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lufosinate ammonium

검색결과 41건 처리시간 0.023초

Glufosinate-ammonium 저항성 형질전환벼의 저항성 수준과 적응성에 관한 연구 (Levels of Resistance and Fitness in Glufosinate-ammonium-Resistant Transgenic Rice Plants)

  • 윤영범;국용인
    • Weed & Turfgrass Science
    • /
    • 제1권4호
    • /
    • pp.50-56
    • /
    • 2012
  • 본 연구의 목적은 bar 유전자를 발현한 형질전환벼에 대한 글루타민 합성효소 저해제인 glufosinate-ammonium, L-metionine sulfoximine과 광합성저해제인 paraquat에 저항성 수준과 형질전환벼와 비형질전환벼의 암모늄 축적량, 저온반응 및 수량을 비교하는데 있다. 형질전환벼 계통은 비형질전환벼에 비해 glufosinate-ammonium에 45~95배 높은 저항성을 보였다. 한편 형질전환벼 계통은 L-metionine sulfoximine을 처리했을 때도 형질전환벼 계통이 비형질전환벼에 비해 18배 이상의 저항성을 보여 교차저항성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glufosinate-ammonium과 작용기작이 다른 제초제인 paraquat에 대한 다중저항성은 없었다. Glufosinate-ammonium 처리에 의해 ammonium 축적은 비형질전환벼에서 증가하였으나 모든 형질전환벼의 계통에서는 적거나 효과가 없었다. 형질전환벼 계통 258, 411, 607 및 608을 제외한 계통은 비형질전환벼에 비해 저온 내성 및 저온 후 회복정도가 유의적으로 낮은 경향을 보였다. 형질전환벼 계통 142, 144, 258 및 608의 수량은 비형질전환벼와 유사하거나 높았다.

형질전환 고구마에 대한 Glufosinate-ammonium 저항성 간이진단법 (Rapid Diagnosis of Resistance to Glufosinate-ammonium in Transgenic Sweet Potato)

  • 국용인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380-389
    • /
    • 2010
  • 본 연구는 유전자총기법에 의해 생산된 형질전환 고구마를 사용하여 glufosinate-ammonium에 대한 저항성 유무를 빠르고, 경제적이며, 신뢰할 수 있는 간이분석법을 찾고자 수행되었다. 저항성 진단법은 whole-plant 진단법, one leaf 진단법 및 leaf disk 진단법을 사용하였고, 이들 진단법에 의해 glufosinateammonium을 처리하고 잎의 피해율과 암모늄 축적량을 조사하였다. Leaf disk 진단법에서 glufosinateammonium 처리 후 형질전환 라인 7171의 잎에 대한 약해는 wild type에 비해 1.9배 낮았다. One leaf 진단법과 whole plant 진단법의 경우 glufosinateammonium 처리 후 7171의 잎에 대한 약해는 wild type에 비해 각각 59배와 92배 적었다. Leaf disk, one leaf와 whole plant 진단법에서 0.5-5mM glufosinateammonium 처리 후 암모늄 축적은 wild type이 7171에 비해 각각 2-20, 4-43 및 6-115배 더 많이 축적되었다. 이들 3가지 방법 모두 형질전환 고구마에 대한 glufosinate-ammonium 저항성 유무를 판단하는데 가능한 방법이나 one leaf 진단법이 가장 간편하면서 빠른 진단방법이었다. 그러나 이 방법은 엽령별 내성차이가 존재할 수 있어 고구마 엽이 10개 전개되었을 때 1, 3, 5, 7, 9엽을 각각 채취하여 3mM glufosinateammonium을 처리시 잎의 피해율과 암모늄 축적을 엽령별로 조사한 결과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분석에 소요되는 기간, 시료량, 정확성 등을 고려할 때 형질전환 고구마의 저항성을 판별하는데 one leaf 진단법이 가장 적합한 것으로 판명 되었다.

Glufosinate.ammonium 내성유전자를 도입한 형질전환 유채의 환경에 대한 안전성평가 (Environmental risk Evaluation of the Transgenic Brassica napus with Glufosinate.ammonium-tolerance Gene)

  • 김민경;정형진;이인중
    • 생명과학회지
    • /
    • 제7권3호
    • /
    • pp.176-179
    • /
    • 1997
  • Environmental risk evaluation of transgenic Brassica napus introduced with glufosinate$.$ammonium-tolerance gene was carried out in a field. It is revealed that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transgenic and non-transgenic B. napus for characteristics of ecology and morphology. Transgenic plants did not fertilize to any related Brassica species.

