으로 "깊은바다노란띠망둑"을 제안한다.

Prostaglandin Affects In Vitro Ovulation and 17α, 20β-Dihydroxy-4-pregnen-3-one Production in Longchin Goby, Chasmichthys dolichognathus Oocytes

  • Baek, Hea Ja;Lee, Da Som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23권2호
    • /
    • pp.111-117
    • /
    • 2019
  • This study focused on the association of prostaglandins and a progestin, $17{\alpha}$, $20{\beta}P$-dihydroxy-4-pregnen-3-one ($17{\alpha}20{\beta}P$) during the ovulation process in longchin goby, Chasmichthys dolichognathus. We performed several in vitro experiments using $850-920{\mu}m$ diameter oocytes which were at the migratory nucleus stage. With the $890-920{\mu}m$ diameter oocyte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ovulation was observed in any of the prostaglandins (PGE1, PGE2, and $PGF2{\alpha}$) treated groups although PGE2 and $PGF2{\alpha}$ at concentrations of 50 ng/mL increased ovulation slightly compared with controls; however, $17{\alpha}20{\beta}P$ production was stimulated with PGE1 alone at low concentrations (5 ng/mL). In $850{\mu}m$ diameter oocytes, $PGF2{\alpha}$ at concentrations of 50 and 500 ng/mL resulted in a significant increase in ovulation. $17{\alpha}20{\beta}P$ (50 ng/mL) alone had no observable effect on ovulation, but in the combined of $PGF2{\alpha}$ 50 or 500 ng/mL it caused the greatest effect on ovulation. The sensitivity of oocytes to the induction of ovulation varies between 850 and $890-920{\mu}m$, it appeared to vary depending on the migration status of nucleus. These results suggest that $PGF2{\alpha}$ (or combined of $17{\alpha}20{\beta}P$) was more potent in inducing ovulation of the longchin goby.

풀망둑 Synechogobius hasta (TEMMINCK et SCHLEGEL)의 먹이 조사 (A STUDY ON THE FOOD OF THE GOBY, SYNECHOGOBIUS HASTA)

  • 백의인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47-62
    • /
    • 1969
  • 풀망둑 Synechogobius hasta(TEMMINCK et SCHLEGEL)의 식성 조사와 먹이생물 상호간의 생물학적 변화를 조사하기 위하여 낙동강 유역의 선암, 가락, 성산, 하단의 4개 지점에서 총 1,295개체의 풀망둑을 월별로 채집하였다. 위 내용물은 3가지 방법에 의해 구분하였으며, 이 방법은 수정된 Nilsson의 방법(Dahl 1962)을 다시 약간 수정하여 사용하였다(Table 2). 1) 위 내용물의 각 먹이종목별 수를 계산하여 한 계절동안 전체 풀망둑이 먹은 먹이생물의 총 개체수에 대해 Percentage를 낸 것을 Table 2에 "N"(Numerical)로 표시하였다. 2) 한 계절동안 채집한 풀망둑 수에 대한 각 먹이종목(Food Item)이 발생하는 풀망둑 수의 출혈빈도수를 Table 2에 "O"(Frequncy of Occurrence)로 표시하였다. 3) Predominant한 먹이종목을 선택하여 그것의 총 개체수에 대한 각 Predominant한 먹이수의 Percentage를 "D" (Dominance)로 표시하였다. 먹이생물은 50개의 먹이종목으로 되고 이것을 13가지의 Main Group로 나누고 (Fig. 2-1), 이것을 다시 먹이 생물을 제공하는 Habitat내의 Animal Community의 조건에 따라 Obligatory Bottom Animal, Organic Drift 와 Actively Swimming Form로 나누었다. 풀망둑의 식성은 Table 2에서 보는 것과 같이 먹이생물의 평균 $94.6\%$가 Obligatory Bottom Animal인 것으로 보아 풀망둑은 전형적인 Bottom Feeder였다. 그리고, 이들의 먹이생물은 일반적으로 이들이 살고 있는 Habitat 내의 Benthic Fauna의 Local Composition에 의해 Dominant Food Organism이 결정되고, 계절별로 먹이생물들 사이에 생물학적 상호 작용으로 인한 Seaeonal Rhythm을 나타내고 있었다. 선암 지역과 가락 지역은 동일한 먹이생물들 사이에 Habitat의 종적 구분에 의해 그 Population의 천이가 반대 현상으로 나타나는 Locality Variation을 보이며, 성산, 하단 지역은 먹이생물의 계절적 변화와 하구성 생물상이 동일한 점으로, 동일한 조건의 Habitat로 생각된다. 이상의 것을 간추려 보면, 1) 풀망둑은 주로 저생동물을 먹이로 하며, 그 먹이생물은 Habitat 내의 Food Composition에 의해 결정된다. 2) 먹이생물의 계절적 변화는 Population내의 생물학적인 변화의 상호 작용에 의해 Seasonal Rhythm을 나타낸다. 3) 풀망둑의 식성은 비편식성이고 먹이생물의 종류 변화가 많다. 4) 가장 중요한 먹이생물은 Polychaeta, Palaemon modestus, Isopoda, Gammaridea, Insecta (nymphs and larvae), Ilyoplax deschampsi, Paratye compressa로 나타난다. 5) 성산, 가락, 선암의 Community내에서 먹이생물은 종적천이 (Longitudinal Succession) 현상이 나타난다 6) 풀망둑은 수은이 상승($20^{\circ}C$이상)하는 4월경부터 하구로 이동하고, 9월부터 상류로 이동하는 Seasonal Movement를 하는 어류이다.

