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lycerolysis

검색결과 11건 처리시간 0.041초

Effects of Stirring and Addition of Chemical Compounds on Glycerolysis of Triglyceride in Reversed Micelles

  • Chang, Pahn-Shick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권3호
    • /
    • pp.197-201
    • /
    • 1991
  • Glycerolysis of triolein by lipase from Chromobacterium viscosum lipase was studied batchwise in AOT-isooctane reversed micelles. The reaction mixture was extracted with chloroform and the content of triolein, 1, 2-diolein, 1, 3-diolein, 1-monoolein, and free fatty acid in the condensed chloroform solution was determined using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HPLC). The effect of agitation speed on the initial rate of conversion was examined. As the speed of agitation increased up to 700 rpm, the reaction rate increased. However, above 700 rpm, the rate approached maximum and did not increase that much. The glycerolysis activity and the stability of the enzyme were affected by stirring and addition of histidine or copper. Addition of histidine and copper increased the rates of glycerolysis but they are detrimental to the operational stability in reversed micelles.

  • PDF

Preparation of Diacylglycerol from Lard by Enzymatic Glycerolysis and Its Compositional Characteristics

  • Diao, Xiaoqin;Guan, Haining;Kong, Baohua;Zhao, Xinxin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7권6호
    • /
    • pp.813-822
    • /
    • 2017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prepare diacylglycerol (DAG) by enzymatic glycerolysis of lard. The effects of reaction parameters such as lipase type, reaction temperature, enzyme amount, substrate molar ratio (lard/glycerol), reaction time, and magnetic stirring speed were investigated. Lipozyme RMIM was found to be a more active biocatalyst than Novozym 435, and the optimal reaction conditions were 14:100 (W/W) of enzyme to lard substrate ratio, 1:1 of lard to glycerol molar ratio, and 500 rpm magnetic stirring speed. The reaction mixture was first incubated at $65^{\circ}C$ for 2 h and then transferred to $45^{\circ}C$ for 8 h. At the optimum reaction conditions, the conversion rate of triacylglycerol (TAG) and the content of DAG in the reaction mixture reached 76.26% and 61.76%, respectively, and the DAG content in purified glycerolized lard was 82.03% by molecular distillation. The distribution of fatty acids and Fourier transform infrared spectra in glycerolized lard samples were similar to those in lard samples. The results revealed that enzymatic glycerolysis and molecular distillation can be used to prepare more highly purified DAG from lard.

Algae유로부터 디글리세롤 함유 기능성 유지의 효소적 합성 중 구성성분 변화에 관한 연구 (Compositional Changes of Functional Oil from Algae Oil during the Lipase-Catalyzed Production)

  • 조은진;조경현;이기택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4권7호
    • /
    • pp.1059-1063
    • /
    • 2005
  • 조류(microalgae, from Schizochytrium sp.)로부터 DHA가 풍부하고 이취가 적은 지질을 획득하고 이를 옥수수유와 기질로 이용, Lipozyme IM(from Rhizomucor miehei) 촉매하에 TAG형태로 합성된 재구성지질(SL)을 이용하여, 효소적 glycerolysis반응에 의해 DAG와 MAG함유 기능성 유지를 생성하였다. Normal-phase HPLC 분석 결과, 48시간 동안 합성 된 DAG와 MAG의 함량은 각각 33.6과 $18.7\%$이었으며, 지방산 분석 결과에서 DHA는 각각 10.7과 $8.1 mol\%$의 함량을 보였다. 합성에 있어서 2에서 48시간에 따라 생성되는 DAG와 MAG의 함량 변화를 분석한 결과, 반응 시간 증가에 따라 그 생성량도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alpha},\;{\gamma}$$\delta-tocopherol$의 총 함량은 반응시간이 길어질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Synthesis of Mono-,Diacylglycerol from Rice Bran Oil using lipase and Separation by Fractionation

