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lycol Ether

검색결과 236건 처리시간 0.017초

수종 용제 중 퀘르세틴의 용해성 및 안정성 (Solubility and Physicochemical Stability of Quercetin in Various Vehicles)

  • 곽혜선;김혜원;전인구
    • Journal of Pharmaceutical Investigation
    • /
    • 제34권1호
    • /
    • pp.29-34
    • /
    • 2004
  • The solubility and stability of quercetin in various vehicles were determined. The solubility of quercetin at $28^{\circ}C$ increased in the rank order of isopropyl myristate < oleyl alcohol < propylene glycol monolaurate < oleoyl macrogol­6 glycerides < linoleoyl macrogol-6 glycerides < propylene glycol laurate (PGL) < propylene glycol monocaprylate (PGMC) < polyethylene glycol-8 glyceryl linoleate < caprylocaproyl macrogol-6 glycerides < diethylene glycol mono ethyl ether (DGME). The addition of DGME to non-aqueous vehicles such as PGL ad PGMC markedly increased the solubility of quercetin. From the stability studies, it was found that quercetin was unstable due to rapid oxidation by dissoved oxygen. The addition of a combination of ascorbic acid and edetic acid (EDTA) at 0.1 % markedly decreased the degradation rates of quercetin in 40% polyethylene glycol 400 in saline. Quercetin was relatively unstable in non-aqueous vehicles such as PGL and PGMC alone, and PGL-PGMC co-solvent The degradation of quercetin in such non-aqueous vehicles was fast, depending on temperature. The addition of butylated, hydroxytoluene, butylated hydroxyanisole, citric acid and/or EDTA at 0.1 % was effective in retarding the degradation of quercetin.

열가소성 폴리우레탄의 결정화에 미치는 폴리올 종류 및 경질부 함량의 영향 (Effects of Polyol Types and Hard Segment Contents on the Crystallization of Thermoplastic Polyurethanes)

  • 김성근;이명걸;;이대수
    • 폴리머
    • /
    • 제29권2호
    • /
    • pp.140-145
    • /
    • 2005
  •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hermoplastic polyurethane: TPU)의 제조에 사용한 폴리올 종류와 경질부 함량에 따른 TPU의 결정화 거동을 고찰하였다. TPU의 제조에 사용한 폴리올은 분자량이 2000인 poly(tetamethylene ether glycol) (PTMEG), poly(propylene glycol)(PPG) diol, polycaprolactone(PCL) diol, poly(butylene adipate)(PBA) diol을 사용하였으며, 경질부 함량은 $35\~44\;wt\%$였다. TPU의 경질부 냉각 결정화는 경질부 함량이 많을수록 고온에서 관찰되었다. TPU의 등온 결정화 속도는 경질부 함량이 많을수록 빠르고, TPU 제조에 사용한 폴리올 종류별로는 $PTMEG>PPG>PCI{\geqq}PBA$ 경향이 나타나, 연질부와 경질부의 상용성이 낮을수록 용융상태에서 경질부의 수소결합이 용이하고 결정화 속도가 빠르며, 냉각 결정화가 고온에서 나타나는 것으로 해석하였다.

Flexibility 도입을 위한 Propylene glycol 기반 폴리올, 우레탄 변성 에폭시 합성 및 특성 분석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Propylene Glycol based Polyol and Urethane modified Epoxy Monomer for Flexibility)

  • 전재희;황치원;백종호;임충선;서봉국;유영창;이원주
    • 접착 및 계면
    • /
    • 제22권1호
    • /
    • pp.8-15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우레탄 변성 에폭시의 유연성 부여를 위해 propylene glycol(PPG) 기반 diamine인 Jeffamine D-400을 이용하여 폴리올을 만들고 이를 이용하여 우레탄 변성 에폭시를 합성하였다. Bisphenol A diglycidyl ether(BADGE)에 합성한 우레탄 변성 에폭시와 경화제, 경화촉진제를 배합하여 에폭시 접착제를 제조하고 접착강도 측정으로 전단 강도를 측정하였다. 측정 결과 합성한 우레탄 변성 에폭시의 우레탄 결합과 PPG사슬 도입을 통한 유연성 부여 효과로 인해 전단 강도와 전단 신율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높은 가교 밀도로 인해 사용에 제약을 받고 있는 구조용 접착제에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다양한 조성의 혼용 폴리올에 기초한 접착력 및 굴곡성이 향상된 자외선 경화형 폴리우레탄 접착제의 합성 (Synthesis of UV Curable Polyurethane Adhesives Based on Various Compositions of Mixed Polyol with Improved Adhesion and Flexural Properties)