  • PDF

글루포시네이트 암모늄 중독 환자의 확산자기공명영상 소견: 증례 보고 (Diffusion-Weighted Imaging for Detecting Glufosinate Ammonium Intoxication: A Case Report)

  • 김형엽;박노혁
    • 대한영상의학회지
    • /
    • 제83권6호
    • /
    • pp.1354-1359
    • /
    • 2022
  • 글루포시네이트 암모늄은 세계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제초제로서, 글루포시네이트 암모늄을 함유하는 제초제의 사용이 증가하면서 그에 따른 급성중독 사례도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에 저자들은 글루포시네이트 암모늄 중독 후 발견되는 뇌 확산자기공명영상 소견에 대해 보고하고자 한다. 증례에서 환자는 양측 속섬유막, 중간소뇌다리, 뇌량팽대에서 세포독성부종 소견을 보였다.

다양한 신경학적 이상을 나타낸 glufosinate ammonium(바스타$^{(R)}$) 급성 경구 중독 1례 (A Case of Acute Glufosinate Ammonium ($BASTA^{(R)}$) Intoxication Associated with Various Neurological Abnormalities)

  • 백진휘;김준식;이현규;박현주;하충건;노형근
    • 대한임상독성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103-106
    • /
    • 2005
  • BASTA is an herbicide which contains glufosinate ammonium as a main component with an anionic surfactant, polyoxyethylene alkylether sulfate, and nonselectively inhibits glutamine synthetase. It became a wildly used herbicide in Korea and its intoxication is now increasing. A 42-year old woman ingested about 300ml of BASTA in a suicide attempt. She showed unconsciousness and respiratory distress in the beginning, and later developed multiple generalized convulsions, low blood pressure, fever and diabetes insipidus. Although she became alert 12 days after the ingestion, she showed retrograde amnesia for a period of about recent 10 years. A neuropsychological test on day 22 revealed frontal lobe dysfunction, visual memory disturbance and slight decrease in visuospatial function. All these neurological abnormalities that might occur due to glufosinate ammonium were almost improved in the follow-up test performed a month later.

  • PDF

급성 글루포시네이트 암모니움 중독 후 양측성 해마 병변과 전향적 기억상실증을 보인 증례 1례 보고 (A Case of Anterograde Amnesia with Bilateral Hippocampus Involvement After Acute Glufosinate Ammonium Intoxication)

  • 윤성원;김호균;이희중
    • Investigative Magnetic Resonance Imaging
    • /
    • 제18권4호
    • /
    • pp.352-356
    • /
    • 2014
  • 본 증례의 51세 남자 환자는 글루포시네이트 암모니움을 과다 섭취한 후에 전향적 기억상실증이 발생하였다. 뇌 자기공명영상에서 양측 해마와 해마옆이랑, 오른쪽 후두엽에서 고신호강도 병변을 관찰할 수 있었다. 급성 글루포시네이트 암모니움 중독이 해마에 병변을 만드는 기전과, 양측성 해마에서 생길 수 있는 질환들의 감별진단에 대하여 논하고자 한다.

Glufosinate-ammonium에 대(對)한 수도(水稻)(Oryza sativa L.) 품종간(品種間) 반응(反應) (Responses of Rice Cultivars to Glufosinate-ammonium)

