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lucuronic acid

검색결과 84건 처리시간 0.03초

우렁쉥이 껍질 중 황산화다당의 기능적 특성 (Functional Properties of Sulfated Polysaccharides in Ascidian(Halocynthia roretzs) Tunic)

  • 이강호;최병대;홍병일;정병천;육지희;정우진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447-451
    • /
    • 1998
  • 우렁쉥이 (Halocynthia roretzi)의 껍질에서 최근 다양한 생리적 기능이 알려진 황산화다당를 분리하여 화학성 분과 조성 당을 분석하였으며 , 기능성을 살펴보았다. 황산화다당의 황산기함량은 $2.3\%$, 황산콘드로이틴은 $25.7\%$, 그리고 uronic acid의 함량은 $5.6\%$였다. 조성당 분석결과, 5탄당으로는 arabinose $0.7\%$와 xylose가 $0.4\%$였고, 6탄당으로는 glucose가 $1.5\%$였으나. 특이하게 galactose의 함량이 $60\%$이상 검출되었다. 한편, hexosamine으로는 N-acety1gucosamine이 $9.4\%$ 및 N-acetylgalactosarnine이 $14.8\%$ 검출되었으며, uronic acid로는 D-glucuronic acid가 $10.8\%$ 검출되었다. 지방흡수력은 대조구인 chitin과 chitosan에 비하여 다소 떨어졌으며, 추출한 황산화다당의 지방흡수력은 대략 $280\%$ 정도였다. 한편 포말성 및 포말안정성은 각각 0.70 과 0.50으로 비교적 우수하였다. 유화능 및 유화안정성은 $49.2\%$$48.3\%$ 정도였으며, 황산화다당의 항혈액응고능은 APTT가 65초로 저지효과가 인정되었으나, PT저지효과는 없었다. ACE저해능의 측정 결과. 약간의 ACE저해효과가 있었으며, 채택된 실험방법에 따라 동일시료의 경우에 있어서도 저해효과 값이 차이가 있었다.

  • PDF

Saccharide Effect on the Lower Critical Solution Temperature of Poly(organophosphazenes) with Methoxy-poly(ethylene glycol) and Amino Acid Esters as Side Groups

  • Lee, Sang-Beom;Sohn, Youn-Soo;Song, Soo-Chang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24권7호
    • /
    • pp.901-905
    • /
    • 2003
  • The lower critical solution temperature (LCST) of thermosensitive poly(organophosphazenes) with methoxypoly(ethylene glycol) (MPEG) and amino acid esters as side groups was studied as a function of saccharide concentration in aqueous solutions of mono-, di-, and polysaccharides. Most of the saccharides decreased the LCST of the polymers, and the LCST decrease was more prominently observed by saccharides containing a galactose ring, such as D-galactose, D-galactosamine and D-lactose, and also the polysacccharide, 1-6-linked D-dextran effectively decreased the LCST of the polymers. Such an effect was discussed in terms of intramolecular hydrogen bonding of saccharides in polymer aqueous solution. The saccharide effect was found to be almost independent on the kinds of the amino acid esters and MPEG length of the polymers. Such a result implies that the polymer-saccharide interaction in aqueous solution is clearly influenced by the structure of sacchardes rather than by that of the polymers. The acid saccharides such as D-glucuronic and D-lactobionic acid increased the LCST, which seems to be due to their pH effect.

Study of hemicellulose B recovery yield from rice bran

  • 박점석;김민석;지영민;최정우;홍억기
    • 한국생물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생물공학회 2003년도 생물공학의 동향(XII)
    • /
    • pp.257-260
    • /
    • 2003
  • 본 연구는 고수율의 아라비녹실란을 얻기 위해 필수요소인 hemicellulose B의 회수율을 검토하였다. 검토결과 10% acetic solution으로 pH 4.2로 적정 후 반응시키는 단계에서의 온도를 $65^{\circ}C$, 에탄올 침전단계에서 3 volume일 때 가장 좋은 수율을 얻었다.