  • 이원영;박수용;김구니;정일두
    • 접착 및 계면
    • /
    • 제23권4호
    • /
    • pp.137-143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신발 및 의류용 접착제로 접착력과 굴곡성이 우수한 폴리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수지를 합성하기 위하여 폴리에스테르 폴리올인 poly(tetramethylene adiphate glycol) (PTAd)와 폴리에테르 폴리올인 poly(tetramethylene ether glycol) (PTMG)를 4,4'-methylene diphenyl diisocyanate (MDI), isophorone diisocyanate (IPDI), 1,4-butandiol (1,4-BD), 2-ydroxyethyl methacrylate (2-HEMA), dibutyl amine (DBA)와 함께 사용하여 폴리우레탄 아크릴레이트를 합성하였으며, 폴리올을 병용한 폴리우레탄 아크릴레이트의 열적·기계적 특성, 접착력 및 굴곡성을 검토하였다. 합성된 폴리우레탄 아크릴레이트의 유리전이온도는 -70~-40 ℃ 범위로 확인되었으며, PTAd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유리전이온도, 분해온도, 인장강도, 접착력 및 내열성이 증가하였고 반대로 신장률, 내수성 및 굴곡성은 감소되었다. 합성된 폴리우레탄 아크릴레이트는 PTAd와 PTMG 비율이 5:5일 때 높은 접착력과 굴곡성을 나타내었다.

SO2와 다른 기체에 대한 PEG와 Glutaraldehyde가 혼합된 PEBAX 막의 투과 특성 (Transport Properties of PEBAX Blended Membranes with PEG and Glutaraldehyde for SO2 and Other Gases)

  • 조은혜;김광배;임지원
    • 폴리머
    • /
    • 제38권6호
    • /
    • pp.687-693
    • /
    • 2014
  • 분자량이 400 g/mol인 poly(ethylene glycol)(PEG 400)을 poly(ether-block-amide) 1657(PEBAX 1657)와 혼합을 통하여 막을 제조하였고, time-lag 법에 의해 $N_2$, $O_2$, $CH_4$, $CO_2$, 그리고 $SO_2$ 기체에 대한 투과도를 테스트하였다. 투과특성은 막 내에서 기체분자이동에 어느 것이 지배적인가를 알기 위하여 확산과 용해 항으로 조사하였다. PEG 400의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모든 기체에 대한 투과도 및 이상선택도가 모두 증가하였다. 특히 $CO_2/N_2$의 경우 53.2(PEG 400이 첨가되지 않은 PEBAX 1657)으로부터 84.1(PEG 400이 50% 첨가된 막)이었으며, $SO_2/CO_2$는 38.9 에서 50.7, 그리고 $CO_2/CH_4$의 경우는 177.7에서 31.4의 결과를 보여주었다. 투과도와 선택도의 증가는 기체들의 용해도로 인한 것이며, 특히 $CO_2$$SO_2$에 대해서는 더욱 증가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수증기에 대한 내구성을 얻기 위하여, glutaraldehyde(GA)가 PEBAX 1657/PEG 400 혼합막에 첨가되었다. 결과적으로 투과도는 혼합막에 있어서 투과도 증가와 선택도 감소의 주된 요인으로 작용하는 자유부피와 ether oxide 기의 감소로 인하여 줄어들었으나 이는 막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는데 도움이 되었을 것으로 사료된다.

