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loiopeltis furcata

검색결과 32건 처리시간 0.024초

A Taxonomic and Ecological Study of Gloiopeltis furcata J. Agardh (Rhodophyta) in Korea

  • Lee, Jae-Won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38권2호
    • /
    • pp.165-171
    • /
    • 1995
  • Plants of G. furcata were divided into four variant populations. The habit characteristics, external and internal morphology were analysed quantitatively in order to clarify their morphological variation. Among four variant populations, type I(typical G. furcata type) and type II(G. furcata f. intricata type) may be influenced by the time when the develop from the crustose basal discs and the tidal level. Type III is the immature plants, and type IV (G. furcata f. coliformis type) is a G. furcata population in late spring after the luxuriant season. For the reason, the formas of G. furcata f. intricata and f. coliformis are no more valid in Gloiopeltis furcata.

  • PDF

Relationship between Phycoerythrin and Nitrogen Content in Gloiopeltis furcata and Porphyra yezoensis

  • Hiroyuki Mizuta
    • ALGAE
    • /
    • 제17권2호
    • /
    • pp.89-93
    • /
    • 2002
  • Seasonal changes of pigment compositionin two intertidal red algae, Gloiopeltis furcata (Postels et Ruprecht) J. Agardh, and Porphyra yezoensis Ueda, were investigated. Chlorophyll α and phycoerythrin levels were high during winter, but decreased in late spring or summer, with accompanying discoloration from deep red to green or yellow. This discoloation corresponded closely to the fluctuationof phycoerythrin content. Nevertheless, photosynthesis capacity was maintained by the increasing water temperature in the field, suggesting that large amounts of phycoerythrin are not necessary for photosynthesis. Phycoerythrin conten correlated significantly with nitrogen content in both species when the nitrogen level was greater than the level of critical content (1.30% DW in G. furcata, and 2.26% DW in P. yezoensis), indicating that phycoerythrin plays a more important role in the nitrogen status as a nitrogen pool than that of nitrogen critical content. Furthermore, the dependence level of the alage on phycoerythrin as a nitrogen pool was greater in P. yezoensis than in G. furcata because of the remarkable increase of phycoerythrin content in P. yezoensis with increasing jnitrogen content.

Phylogeography of Gloiopeltis furcata sensu lato (Gigartinales, Rhodophyta) provides the evidence of glacial refugia in Korea and Japan

  • Yang, Mi Yeon;Fujita, Daisuke;Kim, Myung Sook
    • ALGAE
    • /
    • 제36권1호
    • /
    • pp.13-24
    • /
    • 2021
  • The present-day genetic structure of macroalgal species reflects both geographical history and oceanic circulation patterns as well as anthropogenic introduction across native ranges. To precisely understand the genetic diversity and how the factors shape the current population structure of Gloiopeltis furcata sensu lato, we determined the mitochondrial 5' end of cytochrome c oxidase subunit I (COI-5P) sequences for 677 individuals sampled from 67 sites spanning almost the entire distribution range in Korea and Japan. Results from the phylogenetic analysis and haplotype distribution revealed eleven distinct lineages within G. furcata s.l. along the Korea-Japan coastal areas and displayed divergent phylogeographic patterns among lineages. Despite the closely related lineages distributed in same habitats as high rocky intertidal zone, they display different phylogeographic patterns among lineages. The populations from the south of Korea-Japan harbored the highest genetic diversity and unique endemism in comparison with other populations in the distribution range. This could be the evidence of southern refugia for G. furcata s.l. in the Northwest (NW) Pacific and the recent migration from native to introduced region. The reason is that an exceptional distribution pattern was found high genetic diversity in Hakodate of Japan where is the northern location in the NW Pacific. Our results imply the contemporary influence on the distribution due to current circulation pattern and anthropogenic effects. These phylogeographic findings provide the important insight into cryptic species diversity and the detailed distribution pattern of Gloiopeltis in the NW Pacific.