  • Kim, Song-Hyun;Lee, Ki-Teak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2003년도 제23차 추계총회 및 국제학술심포지움
    • /
    • pp.142.1-142
    • /
    • 2003
  • Mono-, diacylglycerol were synthesized by glycerolysis of bran oil and glycerol using IM60 (an immobilized lipase) in a stirred batch reactor for 72 hours. After glycerolysis, the composition TAG, DAG, MAG in product was 41.7%, 44.7%, and 11.1%, respectively. Glycerol was separated, then this mixture product was undergone fractionation for winterization followed. The fractionation was performed using hexane and acetone solvent to reduce palmitic acid at the low temperature for overnight individually. Temperature was set -40$^{\circ}C$, -14$^{\circ}C$, -8$^{\circ}C$ and 0$^{\circ}C$, respectively. By considering results from this experiments, fractionation with hexane at -8$^{\circ}C$ was most efficient regarding to yield without crystallization.

  • PDF

옥수수유로부터의 효소적 glycerolysis에 의한 monoacylglycerol과 diacylglycerol 함유 기능성 유지 합성 및 특성연구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Mono- and Diacylglycerol Enriched Functional Oil by Enzymatic Glycerolysis of Corn Oil)

  • 박래균;이기택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211-216
    • /
    • 2004
  • 회분식 반응기(stirred-tank batch reactor)를 사용한 DAG, MAG 함유 기능성유지를 비용매계(solvent-free system) 조건에서 효소적 반응을 이용하여 합성하였다. 48시간 동안 합성된 지질을 HPLC를 사용한 TAG, 1,3-DAG, 1,2-DAG 및 MAG 함량 분석결과 각각 45.05, 16.27, 23.05 및 14.98%로 분석되었으며 체중개선 기능성 유지의 지방산 조성 분석결과 palmitic, palmitoleic, stearic, oleic, linoleic 및 linolenic acid가 13.21, 0.15, 2.02, 34.36, 49.12 및 1.14 mol%로 분석되었다. 합성된 지질의 ${\alpha},\;{\gamma}$${\delta}-tocopherol$ 함량을 분석한 결과는 각각 0.014, 0.029 및 0.010%로 분석되었으며 총 tocopherol 함량은 0.053%로 나타났다. 또한 재구성된 지질을 사용하여 산가, 비누화가, 요오드가를 측정하였으며 융점 및 결정화점을 살펴보고 이를 통하여 옥수수유로 유래된 DAG, MAG를 함유한 체중개선 기능성 유지의 이화학적, 물리적 특징을 규명하였다. 체중개선 기능성 유지의 산화 안정성 실험을 시행한 결과 체중개선 기능성 유지가 원료유인 옥수수유보다 높은 과산화물가와 p-anisidine가를 보였으며 각기 달리 혼합한 rosemary추출물(100, 200 및 300ppm)이 체중개선 기능성 유지와 옥수수유의 산화를 감소 시켰다.

비 용매계에서 DHA가 함유된 Diacylglycerol의 효소적 반응에 의한 합성연구 (Synthesis of Diacylglycerol-Enriched Functional Lipid Containing DHA by Lipase-Catalyzed in Solvent-Free System)

  • 김남숙;이기택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584-589
    • /
    • 2005
  • 지방산 TAG 분자의 sn-1,3 위치에서 특이적으로 반응하는 Lipozyme RM IM(from Rhizomucor meihei)을 촉매로 이용, 비용매계(solvent-free system)조건에서 glycerolysis를 통하여 조류유(from Schizochytrium sp.)와 대두유로부터 DAG, MAG 함유 기능성 유지를 합성하였다. 합성된 유지는 DHA(16.0mol%)와 linoleic acid(32.4mol%), palmitic acid(18.2 mol%), oleic acid (14.0mol%), EPA(6.7mol%) 및 myristic acid(4.9mol%) 등을 함유하고 있었으며, 유지 내 TAG 분자의 sn-2 위치에는 DHA(21.0 mol%)와 linoleic acid(29.2 mol%)가 높은 분포로 함유되어 있었다. 48시간의 효소 반응 후 DAG의 지방산 조성은 DHA(13.3mol%)와 linoleic acid(34.3 mol%), palmitic acid(20.0 mol%), oleic acid(13.2mol%), myristic acid(5.8mol%) 및 EPA(5.5 mol%) 등으로 조사되었고, MAG의 경우는 DHA(8.6mol%)와 linoleic acid(34.0mol%), palmitic acid(23.9mol%), oleic acid (15.1mol%) 및 EPA(4.1mol%) 등으로 분석되었다. 효소적 glycerolysis 반응 완료(48hr) 후 총 지질 내 약 60%의 DAG 및 MAG 함유하는 기능성 유지는 19.2area%의 1,3-DAG와 22.2 area%의 1,2-DAG, 16.0area%의 MAG 및 TAG(42.3area%), FFA(0.2area%)와 같은 중성 지질로 구성되어 있었다. 이러한 기능성 유지의 요오드가는 208.8, 비누화가는 179.6으로 측정되었으며, 산가(조류유, 대두유; <0.3)는 3.4이하를 나타내어 합성 중 생성, 잔류 가능한 유리 지방산 제거(산가 저하)를 위한 정제 과정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기능성 유지는 Hunter $L^*(+/-,\;lightness/darkness;\;77.9),\;a^*(+/-,\;redness/greenness;\;15.9)$$b^*(+/-,\;yellowness/blueness;\;54.6)$와 같은 색도를 나타내었다.