분산중합에 의한 폴리아미드 12 올리고머의 제조와 그를 이용한 Poly(ether-block-amide)의 특성 (Characterization of Poly(ether-block-amide)s Prepared from Oligomeric Polyamide 12 via Dispersion Polymerization)

  • 김두현;이지훈;김형중
    • 폴리머
    • /
    • 제36권4호
    • /
    • pp.513-518
    • /
    • 2012
  • 열적으로 안정한 탄화수소계 액상 파라핀인 YK-D130을 분산매로 사용하여 ${\omega}$-amino carboxylic acid와 adipic aicd로부터 폴리아미드 12(PA12) 올리고머(oPA1)를 제조하였으며 이들을 통상의 벌크중합으로 제조되는 비슷한 분자량의 폴리아미드 올리고머(oPA2)로 합성하여 분자량과 기타 특성을 비교하였다. 색도 분석 결과 oPA1이 더 밝은 백색을 나타냈고, GPC 결과로부터 oPA1가 더 좁은 분자량 분포를 보였다. 나아가 oPA1과 oPA2를 hard segment로 하고 poly(tetramethylene glycol)(PTMG)을 soft segment로 하는 탄성의 poly(ether-block-amide)(PEBA)를 합성하였다. 합성된 PEBA의 분자량과 기계적 성질 등을 비교 분석하였다.

잠용의 지질성분(脂質成分)에 관(關)한 연구(硏究) (A Study on the Lipid Components of Silkworn Pupae)

  • 김정호;박관화;김재욱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26권2호
    • /
    • pp.90-96
    • /
    • 1983
  • 잠사업(蠶絲業)의 부산물(副産物)인 잠용의 총지질함량(總脂質含量)은 35.37%(건물비(乾物比))로, diethyl ether-extract 34.47%, 85% methanol-extract 0.90%였다. Diethyl ether-extract부분에는 중성지질(中性脂質)이 96.07%, 당지질(糖脂質)이 2.89%, 인지질(燐脂質)이 1.04%였으나, 85% methanol-extract부분에는 중성지질(中性脂質)이 47.36%, 당지질(糖脂質)이 14.56%, 인지질(燐脂質)이 38.09%였다. Diethylether-extract부분의 중성지질(中性脂質)에서는 triglyceride(71.43%), free fatty acid(12.72%) 및 esterified sterol(8.12%)이 주요 구성지질(構成脂質)이었으며, 85% methanol-extract부분의 중성지질(中性脂質)에서는 free fatty acid(38.46%), triglyceride(34.21%) 및 free sterol(11.05%)이 주요 구성지질(構成脂質)이었고 esterified sterol은 존재치 않았다. Diethyl ether-extract에서는 5종류, 85% methanol-extract에서는 8종류의 당지질(糖脂質)이 검출(檢出)되었다. Diethyl ether-extract중의 인지질(燐脂質)은 phosphatidyl glycerol(41.01%), phosphatidyl choline(28.24%) 및 phosphatidyl ethanolamine(21.29%)이 주요구성지질이었으며 phosphatidyl inositol은 검출(檢出)되지 않았다. 85% methanol-extract중의 인지질(燐脂質)은 phosphatidyl glycerol(48.38%), phosphatidyl inositol(22.81%) 및 phosphatidyl choline(17.86%)이 주요 구성지질(構成脂質)이었다. 총지질(總脂質)의 주요 지방산(脂肪酸)은 oleic acid(33.53%), linolenic acid(30.47%) 및 palmitic acid(23.12%)였고, 전체 지방산중 불포화지방산(不飽和脂肪酸)은 71.02%였으며 필수지방산(必須脂肪酸)은 35.75%였다.

  • PDF

Characterization of a Cross-linked Polymer Electrolyte Prepared from Oligo(ethylene glycol) methacrylates-Acrylonitrile

  • Lee, Chang-Ryoul;Hyun, Seok-Hee;Lee, Suk-Kee;Kim, Woo-Sik;Moon, Seong-In;Jin, Bong-Soo
    • Macromolecular Research
    • /
    • 제9권5호
    • /
    • pp.292-295
    • /
    • 2001
  • A cross-linked solid polymer electrolyte was prepared by copolymerizing photochemically acrylonitrile (AN), oligo(ethylene glycol ethyl ether) methacrylate, oligo(ethylene glycol) dimethacrylate in the presence of lithium perchlorate as a lithium salt, ethylene carbonate-propylene carbonate as a mixed plasticizer, and poly(ethylene oxide) as a polymer matrix. The maximum ionic conductivity of the polymer electrolyte was 2.35$\times$10$\^$-3/ S/cm. The interface resistance of the polymer electrolyte was very low compared to that of the polymer electrolyte without AN. The former electrolyte was stable up to 4.3 V and the Ah efficiency was nearly 100% during the charge-discharge cycl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