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lobin Gene

검색결과 33건 처리시간 0.028초

잉어와 척추동물들의 ${\beta}$-globin 아미노산배열의 비교 (Comparisons of amino acid sequences of ${\beta}$-globin gene between carp and other vertebrates)

  • 진덕희
    • 생명과학회지
    • /
    • 제8권3호
    • /
    • pp.249-256
    • /
    • 1998
  • 일본의 잡종잉어 ${\beta}$사 globin유전자의 염기배열로부터 추정되는 아미노산 배열과 이미 보고되어 있는 ${\beta}$사 globin의 아미노산 배열을 비교한 결과, 금붕어와 가장 높은 상동성인 97.3%를 나타내었으며, 거울잉어 ${\beta}_B$와 95.2%, 거울 잉어 ${\beta}_A$와 93.9%의 높은 상동성을 나타내었다. 다음으로 송어(76.9%), 전기뱀장어(71.4%), 혹다랑어(61.9%), 성대(59.9%), 양태(58.5%), 시라칸스(52.4%), 폐어(46.9%), 상어(38.1%) 및 전기가오리(36.1%)의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beta}$사 globin의 아미노산 배열의 상동성을 기초로하여 분자진화의 계통수를 구하였을 때, 각각의 진화거리로부터 일본의 잡종잉어와 금붕어가 0.013으로 가장 가깝고, 분기한 것이 가장 근년인 것으로 생각되어졌다. 그 다음이 같은종인 거울잉어로 진화거리는 0.035였으며, 연골어류나 폐어와는 그 진화거리가 크게 벌어져 있어 상당히 오래전에 분기한 것으로 추정되었다. 일본 잡종이어의 ${\beta}$사 globin유전자로부터 추정되는 아미노산 배열과 이미 보고되어 있는 다른 척추동물의 아미노산 배열과 비교한 결과, 상동성은 오리(58.1%), 닭(57.8%), 쥐(55.1%), 사람(52.4%), 개구리(50.7%), 및 염소(45.9%)의 순으로 나타났다.

  • PDF

잉어 $\beta$-globin 유전자의 염색체상에서의 다형해석 (Polymorphism of Carp $\beta$-globin Gene on Chromosome)

  • 진덕희;청목주
    • 생명과학회지
    • /
    • 제8권3호
    • /
    • pp.348-351
    • /
    • 1998
  • Common DNA fragments of the ${\beta}$-globin gene were observed from six races of the adult common carp: Hybrid-Yamato, Japanese wild type, Mirror, Suwa-Yamato, Scale German, and Saku-Yamato. Chromosomal DNAs isolated from the above six races were digested with restriction endonucleased EcoRI and PstI. The digested fragments were transferred onto nitrocellulose filter and hybridized with a probe of carp ${\beta}$-globin cDNA. Molecular sizes of the hybridized DNA fragments digested with EcoRI were 3.6Kb(Kilo base), 4.3Kb and 15Kb in Hybrid-Yamato, Japanese wild type, Mirror, Scale German and Saku-Yamato carp DNAs. In Scale German and Saku-Yamato carp DNAs, two and one more hybridized DNA fragments were observed, respectively. Molecular sizes of the hybridized DNA fragments digested with PstI were 2.2Kb, 6.5Kb, 7.8Kb and 9.2Kb in Hybrid-Yamato, 2.2Kb, 6.5Kb and 9.2Kb in Japanese wild type, 2.2Kb, 6.5Kb, 7.8Kb, and 13Kb in Mirror, 2,2Kb, 5,5Kb, 6.5Kb, 7.8Kb, 9.2Kb and13Kb in Scale German, and 2.2Kb, 5.5Kb, 6.5Kb, 9.2Kb and Saku-Yamato carp DNA. Therefore, depending on carps, three to six DNA fragments were hybridized with ${\beta}$-globin gene probe. Thus it indicated polymorphysm in the globin gene family of carp.