온도조절이 고상계에 경화우지로부터 디글리세리드의 효소적생산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emperature on Diacylglycerol Production by Enzymatic Soli-Phase Glycerolysis of Hydrogenated Beef Tallow)

  • 강성태;산근항부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6권5호
    • /
    • pp.567-572
    • /
    • 1994
  • 유기용매나 계면활성제를 첨가하지 않은 효소반응계의 고상계에서 경화우지와 글리세롤(GL)로부터 디글리세리드(DG)를 생산하기 위해 리파제에 의한 글리세롤리시스 반응온도의 최적화를 수행하였다. 두 기질은 트리글리세리드(TG)인 경화우지가 완전히 디글리세리드로 전환하기에 적합한 몰비율인 GL/TG=0.5로 하여 반응시켰다. $60^{\circ}C$에서의 글리세로리시스반응는 액상에서의 평형으로 인하여 높은 함량의 디글리세리드의 생산은 불가능하였으며 반응온도를 경화우지의 녹는점 보다 낮게 조정하여 반응혼합물의 고상화를 유도함으로써 디글리세리드의 함량을 증가시킬 수가 있었다. 초기 2시간을 $60^{\circ}C$에서 반응시켜 트리글리세리드를 급격히 감소시킨 후에 $55^{\circ}C$에서 4시간을 유지시키고 마지막으로 $50^{\circ}C$에서 계속 수일간 반응시키는 것이 디글리세리드이 생산에 가장 적합한 생산조건이었다. 글리세로리시스반응 72시간 후 71%의 DG가 생성되었다. 전체 디글리세리드 중의 73%가 1,3-DG였고 27%가 1,2-DG 였다. 글리세로리시스 반응 동안 2% 내외의 자유지방산 생성이 확인되었다.

  • PDF

반응표면분석에 의한 옥수수유 유래 monoacylglycerol과 diacylglycerol 합성 조건의 최적화 (Optimization for the Production of Mono- and Di-acylglycerols from Corn Oil by Enzymic Glycerolysis Using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 박래균;최상원;이기택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6권5호
    • /
    • pp.717-722
    • /
    • 2004
  • Lipozyme RM IM 효소적 촉매를 사용한 glycerolysis에 의한 옥수수유로부터 $1,3-DAG(Y_1),\;1,2-DAG(Y_2)$, 총 $DAG(Y_3),\;MAG (Y_4)$, 및 총 DAG + MAG 의 합성 양$(Y_5)$의 생성 최적화를 반응 표면분석을 이용하여 모니터링 하였으며 반응온도$(35-75^{\circ}C,\;X_1)$, 반응시간$(1-11시간,\;X_2)$ 및 hexane 의 혼합 양$(0-2mL,\;X_3)$을 변수로 한 중심합성계획으로 최적화 실험하였다. 1,3-DAG는 반응온도$(44.92^{\circ}C)$, 반응시간(10.24시간) 및 hexane 첨가량(1.16mL) 조건에서 20.43 area%로 최대값을 나타내었으며 1,2-DAG는 $56.32^{\circ}C$, 6.95시간 및 1.04mL 조건에서 26.78 area% 로 최대값을 예측할 수 있었다. 총 DAC는 $53.82^{\circ}C$, 8.03시간 및 1.08mL 실험 조건에서 45.09 area% 최대값을 보였다. 또한 MAG 생산 최적조건은 $64.14^{\circ}C$, 7.00시간 및 0.13mL에서 최대값 9.57 area%로 예측되었으며 총 DAG+MAG 생산 최적조건은 $54.07^{\circ}C$, 7.98시간, 1.02mL이었으며 이때 예측된 값은 53.54 area%이었다.