Community Dynamics of the Benthic Marine Algae in Hakampo, the Western Coast of Korea

  • Yoo, Jong-Su;Kim, Young-Hwan
    • 환경생물
    • /
    • 제21권4호
    • /
    • pp.428-438
    • /
    • 2003
  • Benthic marine algal community of Hakampo in the western coast of Korea was investigated qualitatively and quantitatively. Seasonal assessments of species composition, biomass, dominant species in biomass and vertical distributional pattern were carried out from spring to winter. A total of 121 species was identified; 6 blue-green, 18 green, 16 brown, 81 red algae. In three sites investigated, 96 species were collected at Bunjeomdo, 75 at Maoe, and 57 at Doranggol, respectively. Dermocarpa sp. and Acrochaetium microscopicum were collected for the first time in Korea through this investigation. Dominant species in specific proportions of biomass were Sargassum thunbergii, Gloiopeltis furcata, Corallina spp., Symphyocladia latiuscula and Monostroma nitidum. Seasonal fluctuations of mean biomass were 31.59-427.69 g dry wt$.$$\mu \textrm m^{-2}$ at Bunjeomdo and 20.98-473.48 g dry wt$.$$\mu \textrm m^{-2}$ at Maoe, respectively, which were comparatively high in the western coast of Korea. Vertical distribution in intertidal zones was Gloiopeltis furcata-Gloiopeltis furcata and Corallina spp.-Corallina spp. and Sargassum thunbergii.

불등풀가사리 다당류의 분자량에 따른 면역증강 효과 (Immune-enhancing effects of polysaccharides with different molecular weights obtained from Gloiopeltis furcata)

  • 이대훈;홍주헌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1-6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불등풀가사리(홍조류) 다당류를 기능성 소재로의 활용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분자량이 다른 다당류 3종을 제조하여 다양한 면역증강 효과를 확인하였다. GPA-III(${\geq}100kDa$)는 nitric oxide 및 cytokine(TNF-a 및 IL-6)분석에서 농도 유의적으로 함량이 증가하였으며, RT-PCR 분석을 통한 유전자 발현에서 iNOS 및 COX-2에서 높은 발현을 유도하여 면역증강 효과를 확인하였다. 따라서, GPA-III는 기능성식품 및 의약품의 잠재적 응용 가능성을 가지는 면역 증강제임을 나타내었다.

오동도의 해조 군락 (PHYTOSOCIOLOGICAL STUDY OF MARINE ALGAE AT ODONG-DO)

  • 송상호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권3_4호
    • /
    • pp.105-112
    • /
    • 1971
  • 1970넌 6월부터 1971넌 5월까지 여수 오동도의 2개 조사지점에서 월 2회 조사한 해조 군락은 아래와 같다. 1. 총출현종은 69종으로 녹조류 12종, 갈조류 17종 및 홍조류 40종이며, 조사 장소에 따른 출현종의 뚜렷한 차이는 없었다. 2. 계절별 해조 군락은 대부분 주년 출현종으로 층위가 형성되어 출현종의 변화가 적으나 Ulva pertusa, Enteromorpha sp., Sphacelaria sp., Scytosiphon iomentaria, Colpomenia sinuosa, Sargassum thunber gii, Pterocladia tenuis, Amphiroa ephedrea, Carpopeltis affinis, Gigartina tenera, Polysiphonia yendoi, Chondria crassicaulis, Symphyocladia atiuscula등은 피도의 증감이 많았다. 3. 층위의 출현종은 대체로 변화가 적어, $200\~150cm$층은 Gloiopeltis complanata, G. furcata, Enteromorpha sp.등이고 $150\~100cm$층은 Ulva pertusa, Chondria crassicaulis, Sargassum thunbergii등이며, $100\~50cm$층은 Gigartina tenera, Pterocladia tenuis, Scytosiphcn lomentaria, Polysiphonia yendoi 등이고, 제일 아래층인 50cm 이하에는 Sargassum sagamianum, Cystophyllum sisymbrioides, Gelidium amansii, Acresorium yendoi, Microcladia elegance등으로 층위가 형성되었다. 4. A, B 두 조사지점은 100cm층을 중심으로 아래층에는 차이가 적으나 위층에는 차이가 있어, A지점에는 Gloiopeltis complanata, Corallina pilulifera, Chondria crassicaulis, Sargassum thunbergii, Polysiphonia yendoi 및 Ulva pertusa등으로 층위가 형성되나, B지점에는 Gloiopeltis complanata, G. furcata, Enteromurpha sp. 및 Ulva pertusa등으로 층위가 간단하였다. 5. Taniguti의 해조 군락 분류에 의하면 Myelophycus caespitosus 군단의 Gigartina intermedia-Sargassum sagaminnum군집 (Sargasseto-Gigartinetum Taniguti)에 속한다.

