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lycopyrrolate

검색결과 16건 처리시간 0.022초

Efficacy of Glycopyrrolate in Primary Hyperhidrosis Patients

  • Lee, Hyun-Ho;Kim, Do-Won;Kim, Do-Wan;Kim, Chan
    • The Korean Journal of Pain
    • /
    • 제25권1호
    • /
    • pp.28-32
    • /
    • 2012
  • Background: Primary hyperhidrosis is a disorder of excessive sweating, which shares several features with anxiety disorders and has a negative impact on a patient's quality of life. Oral glycopyrrolate is one of the treatments available. There are a few published studies on the use of glycopyrrolate given orally in the treatment of hyperhidrosis. Methods: Thies is study was a review of case notes in a series of 36 patients with primary hyperhidrosis. We made a comparison between the Keller's scale score of a pre-glycopyrrolate medication group and the Keller's scale score f a post-glycopyrrolate medication group. The Milanez de Campos score, Short Form_36 (SF-36) score, Beck Depression Inventory (BDI) score, Beck Anxiety Inventory (BAI) score, and autonomic nervous system (ANS) scale score were also compared between the two groups. Results: In the post-glycopyrrolate medication group, there were declines in Keller's scale, and Milanez de Campos scale score and BAI score (P < 0.001). In addition, there were increases in SF_36 score in the post-glycopyrrolate medication group (P = 0.03) However, no changes were seen in, BDI score and ANS score in the post-glycopyrrolate medication group (P < 0.001). Conclusions: Glycopyrrolate is an effective initial method of treating primary hyperhidrosis that, reduces anxiety and improve patients' quality of life.

Effectiveness of Oral Glycopyrrolate Use in Compensatory Hyperhidrosis Patients

  • Gong, Tai Kyung;Kim, Do Wan
    • The Korean Journal of Pain
    • /
    • 제26권1호
    • /
    • pp.89-93
    • /
    • 2013
  • Compensatory hyperhidrosis or reflex hyperhidrosis is the increase in sweating in the postoperative stage of thoracic sympathectomy or lumbar sympathectomy. It shares several features with anxiety disorders and has a negative impact on a patient's quality of life. Oralglycopyrrolate is one of the treatment options available. This study reviewed case notes in a series of 19 patients with compensatory hyperhidrosis. We made a comparison between the Milanez de Campos score of a pre-glycopyrrolate medication group and the Milanez de Campos score of a post-glycopyrrolate medication group. The Beck Depression Inventory (BDI) score, Beck Anxiety Inventory (BAI) score, and autonomic nervous system (ANS) scale score were also compared between the pre-medication and post-medication groups. In the post-glycopyrrolate medication group, there was decrease in the Milanez de Campos score, BAI score, and BDI score (P < 0.05). But no meaningful change was seen in the ANS score in the post-glycopyrrolate medication group (P > 0.05). Glycopyrrolate is an effective medication in the treatment of compensatory hyperhidrosis that, can alleviate anxiety and improve patients' quality of life.

Influence of Midazolam and Glycopyrrolate on Intra-operative Body Temperature in Abdominal Surgical Patients

  • Kim, Eun-Ju;Yoon, Hae-Sang
    •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 /
    • 제14권1호
    • /
    • pp.25-32
    • /
    • 2012
  • Purpose: influence of benzodiazepine (midazolam)or cholinergic inhibitor (atropine or glycopyrrlate) on intra-operative body temperature remains unclear and controversial. This study compares intra-operative body temperature in 50 abdominal surgical patients under general anesthesia between the administration of midazolam and glycopyrrolate in combination, or glycopyrrolate alone. Methods: Patients who underwent abdominal surgery were recruited from September 2008 through October 2009 at Gachon University Gil hospital in incheon. Core body temperature was measured in the right ear using a tympanic membrane thermometer at induction of general anesthesia and at 1 hr, 2 hr, and 3 hr after induction. Results: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core body temperature at any measurement point between either patient group (F=1.08, $p$=.377). Core body temperature decreased throughout the 3 hr after induction in both groups (F=9.22, $p$ <.001). Specially, core temperatures at induction of general anesthesia (p<.001), 1 hr (p<.001), 2 hr ($p$ <.001), and 3 hr ($p$ <.001) after induction were lower than before administration of midazolam and glycopyrrolate, or glycopyrrolate alone. Conclusion: We conclude that a cholinergic inhibitor (glycopyrrolate, 0.1 mg) therefore seems not to affect intra-operative body temperature of patients given a benzodiazepine (midazolam, 0.04 mg $kg^{-1}$), and not to increase body temperature in patients not given a benzodiazepine during the 3 hr after the induction of general anesthesia. Intra-operative warming therefore is needed to prevent hypothermia in surgical patients who receive pre-operative administration of midazolam and/or glycopyrrolate.