현미유를 이용한 기능성 유지의 효소적 합성 및 고 콜레스레롤, 고 지방 식이가 생쥐의 간 ACAT활성에 미치는 영향 (Enzymatic Synthesis of Functional Oil from Rice Bran Oil and Dietary Effects on Hepatic ACAT Activities of High Cholesterol and High Fat Fed Mice)

  • 김성현;부우펑란;이기택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3권5호
    • /
    • pp.803-809
    • /
    • 2004
  • 본 실험에서는 DG, MG를 함유한 기능성 유지를 합성하기 위해 lipase(IM 60)를 이용하여 현미유와 글라이세롤을 회분식 교반기에서 glycerolysis화 반응을 하였다. 합성한 기능성 유지와 현미유의 이화학적, 영양학적 특성 을 비교하기 위해 지방산 조성, 기능성 물질 함량 및 동물 식이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 결과 기능성 유지는 DG(46.19%), MG(11.15%)와 7G(41.71%) 그러고 미량의 자유 지방산으로 구성되어 있었으며, 지방산 조성은 현미유와 흡사하였다. 비검화 물질함량 또한 현미유와 유의적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주요물질로써 Phytosterol(2.04$\pm$0.17 mg/g), ${\gamma}$-oryzano1(1.06$\pm$0.04 mg/g), $\alpha$ -tocopherol(0.13$\pm$0.04 mg/g)이 검출되었다. 동물 식이실험 에서는 기능성 유지와 현미유 식이군이 ACAT activity를 저해하였으며, HCHF 식이군과 옥수수유 식이군 보다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낮다(p<0.05). 간과 지방 조직의 지방산 조성은 기능성 유지를 비롯한 모든 식이군에서 oleic acid의 함량이 가장 높았다.

대두유에서 글리세롤리시스 반응을 이용한 디글리세리드의 효소적 생산 (Diacylglycerol Production by Enzymatic Glycerolysis of Soybean Oil.)

  • 박경준;안은영;권기석;김강성;강성태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84-90
    • /
    • 2004
  • Lipase를 사용하여 대두유와 글리세롤로부터 디글리세리드를 생산하였다. 디글리세러드의 초기 생산 속도는 리파제의 양에 크게 영향을 받았다 그러나 반응혼합물에 첨가된 리파제의 양은 평형상태의 디글리세리드의 함량에는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초기 지방산 생성속도는 0.5-2.3%의 글기세롤 수분함량에서 매우 영향을 받았으며 3.3-5.2%의 수분함량에서는 느리게 증가하였다 평형상태에서의 DG 함량은 글리세롤 수분함량 4.4%까지 서서히 증가하였으며 5.2-6.4%의 수분함량에서는 지방산함량의 증가로 인하여 오히려 감소하였다 가장 높은 디글리세리드 생산효율을 나타내는 반응온도는 $30-50^{\circ}C$이었으며 글리세롤과 트리글리세드의 몰 비율은 최종적인 디글리세리드 생산율에는 영향을 미치지 많았다. 글리세롤(GL)과 트리글리세리드(TG)의 몰 비율이 0.75:1인 경우에 높은 효소촉매반응을 나타냈으며 첨가된 글리세롤이 반응에 모두 이용될 수 있는 최적조건으로 확인되었다. 최적화된 조건에서 45%의 디글리세리드를 얻을 수 있었으며 전체 디글리세리드 중 65%는 1,3-디글리세리드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