  • PDF

한우치근의 산성뮤코다당에 관한 연구 (ACIDIC GLYCOSAMINOGLYCANS IN BOVINE GINGIVA)

  • 정태영;최근배;오세윤
    • 대한치과의사협회지
    • /
    • 제15권12호
    • /
    • pp.1031-1035
    • /
    • 1977
  • Acidic glycosaminoglycans were isolated from the bovine gingiva and analyzed by chemical methods and by two dimensional electrophoresis on cellulose acetate strip. The average total amount of acidic glycosaminoglycans-expressed as glucuronic acid-was 0.36% of dry gingival tissue. By using colorimetric analysis with two dimenional electrophoresis, the distribution of dermatan sulfate was calculated to be 33% of whole acidic glycosaminoglycans, chondroitin sulfate A to be 26% ad hyaluronic acid to be 38%, respectively.

  • PDF

고사리 열수 추출물로부터 보체계 활성화 산성 다당의 분리 및 특성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cidic Polysaccharides Activating Complement System from the Hot Water Extracts of Pteridium aquilinum var. latiusculum)

  • 오병미;권미향;나경수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7권3호
    • /
    • pp.159-168
    • /
    • 1994
  • From the hot water extract of bracken(Pteridium aquilinum var. latiusculum), a Korean win edible plant, anti-complementary acidic polysaccharides were Isolated. Crude polysaccharide fraction(HPA-1) was obtain ed by methanol reflux, ethanol precipitation, dialysis, and lyophilization. HPA-1 contained 81.80% of total sugar, 30.40% of uronic acid, and 15.60cA of protein. HPA 1 was purified consecutively by cetavlon fractionation and chromatography including ion exchange nth DEAE-Sepharose CL 6B and gel permeation with Sephadex G-100 and Sepharose CL-6B. HPA-2- IVa and HPA-Va-2 were nearly homogeneous on HPLC and had 500,000 and 560,000 daltons of molecular weights, respectively. HPA-2-Wa consisted of fucose, galacturonic acid, and glucuronic acid at the molar ratio of 1.40 : 0.97 : 1.88. HPA-2-Va 2 was composed of rhamnose, galactose, and galacturonic acid at the molar ratio of 1.00 : 1.38 : 1.39. The polysaccharides were found to activate the C3 component both In the presence and In the absence of Ca2+ through the crossed-immunoelectrophoresis suggesting that those Involved in both classical and alternative complement pathway.

  • PDF

Generation of novel hyaluronic acid biomaterials for study of pain in third molar intervention: a review

  • Shuborna, Nadia Sultana;Chaiyasamut, Teeranut;Sakdajeyont, Watus;Vorakulpipat, Chakorn;Rojvanakarn, Manus;Wongsirichat, Natthamet
    • Journal of Dental Anesthesia and Pain Medicine
    • /
    • 제19권1호
    • /
    • pp.11-19
    • /
    • 2019
  • Hyaluronic acid (HA) has long been studied in diverse applications. It is a naturally occurring linear polysaccharide in a family of unbranched glycosaminoglycans, which consists of repeating di-saccharide units of N-acetyl-D-glucosamine and D-glucuronic acid. It is almost ubiquitous in humans and other vertebrates, where it participates in many key processes, including cell signaling, tissue regeneration, wound healing, morphogenesis, matrix organization, and pathobiology. HA is biocompatible, biodegradable, muco-adhesive, hygroscopic, and viscoelastic. These unique physico-chemical properties have been exploited for several medicinal purposes, including recent uses in the adjuvant treatment for chronic inflammatory disease and to reduce pain and accelerate healing after third molar intervention. This review focuses on the post-operative effect of HA after third molar intervention along with its various physio-chemical, biochemical, and pharmaco-therapeutic uses.