  • PDF

남해안 해남군 무인도서의 하계 해조상 및 군집 (A Summer Marine Benthic Algal Flora and Community of Uninhabited Islands in Haenamgun, Southern Coast of Korea)

  • 오병건;이재완;이해복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57-63
    • /
    • 2002
  • 한국 남해안 해남군에 위치한 무인도의 해조상과 군집조사가 1999년 6월 12일에서 29일까지 이루어졌다 조사결과 채집 동정된 해조류는 녹조류 10종, 갈조류 15종 및 흥조류 62종이었다. 우점종은 구멍갈파래와 지충이이며, 준우점종은 바위수염, 패, 톳, 불등풀가사리, 애기돌가사리이었다. 수직분포는 조간대 상부에서 하부까지 불등풀가사리, 애기가시덤불, 바위수염-참풀가사리, 애기풀가사리, 애기우뭇가사리, 구멍갈파래, 지충이-톳, 뜸부기, 진두발, 미역, 감태가 분포하였다.

불등풀가사리 다당류의 분자량에 따른 이화학적 품질특성 및 피부 주름 개선 효과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anti-wrinkle effect of polysaccharides with different molecular weights from Gloiopeltis furcata)

  • 이대훈;홍주헌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4권5호
    • /
    • pp.688-696
    • /
    • 2017
  • 본 연구는 불등풀가사리로부터 분리된 조다당류와 산가수분해된 다당류의 분자량에 따른 이화학적 품질특성과 항산화 활성 및 피부 주름 개선 효과를 확인하였다. 산가수분해 분자량별 다당류의 수율은 100 kDa 이상에서 29.6%로 가장 높았으며, 10 kDa 이하에서 10.4%로 가장 낮았다. 이화학적 특성으로 총당, uronic acid, sulfate 함량은 100 kDa 이상에서 각각 85.82%, 32.85 g/100g 및 39.04%로 조다당에 비해 증가하였다. 색도은 분자량이 증가함에 따라 L 값, a 값 및 b 값이 감소하였으며, 점도는 분자량이 높을수록 증가하였다. ORAC 활성은 100 kDa 이상에서 $180.07{\mu}M$을 나타내어 조다당 $34.70{\mu}M$에 비해 항산화활성이 우수하였다. L132 세포 사멸에 대한 보호효과는 $H_2O_2$ 처리 구간대비 분자량 100 kDa 이상($0.5-5{\mu}g/mL$)에서 87.34-103.85%로 세포 활성이 증가하여 세포 보호효과를 나타내었다. MMP-1 활성은 세포에 UVB를 조사한 후 분자량 100 kDa 이상 $0.05-0.5{\mu}g/mL$ 농도에서 69.67-100.87%의 저해 활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pro-collagen 생합성 역시 UVB를 조사한 후 분자량 100 kDa 이상 $0.05-0.5{\mu}g/mL$ 농도에서 64.91-77.80%의 합성능을 나타내어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불등풀가사리 유래 산가수분해된 다당류의 분자량에 따른 주름 개선 효과를 통해 피부 항노화 기능성 소재로 다양하게 활용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불등가사리 분획물의 암세포 성장 억제 효과 (Growth Inhibition Effects of Cancer Cell Lines by Gloiopeltis furcata Fractions in Vitro)