  • 홍석영;김길웅;신동현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195-204
    • /
    • 1991
  • Glufosinate-ammonium에 대(對)한 수도(水稻) 품종간(品種間)의 반응차이(反應差異)를 구명(究明)하고자 glufosinate-ammonium에 대한 감수성(感受性) 반응(反應), 총(總) 수용성(水溶性) 단백질(蛋白質) 함량(含量), 단백질(蛋白質) 패턴의 변화(變化), glutamine synthetase의 활성(活性), 축적(蓄積)된 암모니아 함량(含量), 유리(遊離) 아마노산 조성변화(組成變化)를 조사(調査)를 실시(實施)한 바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Glufosinate-ammonium 10ppm 에 대한 수도(水稻) 품종간(品種間) 반응(反應)을 보면 Fukei 126과 탐진벼의 신초(新鞘)의 길이가 무처리구(無處理區)에 비(比)해 각각(各各) 96%, 100%로 내성품종(耐性品種)으로, 영덕벼, 팔공벼, 남영벼는 신초(新鞘)의 길이가 무처리(無處理)에 비(比)해 각각(各各) 40%, 39%, 37%로 감수성품종(感受性品種)으로 분류(分類)하였다. 2. 총(總) 단백질(蛋白質) 함량(含量)은 내성품종(耐性品種)으로 선발(選拔)된 Fukei 126과 탐진벼는 무처리(無處理)에서 240.0, 207.2 ${\mu}g$/100${\mu}l$이던 것이 처리(處理)에서 234.0, 184.0 ${\mu}g$/100${\mu}l$으로 무처리(無處理)에 대(對)한 비(比)가 97.5%, 88.8% 이었고, 감수성(感受性) 품종(品種)_으로 선발(選拔)된 영덕벼, 팔공벼, 남영벼는 무처리(無處理)에서 255.4, 204.4, 236.3${\mu}g$/100${\mu}l$이던 것이 처리에서 181.1, 160.7, 191.0 ${\mu}g$/100${\mu}l$으로 각각(各各) 무처리(無處理)에 비(比)해 70.1%, 78.6%, 80.8%로 내성품종(耐性品種)에 비(比)해 크게 감소(減少)되었다. 3. 단백질(蛋白質)패턴의 변화(變化)는 내성품종(耐性品種)인 탐진벼에서는 glufosinate-ammonium 10ppm 처리시(處理時)에도 band의 density의 변화(變化)가 없었으나, 감수성(感受性) 품종(品種)으로 선발(選拔)된 남영벼에서는 66kD 상위(上位)에서 band density가 감소(減少)하거나 사라지는 경향(傾向)을 보였다. 2D-PAGE에서도 마찬가지로 내성(耐性)인 탐진벼의 경우(境遇)는 spot의 변화(變化)가 거의 없었던 데 비(比)해 감수성(感受性)인 남영벼에서의 경우(境遇)는 45kD와 66kD사이, 20kD 부근에서 spot의 density가 감소(減少)하거나 사라지는 경향(傾向)을 보였다. 4. Glutamine synthetase의 활성(活性)은 내성(耐性)의 탐진벼는 처리(處理)와 무처리(無處理)에서 각각(各各) 44, 86${\mu}mol$ GHA/mg protein/min로 무처리(無處理)에 대(對)한 처리(處理)의 효소활성(酵素活性)의 비(比)가 51.2%이었고, 감수성(感受性)의 남영벼는 처리(處理)와 무처리(無處理)에서 23, 68${\mu}mol$ GHA/mg protein/min로 무처리(無處理)에 대(對)한 비(比)가 33.8%로 나타나 내성(耐性)의 탐진벼에 비(比)해 다소(多少) 약(弱)한 반응(反應)을 보였다. 5. 암모니아의 체내축적량(體內蓄積量)은 내성(耐性)의 탐진벼는 처리(處理)와 무처리(無處理)에서 각각(各各) 1.46, 0.44mmol/g FW로 무처리(無處理)에 대(對)한 암모니아 함량(含量)의 비(比)가 331.8%이었고, 감수성(感受性)의 남영벼는 3.08, 0.35mmol/g FW로 무처리(無處理)에 대(對)한 비(比)가 905.9%로 나타나 내성(耐性)의 탐진벼에서보다 약 3배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6. 유리(遊離) 아미노산의 조성(組成)은 glutamine synthetase 기질(基質)인 glutamic acid가, 내성(耐性)의 탐진벼는 처리(處理)와 무처리(無處理)에서 4.879, 16.599로 무처리(無處理)에 대(對)한 비(比)가 29.4%로 줄어든 반면(反面), 감수성(感受性)인 남영벼는 처리(處理)와 무처리(無處理)가 13.221, 3.021로 무처리(無處理)에 대(對)한 비(比)가 오히려 약 430%로 증가(增加)되어 glutamine synthetase 기질(基質)로 이용(利用)되지 못하고 남아있었다.