  • PDF

유전공학적 방법에 의한 토끼 글로빈 유전자의 재조합과 대장균에서의 발현 (Molecular Cloning and Expression in Escherichia coli of a Rabbit Globin Gene)

  • Jang, Sung-Key;Park, Hyune-Mo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103-116
    • /
    • 1984
  • 유전자 구조 및 유전정보 흐름의 차이로 인하여 고등생물의 유전자를 미생물에 직접 cloning하면 원하는 유전자 산물을 얻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이것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화학적인 방법으로 유전자를 합성하든지, 또는 역제효소를 사용하여 고등생물의 mRNA로부터 유전자를 합성하여 cloning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본 연구에서는 oligo(dT)-cellulose column 방법으로 순수분리한 plasmid pBR322의 Pst I site에 cloning하였다. 우선 AMV reverse transcriptase로 primary cDNA를 합성하고, 알칼리를 처리하여 주형 RNA를 제거했다. 이번에는 이 primary cDNA를 주형으로 Klenow enzyme과 reverse transcriptase를 차례로 처리하여 double stranded DNA를 합성하고, 이 때 5' end 근처에 형성되는 hairpin loop을 Sl nuclease로 제거했다. Terminal deoxynucleotidyl transferase를 사용하여, 합성된 dsDNA에는 poly(dC) track을, Pst I endonuclease를 처리한 plasmid DNA에서는 poly(dG) track을 각각 붙인다음 이들을 서로 annealing시키고 E. coli에 transformation시켜서 크기가 큰 plasmid를 갖는 clone을 cracking 방법으로 일처 선별하였다. 이렇게 선별된 clone을 in 냐셔 hybridization 방법으로 조사하여 globin DNA가 들어간 colony를 이차 선별하고 여러 restriction enzyme으로 잘라보아 globin DNA가 cloning된 것을 확인하였다. 토끼 hemoglobin으로 immunize한 rat (Wistar)에서 뽑은 제일차 혈청과 염소에서 뽑은 제이차 혈청의 antibody를 사용한 radioimmunoassay방법으로, cloning된 globin gene이 대장균내에서 발현되는 지의 여부를 살펴 보았는데, 박테리아의 $\\beta$-lactamase와 토끼의 globin이 결합된 chimeric protein이 대장균 내에서 다량 합성되며, 이 단백질은 토끼 hemoglobin의 antigenic determinant를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Expression of miR-210 during erythroid differentiation and induction of γ-globin gene expression

  • Bianchi, Nicoletta;Zuccato, Cristina;Lampronti, Ilaria;Borgatti, Monica;Gambari, Roberto
    • BMB Reports
    • /
    • 제42권8호
    • /
    • pp.493-499
    • /
    • 2009
  • MicroRNAs (miRs) are a family of small noncoding RNAs that regulate gene expression by targeting mRNAs in a sequence specific manner, inducing translational repression or mRNA degradation. In this paper we have first analyzed by microarray the miR-profile in erythroid precursor cells from one normal and two thalassemic patients expressing different levels of fetal hemoglobin (one of them displaying HPFH phenotype). The microarray data were confirmed by RT-PCR analysis, and allowed us to identify miR-210 as an highly expressed miR in the erythroid precursor cells from the HPFH patient. When RT-PCR was performed on mithramycin-induced K562 cells and erythroid precursor cells, miR-210 was found to be induced in time-dependent and dose-dependent fashion, together with increased expression of the fetal $\gamma$-globin genes. Altogether, the data suggest that miR-210 might be involved in increased expression of $\gamma$-globin genes in differentiating erythroid cells.

Human ${\beta}$-Globin Second Intron Highly Enhances Expression of Foreign Genes from Murine Cytomegalovirus Immediate-Early Promoter

  • KANG MOONKYUNG;KIM SEON-YOUNG;LEE SUKYUNG;LEE YOUNG-KWAN;LEE JAEHO;SHIN HYUN-SEOCK;KIM YEON-SOO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5권3호
    • /
    • pp.544-550
    • /
    • 2005
  • To develop a highly efficient mammalian expression vector, a series of vectors were constructed based on the murine cytomegalovirus (MCMV) immediate-early (IE) promoter and human ${\beta}$-globin second intron. The resulting MCMV promoter was several-fold stronger than the HCMV promoter in various mammalian cell lines, such as the NIH3T3, Neuro-2a, 293T, and HT1080 cell lines, and was only slightly weaker than the HCMV promoter in HeLa and CHO cells. The inclusion of the human ${\beta}$-globin second intron behind the MCMV promoter or HCMV promoter markedly enhanced the promoter activity in various mammalian cell lines, and the resultant MCMV/Glo-I expression system was stronger than the HCMV promoter from 4.7- to 11.2-fold in every cell line tested. Also, the MCMV/Glo-I promoter induced a higher level of the VSV-G protein in a transiently transfected 293T cell line, which is useful for the production of recombinant retrovirus and lentivirus vectors.