배를 이용한 과실주로부터 분리한 항보체 활성화 다당의 특성 (Characterization of Anti-Complementary Polysaccharides Isolated from Fruit Wine Using Korean Pears)

  • 최정호;신광순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63-69
    • /
    • 2011
  • 한국 전통발효주 중에 존재하는 특이다당류의 화학적 특성 및 생물활성을 규명할 목적으로, 농가에서 직접 발효한 배주로부터 다당류를 분리하고 이들의 항보체 활성에 대해 검토하였다. 배주에 80% ethanol 침전을 행하여 얻어진 조다당 획분 PW-0을 이용, Sephadex G-75를 이용한 겔 여과 chromatography를 행하여 배주의 주요 다당인 PW-1을 정제할 수 있었다. PW-1 획분은 HPLC상에서 대칭을 유지하는 단일 peak로 검출되었으며, 분자량은 약 150 kDa으로 평가되었다. 정제다당인 PW-1의 구성당 조성을 확인한 주구성당으로 mannose(81.8%)가 높은 비율로 검출되었으며 그 외 arabinose(1.2%), galactose(2.7%), glucose(8.5%), galacturonic acid(5.3%) 및 glucuronic acid(0.5%) 등 5종의 당류가 소량 함유되어 있었다. 이 결과는 배주에 존재하는 주다당이 발효 효모의 세포벽에서 기원한 mannan임을 추정하게 하였다. 한편 고분자 정제 다당인 PW-1은 비특이적 면역계에 있어 중요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보체계에 대하여 농도 의존적인 활성화 경향을 보였다. 이들은 $Ca^{++}$ 이온이 제거된 상태에서의 항보체 활성과 anti-human C3를 이용한 2차원 면역전기영동에 의하여 C3 산물을 동정한 결과로부터 보체계의 고전경로와 부경로 등 양 경로를 모두 경유하여 활성을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우렁쉥이 껍질성분 및 색소를 이용한 양식소재 개발 2. 우렁쉥이 껍질 중 부분정제한 황산다당의 화학적 특성 (Utilization of Pigments and Tunic Components of Ascidian as an Improved Feed Aids for Aquaculture 2. Chemical Properties of Sulfated Polysaccharides in Ascidian (Halocynthia roretzi) Tunic)

  • 홍병일;정병천;정우진;육지희;최병대;이강호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4권6호
    • /
    • pp.632-637
    • /
    • 2001
  • 우렁쉥이 껍질에서 분리한 황산다당을 부분정제하여 몇 가지 화학조성과 전기영동을 하였다. 추출된 황산다당의 화학적 조성은 sulfate, uronic acid, protein, chondroitin sulfate, amino sugar, hexosamine 등으로 이루어져 있었다. 전기영동결과 autoclave 처리에 의해 추출된 조다당류는 폭넓은 단일 band를 나타내었으나, neutrase 처리구는 세 개의 band로 구분되었다. Autocalve 처리구의 분자량은 약 40,000 정도로 추정되며, neutrase 처리구의 경우 고분자 band는 100,000 이상, 두 개의 저분자 band 중 하나는 약 22,000 정도, 또 하나의 band는 약 5,000 정도인 것으로 추정되었다. 이온교환수지 및 겔 여과하여 얻은 전당획분의 화학적 조성은 부분정제 전과 거의 유사하였다. Sephadex G-25로 gel 여과한 시료의 조성당은 arabinose, xylose 및 glucose는 흔적량 정도이었으나 galactose는 $71.4\%$로 대부분을 차지하였고, N-acetylgalactosamine 함량이 $14.5\%$ 정도이었고, D-glucuronic acid가 $6.3\%$ 정도 검출되었다. Sephadex G-100과 G-100-25로 정제한 당의 전기영 동 패턴은 거의 유사하게 단일 band의 양상이나 G-25 처리구가 다소 좁은 band를 나타내었다. 부분정제한 황산다당과 표준품인 chondroitin sulfates의 FT-IR spectrometer 분석 결과, 거의 유사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황산기나 에스테르 등 몇몇 중요한 원자단의 신축 진동수가 IR spectrum의 지문영역 ($500\sim700cm^{-1}$$)에서 나타났다. 황산기 중의 S=O 신축진동이 $1,240cm^{-1}$에서, C-O-S신축진동의 경우 수평향배는 $820cm^{-1}$에서 나타났다.