  • PDF

사과원에서 잡초방제 방법이 제초효과 및 과실생산에 미치는 영향 (Weed Control Efficacy and Production of Fruit according to Several Weed Control Methods in an Apple Orchard)

  • 장일;강지은;김향미;박용석;이정득;서상재
    • Weed & Turfgrass Science
    • /
    • 제4권2호
    • /
    • pp.104-110
    • /
    • 2015
  • 사과원에서 잡초방제 방법에 따라 제초효과 및 과실 생산량, 약해 발생 정도를 조사하였다. 시험처리는 부직포피복구, 초생재배구, 기계제초구, 제초제(GFA, Glufosinate ammonium SL 18%) 2회 및 3회 처리구와 무처리구를 두어 2001년부터 2013년까지 3년간 반복실험하였다. 시험 결과 처리별 방제효과는 부직포피복 처리구가 가장 높았으며, GFA 3회 처리 98.7%, 기계예초 95.1%, GFA 2회 처리 81.5%, 초생재배 5.8% 순이었다. 잡초방제 방법에 따라 과실 생산량은 GFA 3회 처리 27.2 Kg으로 시험구 중 생산량이 가장 많았으며, GFA 2회 처리 26.2 Kg, 기계제초구 25.3 Kg, 부직포피복구 24.1 Kg, 초생재배구 20.4 Kg, 무처리 13.3 Kg 순이었으며, 모든 처리구에서 잎, 과실에서 약해 발생은 없었다.

고추 밭 잡초 관리를 위한 제초제 체계 처리법 개발 (Study for Sequential Application of Herbicide to Establish an Efficient Weed Control in Red Pepper Field)

  • 민이기;소윤섭
    • Weed & Turfgrass Science
    • /
    • 제5권4호
    • /
    • pp.213-218
    • /
    • 2016
  • 고추 생산에 큰 영향을 미치는 잡초 방제를 위한 약제처리 체계와 약제 살포 방법을 시험한 결과 다음과 같이 제초제를 2회 체계 처리 방법이 효율적이었다. 1) 바랭이가 우점하는 포장에서는 잡초 발아 전 토양 처리제인 pendimethalin를 정식 후에 1차 처리하고 약 20~30일 후 바랭이가 3~5엽기일 때 화본과 선택성 제초제 fluazipfop-P-butyl EC와 pendimethalin EC를 혼용하여 2차 체계 처리를 하면, 2차로 비선택성 제초제 glufosinate-ammonium SL를 살포할 경우와 비교하여 약해의 우려 없이 80일간 효율적으로 잡초를 방제 할 수 있었다. 2) 화본과 잡초 외에 방동사니과와 광엽잡초들이 혼재되어 있을 경우에는 비선택성 제초제 glufosinate-ammonium SL과 토양 처리제 pendimethalin EC를 혼용해서 잡초 초장이 20 cm 정도 자랐을 때 1차 처리하고, 30일 후 다시 잡초가 재생하여 20 cm 이하로 자랐을 때 glufosinate-ammonium SL을 2차로 체계 처리하는 것이 효율적이었다. 3) 비선택성 제초제 glufosinate-ammonium SL의 휴간 처리 시 약액의 비산에 의한 고추 약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고추 초장이 18 cm 정도로 낮을 경우(정식 20일 후) 약제살포 노즐의 높이를 15 cm 이하로 하여 살포하면 약해는 거의 없었다. 정식 후 40일경에는 고추 초장이 40 cm 이상인 경우 살포 높이를 30 cm 이하로 조절하여 처리하는 것이 약해 가능성이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급성 글루포시네이트 암모늄 중독환자에서 혈중 Neuron specific enolase 수치와 경련발생 간의 연관성 (Relationship between Serum Neuron Specific Enolase Level and Seizure in Patients with Acute Glufosinate Ammonium Poisoning)

  • 안교진;이윤석;차용성;김현
    • 대한임상독성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49-56
    • /
    • 2018
  • Purpose: Glufosinate ammonium poisoning can cause seizures, even after a symptom-free period.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erum neuron specific enolase (NSE) level and the occurrence of seizures in patients with acute glufosinate ammonium poisoning. Methods: For this retrospective observational study, data from patients diagnosed with acute glufosinate ammonium poisoning were collected between January 2016 and June 2016. Serum NSE was measured within 2 hours of arrival at the emergency department. The patients were divided into a seizure group and a non-seizure group. Results: The seizure group included eight of the 15 total patients (53.3%). The serum NSE level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seizure group than in the non-seizure group ($32.4{\pm}11.9ng/mL$ vs. $19.5{\pm}5ng/mL$, p=0.019). The amount of glufosinate ingested and initial and peak serum ammonia level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seizure group than in the non-seizure group.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rea under the curve of the serum NSE level or the initial and peak serum ammonia levels in terms of predicting the occurrence of seizures. Conclusion: In acute glufosinate poisoning, initial serum NSE levels may help in prediction of seizur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