개에서 Medetomidine과 Midazolam 병용 투여 시 Glycopyrrolate가 심맥관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Glycopyrrolate on Cardiovascular System in Dogs Sedated with Medetomidine-Midazolam Combination)

  • 한대경;신범준;이재연;지현철;박지영;김명철;정성목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317-323
    • /
    • 2009
  • 이 연구는 혈관 내로 medetomidine (20 ${\mu}g$/kg)을 투여하고, 근육 내로 midazolam (0.3 mg/kg)을 투여한 개에서 혈관 내로 glycopyrroate를 투여하였을 때 심혈관계와 호흡기계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임상적으로 건강한 16마리의 중성화 하지 않은 비글견 (BW: 평균 8.35 kg)이 사용되었다. 혈관 내로 medetomidine과 근육내로 midazolam을 투여하기 전에 glycopyrrolate를 5 ${\mu}g$/kg (Gly-5), 10 ${\mu}g$/kg (Gly-10), 또는 20 ${\mu}g$/kg (Gly-20)의 용량으로 혈관 내로 투여하고, 대조군은 생리식염수를 혈관 내로 투여하였다. 심박수, 혈압(수축기 동맥압, 이완기 동맥압, 평균 동맥압), 우심방 동맥압, 폐동맥압, 폐동맥 쐐기압, 호흡수, 일회호흡량, 호기말 이산화탄소 분압을 환축감시기를 통해 직접 측정하였다. 심박출량을 측정하고, 계산공식으로 심박출계수, 일회심박출지수, 전신혈관 저항, 폐혈관 저항을 산출했다. 동맥혈을 채취하여 동맥혈 가스를 분석기로 분석하였다. Medetomidine/midazolam병용 투여의 부작용으로 심혈관계에서 서맥이 나타나고, 심박출량 감소와 전신혈관저항, 우심방압, 폐동맥 쐐기압은 증가 현상을 보였다. 서맥은 glycopyrrolate를 투여한 군에서는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Gly-10, Gly-20군에서는 빈맥이 관찰되었다. 전반적으로 glycopyrrolate를 투여한 군에서는 혈압은 상승하였으나, Gly-5 군의 경우 대조군과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심박출량 지수는 Gly-20군을 제외한 모든 군에서 medetomidine/ midazolam병용 투여 10분과 20분에 큰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로 medetomidine/midazolam병용 투여는 빠르고 만족할 만한 진정을 보여주나, 현저한 심혈관 부작용이 관찰되고 혈관 내로 glycopyrrolate를 투여에 의해서도 큰 역전을 보이지 않는다. 이러한 결과로 medetomidine/midazolam병용 투여는 심폐기능 변화에 적응할 수 있는 건강한 개에서만 고려될 수 있는 방법이라고 생각된다.

개에서 케타민-자일라진 마취동안 심박변이도에 대한 아트로핀과 글리코피롤레이트의 자율신경적 특성 (Autonomic Nervous Properties of Atropine and Glycopyrrolate on Heart Rate Variability during Anesthesia with Ketamine-Xylazine in Dogs)

  • 박우영;배춘식;이수한;박우대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212-219
    • /
    • 2009
  • 개의 마취에서 부작용을 예방하기 위하여 전마취제로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어지는 항콜린제는 심장에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다. 비글견에서 케타민 마취 동안 심장의 교감신경과 부교감 신경의 균형에 대한 아트로핀과 글리코피롤레이트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심박변이도, 마취 기간 그리고 행동 변화가 평가 되어졌다. 아트로핀과 글리코피롤레이트에서는 어떠한 일시적인 domain 차이도 없었다. 주파수 영역과 연관되어서는, 아트로핀과 글리코피롤레이트 효과는 모두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낮게 나타났다(P<0.05). 그러나, 아트로핀의 RMSSD와 SD1은 기준선보다 낮았으며(P<0.05), 글리코피롤레이트의 LF:HF ratio는 기준선보다 높은 유의한 변화를 보였다(P<0.05). SD1의 변화는 주파수 도메인의 HF와 일치하는 변화를 보였으며 호흡수와 $SpO_2-R$의 변화와도 일치하는 변화를 보였다. 우리의 결과는 심장의 자율신경적 특성을 이용하여 글리코피롤레이트가 안전성과 작용 시간을 고려하여 개에서 케타민 마취 시 항콜린제로 더욱 적당하다는 것을 증명한 것이다.

천미골 국소 다한증 환자의 치료 경험 -증례 보고- (A Treatment Experience of Focal Hyperhidrosis in Sacrococcygeal Region -A report of two cases-)

  • 윤경봉;김원옥;윤덕미;이윤창;박준희;홍남근
    • The Korean Journal of Pain
    • /
    • 제18권1호
    • /
    • pp.89-91
    • /
    • 2005
  • Essential hyperhidrosis is a socially disabling and emotionally embarrassing condition. Localized excessive sweating in the sacrococcygeal region is a rare form of focal hyperhidrosis. Although numerous treatment options exist, including botulinum toxin and sympathetic neurolysis, there has been no generally accepted form of treatment. The following cases describe the successful reduction of excessive sweating in the sacrococcygeal region, without side effects, after local applications of topical glycopyrrolate and the use of fast drying clothes.