  • PDF

$^1H$-NMR에 의한 Xylan의 황산가수분해 과정에서 나타나는 반응 동력학 연구 (Kinetic Study of Xylan Hydrolysis and Decomposition in Concentrated Sulfuric Acid Hydrolysis Process by $^1H$-NMR Spectroscopy)

  • 조대행;김용환;김병로;박종문;성용주;신수정
    • 펄프종이기술
    • /
    • 제43권3호
    • /
    • pp.52-58
    • /
    • 2011
  • Proton-NMR spectroscopic method was applied to kinetic study of concentrated sulfuric acid hydrolysis reaction, especially focused on 2nd step of acid hydrolysis with deferent reaction time and temperature as main variables. Commercial xylan extracted from beech wood was used as model compound. In concentrated acid hydrolysis, xylan was converted to xylose, which is unstable in 2nd hydrolysis condition, which decomposed to furfural or other reaction products. Without neutralization steps, proton-NMR spectroscopic analysis method was valid for analysis of not only monosaccharide (xylose) but also other reaction products (furfural and formic acid) in acid hydrolyzates from concentrated acid hydrolysis of xylan, which was the main advantages of this analytical method. Higher temperature and longer reaction time at 2nd step acid hydrolysis led to less xylose concentration in xylan acid hydrolyzate, especially at $120^{\circ}C$ and 120 min, which meant hydrolyzed xylose was converted to furfural or other reaction products. Loss of xylose was not match with furfural formation, which meant part of furfural was degraded to other undetected compounds. Formation of formic acid was unexpected from acidic dehydration of pentose, which might come from the glucuronic acid at the side chain of xylan.

홍삼추출잔사로부터 항암면역조절 활성을 보여주는 홍삼산성다당체(RGAP)의 분리 및 이화학적 특성 (Isolation of Immunomodulatory Antitumor Active Polysaccharide (RGAP) from Red Ginseng By-Product and Its Physico-chemical Properties)

  • 곽이성;신한재;송용범;박종대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2권5호
    • /
    • pp.752-757
    • /
    • 2003
  • 홍삼으로부터 홍삼알콜 추출물을 제조하고 부산물로 생성된 홍삼추출잔사로부터 한외 여과를 이용하여 홍삼산성다당체(RGAP, red ginseng acidic polysaccharide)를 대량으로 분리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하였다. 본 방법으로 홍삼추출잔사로부터 분리된 RGAP의 수율은 20.9%이었고, RGAP로부터 지표성분인 활성성분(GFP)의 분리수율은 39.4%이었다. 분리된 RGAP는 macrophage에 의한 NO(nitric oxide)를 생성하여 암세포를 사멸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RGAP를 BALB/c 마우스에 복강투여한 후 분리된 복강 macrophage를 P815 암세포(mastocytoma)와 함께 배양하였을 때 배지내의 NO 농도는 대조군에서 4.3 $\mu\textrm{m}$이었으나, RGAP 100, 300 mg/kg 투여군에서는 각각 9.8 및 25.3$\mu\textrm{m}$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아울러 암세포인 P8l5세포의 사멸율도 정상대조군일 경우 7.3%이었으나 RGAP 100, 300 mg/kg 투여군에서는 각각 22.7 및 31.8%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RGAP을 2M의 TFA로 10$0^{\circ}C$에서 1시간 가수분해한 후 당 표준품과 TLC로 비교한 결과 당 표준품과 Rf치 및 발색 색깔이 일치하는 4개의 spot, 즉 rhamnose(Rf 0.78, 노란색 ), glucose(Rf 0.61, 녹색), galactose(Rf 0.56, 녹색), glucuronic acid(Rf 0.36, 황갈색)를 관찰할 수 있었다. 가수분해된 RGAP 분해산물을 Gl(glucose)부터 G7(maltoheptaose)까지의 당류와 함께 TLC를 행한 결과 진한 색상을 나타내는 spot은 Rf 0.56~0.61로 G2(maltose, Rf 0.46) 이상의 단당류(monosaccharide)인 것으로 나타났다. RGAP의 일부 이화학적 특성을 조사한 결과 pH는 4.74, 건조감량은 4.72%, 조단백질 함량은 3.30%, 회분은 4.74%이었고 중금속인 Pb는 2.30 ppm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