  • PDF

Digestive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Gobiidae - Characteristics of CCK-producing Cells and Mucus-secreting Goblet Cells of Stomach Fish and Stomachless Fish -

  • Hur, Sang-Woo;Kim, Shin-Kwon;Kim, Dae-Jung;Lee, Bae-Ik;Park, Su-Jin;Hwang, Hyung-Gyu;Jun, Je-Cheon;Myeong, Jeong-In;Lee, Chi-Hoon;Lee, Young-Don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20권3호
    • /
    • pp.207-217
    • /
    • 2016
  •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characteristics of CCK-producing cells and mucus-secreting goblet cells with respect to stomach fish and stomachless fish of the Gobiidae in order to provide a basis for understanding the digestive physiology. Hairychin goby (Sagamia geneionema), which is stomachless fish, the numbers of mucus-secreting goblet cells is highest in the posterior intestine portion (P<0.05), while CCK-producing cells are scattered throughout the intestine. Gluttonous goby (Chasmichthys gulosus), which is stomach fish, mucus-secreting goblet cells are most abundant in the mid intestine portion (P<0.05), whereas CCK-producing cells are observed only in the anterior and mid intestine portion. Trident goby (Tridentiger obscurus) which is stomach fish, mucus-secreting goblet cells were most abundant in the mid intestine portion (P<0.05). CCK-producing cells are found in the anterior and mid intestine portion. Giurine goby, Rhinogobius giurinus which is also stomach fish, the largest number of mucus-secreting goblet cells showed in anterior intestine portion except for esophagus (P<0.05). CCK-producing cells are present only in the anterior and mid intestine portion. In S. geneionema, digestive action occurs in the posterior intestine portion to protect and functions to activate digestion. In contrast, in C. gulosus, T. obscurus and R. giurinus, their digestive action occurs in the anterior and mid intestine portion to protect and functions to activate digestion. Further studies of the modes of food ingestion by these fish, the contents of their digestive tracts, and the staining characteristics of the goblet cells need to be carried out.

점망둑(Chasmichthys dolichognathus)의 성숙기 난모세포에서의 $C_{21}$-스테로이드 생성 (Production of $C_{21}$-Steroids in Longchin Goby, Chasmichthys dolichognathus during Oocyte Maturation)