내시경적 부비동 수술 시 항콜린성제제 사용이 수술 후 인후통 발생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Anticholinergic Agents on Postoperative Sore Throat in Patients Undergoing Endoscopic Sinus Surgery)

  • 이주영;이덕희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24권2호
    • /
    • pp.305-310
    • /
    • 2007
  • 수술 후 인후 합병증은 통증이나 구토에 비하면 사소한 합병증이지만 흔히 환자들이 불편을 호소한다. 양 측 내시경적 부비동 수술 후에 양 코를 막아 입으로 숨 쉬게 되어 구강 건조가 더 심할 것으로 보고 환자들을 glycopyrrolate를 전투약 하고 반전시에 쓴 경우, 전투약 하지 않고 반전에만 쓴 경우, 전투약에만 쓰고 반전은 atropine을 쓴 경우, 전투약 하지 않고 반전은 atropine으로 한 경우의 네 군으로 나누었다. 마취 종료 1시간, 6시간, 12시간, 24시간, 48시간 후의 인후통과 쉰 소리 여부를 묻고, 없는 경우 0, 있는 경우에는 감기 시 목 아픈 것 보다 약하면 1, 비슷하면 2, 더 심하면 3으로 하여 심각도를 나누어 물었다. 각 군 간의 인후통 발생률은 1군에서 조금 높았으나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심각도는 모두 1이하로 낮았다. 쉰 소리는 모든 환자에서 발생하지 않았다. 양측 내시경적 부비동 수술 후 인후 합병증은 심각도가 낮고 24시간 내에 사라지는 것으로 항콜린성 제제 사용을 피해야 할 필요성은 없을 것으로 보인다.

  • PDF

개 빈맥에 대한 내관(PCO6) 및 심수(BLl5) 자침의 효과 (The Efficacy of Needle-Acupuncture at Nei Guan (PC06) and Xin Shu (BL15) on Canine Tachycardia)

  • 조영호;전형규;김남주;임수정;정해성;김상훈;유명조;김덕환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5권5호
    • /
    • pp.359-362
    • /
    • 2008
  • 본 연구는 개 빈맥에 대한 내관 (PC06) 및 심수 (BLl5)자침의 효과를 입증하고자 실시하였다. 총 18두의 비글견을 대조군 (6두), PC06 군 (6두) 및 BL15 군 (6두)로 각각 나누었다. 빈맥은 glycopyrrolate를 근육주사하여 유발하였다. 대조군은 아무런 처치를 하지 않았으나, 실험군은 glycopyrrolate 투여와 동시에 각각 PC06 및 BL15에 20분간 유침하였으며, R-R 간격의 변화 및 호흡수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PC06군과 BL15군에서의 R-R 간격은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성 있는 증가를 나타내었으며, BL15군의 R-R 간격은 PC06군에 비하여 유의성 있는 증가를 나타내었다. PC06군의 호흡수는 대조군과 비슷한 경향을 나타냈으나 BL15군은 대조군 및 PC06군에 비하여 유의성 있는 감소를 나타내었다. 결과적으로, PC06 및 BL15의 자침은 개 빈맥의 회복에 도움이 되며, BL15가 PC06보다 효과적인 것으로 판단된다.

제왕절개환자에 있어서 Succinylcholine-Atracurium의 임상적 고찰 (A Clinical Study of Succinylcholine-Atracurium for Cesarian Section)

  • 박대팔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3권1호
    • /
    • pp.49-51
    • /
    • 1986
  • 제왕절개술 환자 10인에게 Succinylcholine Chloride 및 atracurium을 준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Succinyline chloride 1mg/kg와 atracurium 0.4mg/kg를 주어 충분한 근육이완을 유지하였다. 2. 혈압과 맥박은 atracurium주사 후 의의있는 변화는 없었다. 3. 태아의 Apgar score는 1분과 5부때 8~10점으로 모두 양호한 상태였다.

  • PDF

지속성 무스카린 대항제(LAMA)의 안전성 (Issues on Safety of Long-Acting Muscarinic Antagonist)

  • 이양덕;조용선;한민수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70권5호
    • /
    • pp.384-389
    • /
    • 2011
  • The prevention of and the controlling of symptoms, reductions in the frequency of exacerbations, and disease severity are central to the pharmacologic therapy of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COPD). COPD patients are inclined to be older, have more comorbidities, and use polypharmacy as a result. Long-acting inhaled muscarinic antagonists (LAMAs) is a preferred treatment modality. However, the cardiovascular (CV) safety of anti-cholinergics, including LAMA, has been an issue. In contrast, the results of the UPLIFT trial and a pooled analysis of data from 30 trials of tiotropium illustrates the association of tiotropium with reductions in the risk of all cause mortality, CV mortality and CV events. And, the UPLIFT trial provides clues regarding the additive advantages of tiotropium in COPD patients who already are using long-acting inhaled ${\beta}_2$ agonists and inhaled corticosteroids. Following the contribution of tiotropium as a first LAMA, new LAMAs such as aclidinium and glycopyrrolate (NVA-237) seem to be emerg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