  • 박성영;정복미;최영현;배송자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4권6호
    • /
    • pp.771-775
    • /
    • 2005
  • 본 실험은 홍조해조류의 하나인 불등가사리를 추출 후 각 용매별로 분획하여 암세포 성장억제 효과와 QR유도활성 효과 등 생리활성을 연구하였다. 불등가사리를 이용하여 4종의 인체 암세포주HepG2, HeLa, MCF-7및 HT-29와 정상 간세포에 대한 암세포 증식억제 실험을 한 결과 사용한 4종의 암세포주에서 모두 시료첨가 농도에 의존적으로 증식 저지 효과가 나타났고, 특히 불등가사리의 methanol 분획층인 GFMM에서는 매우 낮은 농도의 시료첨가에도 불구하고 괄목할 만한 높은 암세포 성장 억제효과를 나타내었으며, 정상 간세포에서는 모든 분획층에서 약한 세포증식 억제율을 나타내어 정상 세포에 미치는 독성이 낮음을 확인하였다. 특히 본 시료는 여성암의 대표적인 유방암과 자궁경부암의 암세포 성장저지효과가 탁월하였다. 한편, 사용한 4가지 암세포주 중 유일하게 QR을 가지고 있는 HepG2를 이용한 암 예방지표인 QR 효소 유도 활성 여부를 측정한 결과 분획물 첨가농도를 10, 20, 30 및 40 $\mu$g/mL로 첨가하였을 때 GFMM의 첨가농도 $20\mu g/mL$에서 대조군에 비해 약 2배 이상의 높은 QR 유도효과를 나타내어 최종농도 $40\mu g/mL$에서는 2.6의 암 예방 QR 유도효과를 나타내었다.

효소종류에 따른 불등풀가사리 유래 다당류의 이화학적 특성 및 생리활성 (Biological activities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polysaccharides from Gloiopeltis furcata prepared by using various enzymes)

  • 이대훈;홍주헌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455-463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불등풀가사리 유래 다당류의 기능성식품소재로의 활용성을 향상시키고자 불등풀가사리에 5종의 상업용 효소를 처리한 다음 분리된 다당류의 이화학적 특성 및 생리활성을 조사하였다. 효소 분해 구간의 다당 수율은 52.8-66.4%로 무처리 구간 50.6%에 비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이화학적 특성으로 총당 및 단백질 함량은 각각 71.04% 및 7.22%, uronic acid 및 sulfate 함량은 23.18 g/100 g 및 28.27%로 효소 분해를 통해 증가하였다. DPPH radical 소거활성 및 FRAP에 의한 항산화 활성은 23.10% 및 $218.50{\mu}M$을 나타내어 무처리 구간에 비해 항산화 활성이 우수하였으며, L132 세포 사멸에 대한 보호효과는 viscozyme 효소처리 구간($1{\mu}g/mL$)에서 $H_2O_2$를 처리한 구간 대비 세포 보호효과는 85.64%로 세포 활성이 증가하여 높은 세포 보호효과를 나타내었다. NO 생산량은 viscozyme 효소 처리구간 $5{\mu}g/mL$ 농도에서 $32.13{\mu}M$ 함량을 나타내어 LPS 대비 90% 높은 생성량을 나타내었으며, 4종의 암세포(A549, SNU719, HeLa 및 MCF7) 생존율은 $25{\mu}g/mL$농도에서 각각 69.57%, 61.06%, 52.74% 및 68.64%의 유의적으로 낮은 암세포 생존율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불등풀가사리의 효소 분해를 통해 다당의 이화학적 특성 및 생리활성이 향상됨에 따라 기능성 식품소재 로 다양하게 활용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