  • 백혜자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12권1호
    • /
    • pp.107-112
    • /
    • 2008
  • 점망둑의 난모세포 성숙과정에서 생성되는 주요 성 스테로이드 호르몬, $C_{21}$-스테로이드를 분석하고자 전구물질 $^3H-17{\alpha}hydroxyprogesterone$ ($^3H-17{\alpha}OHP$)를 성숙기 난모세포(난경 $0.74{\sim}0.97\;mm$) 배양초기에 첨가하여 24시간 배양하였다. 스테로이드 대사물질 분석과 동정은 thin layer chromatography와 gas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로 이루어졌다. $^3H-17{\alpha}20{\alpha}P$로부터 생성된 주요 성 스테로이드 대사물질은 $17{\alpha}$-hydroxy, $20{\alpha}$-dihydroprogesterone ($17{\alpha}20{\alpha}P$)와 $17{\alpha}$-hydroxy, $20{\beta}$-dihydroprogesterone ($17{\alpha}20{\beta}P$)로 확인되었다. 이들 대사물질은 난경 0.80 mm 이상에서 관찰되었으며, GVBD (germinal vesicle breakdown) 유도 효능 테스트에서 점망둑의 난모세포는 $17{\alpha}20{\beta}P$에 더 민감하게 반응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점망둑의 난소성숙 과정에 $17{\alpha}20{\alpha}P$$17{\alpha}20{\beta}P$이 모두 관여하나, MIS (maturation inducing steroid)로서의 가능성은 $17{\alpha}20{\beta}P$이 더 큰 것으로 관찰되었다.

  • PDF

Two species of goby, Boleophthalmus pectinirostris and Scartelaos sp., as the new second intermediate hosts of heterophyid fluke in Korea

  • SOHN Woon-Mok;KIM Jung-A;SONG Hyun-Jae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43권4호
    • /
    • pp.161-164
    • /
    • 2005
  • A survey was performed in order to determine the infection status of the metacercariae of heterophyid fluke in two goby species, Boleophthalmus pectinirostris and Scartelaos sp., collected from Gangjin-gun, and Shinan­gun, Sooncheon-shi, Jeollanam-do, Republic of Korea. A total of three metacercariae of Heterophyopsis continua was found in only one B. pectinirostris $(10.0\%)$ from Gangjin-gun. Heterophyes nocens metacercariae were detected in 24 B. pectinirostris $(96.0\%)$ and 14 Scartelaos sp. $(63.6\%)$ from Shinan-gun. Heterophyopsis continua metacercariae were found in 11 B. pectinirostris $(44.0\%)$ and 21 Scartelaos sp. $(95.5\%)$ from Shinan-gun. Stictodora fuscata metacercariae were detected in 18 B. pectinirostris $(72.0\%)$ from Shinan-gun. No metacercariae were detected in 20 B. pectinirostris from Sooncheon-shi. From the above results, this study is the first to prove that B. pectinirostris and Scartelaos sp. serve as the second intermediate hosts of some heterophyid flukes in Korea.

한국산 망둑어과(농어목) 어류 1미기록종, Asterropteryx semipunctata (First Record of the Starry Goby, Asterropteryx semipunctata (Perciformes: Gobiidae) from Jeju Island, Korea)

  • 김병직;이용주;고유봉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66-69
    • /
    • 2007
  • 제주도 남부 연안에서 망둑어과에 속하는 Asterropteryx semipunctata 17개체 (표준체장 29.1~50.7 mm)를 채집하였다. 본 종은 아직 국내에서는 보고되지 않은 한국미기록종으로, 배지느러미가 유합되지 않고, 전새개골 상후연에 5~8개의 거치가 있으며, 두부, 체측, 그리고 제1등지느러미를 제외한 홑지느러미에 청색 반점이 산재하는 특징에서 동속의 유사종과 구별된다. 본 종의 신한국명은 '청별망둑'이라 명명하였다.

순천 상내리 갯벌역에 출현하는 문절망둑 (Acanthogobius flavimanus)의 식성 (Feeding habits of yellowfin goby, Acanthogobius flavimanus in the tidal flat of Sangnae-ri, Suncheon, Korea)

  • 박종혁;정재묵;김현지;예상진;백근욱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52권2호
    • /
    • pp.169-175
    • /
    • 2016
  • The feeding habits of yellowfin goby (Acanthogobius flavimanus) were studied based on the examination of stomach contents of 171 specimens collected from September 2013 to August 2014 in the tidal flat of Sangnae-ri, Suncheon, Korea. The size of A. flavimanus ranged from 10.6 to 18.3 cm in standard length (SL). A. flavimanus mainly consumed amphipods (especially Corophium sp.). Its diet also included shrimps, crabs, fishes and polychaetes. Ontogenetic changes in diet composition of A. flavimanus were evident. The portion of amphipods and polychaetes was inversely proprotional to the increase in fish size whereas it was directly proportional to the increase in the consumption of shrimps and crabs increa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