Cloning and characterization of polyA- RNA transcripts encoded by activated B1-like retrotransposons in mouse erythroleukemia MEL cells exposed to methylation inhibitors

  • Tezias, Sotirios S.;Tsiftsoglou, Asterios S.;Amanatiadou, Elsa P.;Vizirianakis, Ioannis S.
    • BMB Reports
    • /
    • 제45권2호
    • /
    • pp.126-131
    • /
    • 2012
  • We have previously identified a DNA silent region located downstream of the 3'-end of the ${\beta}^{major}$ globin gene (designated B1-559) that contains a B1 retrotransposon, consensus binding sites for erythroid specific transcription factors and shares the capacity to act as promoter in hematopoietic cells interacting with ${\beta}$-globin gene LCR sequences in vitro. In this study, we have cloned four new non-polyA RNA transcripts being detected upon blockade of murine erythroleukemia (MEL) cell differentiation to erythroid maturation by methylation inhibitors and demonstrated that two of them share high structural homology with sequences of B1 element found within the B1-559 region. Although it is not clear yet whether and how these RNAs interfere with induction of erythroid maturation, these data provide evidence for the first time showing that methylation inhibitors can activate silent repetitive DNA sequences in MEL cells and may have implications in cancer chemotherapy using demethylating drugs as antineoplastic agents.

인체타액의 보관이 DNA 분리와 안정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torage of Human Saliva on DNA Isolation and Stability)

  • 김용우;김영구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31권1호
    • /
    • pp.1-16
    • /
    • 2006
  • 최근 진단분야에 있어서의 가장 획기적인 진보로는 향상된 진단 술식의 민감도와 특이도를 들 수 있으며 이는 다양한 면역 화학물질과 분자생물학적 시약의 활용도가 증가되고 이와 더불어 진단용 기구의 수준 향상으로 가능해진 미세 술식의 발달에 따른 결과이다. 이러한 기술의 발전은 임상검사용 검체 뿐만 아니라 DNA의 공급원으로서의 타액의 진단학적 가치를 고려하게 되었다. 본 연구는 인체의 타액에서 genomic DNA를 분리하고 이를 혈액 및 협점막 swab에서 분리한 genomic DNA와 비교 검토해 봄으로써 타액 검체의 진단학적 활용도를 살펴보고, 타액 검체의 다양한 보관 과정이 genomic DNA의 분리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시행되었으며, 또한 분리된 genomic DNA의 안정도를 살펴보고자 중합효소 연쇄반응 분석법을 이용하여 $\beta$-globin 유전자의 증폭을 시행하였다. 10명의 피검자(평균 나이: $29.9{\pm}9.8$ 세)를 대상으로 혈액, 비자극성, 자극성 전타액 및 협점막 swab을 채취한 후 이로부터 genomic DNA를 분리하였다. 여러 다양한 보관조건이 genomic DNA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건강한 20명의 피검자(평균 나이: $32.3{\pm}6.6$ 세)를 대상으로 자극성 전타액을 채취하여 실온, $4^{\circ}C$, $-20^{\circ}C$, $-70^{\circ}C$, 자연 건조 및 동결 건조 상태에서 1, 3, 5 개월 동안 보관한 후 genomic DNA를 분리, 조사하였으며, 분리된 genomic DNA의 안정도를 살펴보고자 중합효소 연쇄반응 분석법을 이용하여 989-bp의 $\beta$-globin 유전자를 증폭한 후 전기영동 검사를 시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타액으로부터 분리한 genomic DNA의 농도는 혈액의 경우에 비하여 유의하게 낮았으며(p<0.05), 타액군 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자극성 전타액과 이를 동결 건조한 검체에서 분리한 genomic DNA의 순도는 혈액의 경우에 비하여 유의하게 높았으며(p<0.05), 협점막 swab으로부터 분리한 genomic DNA 의 순도는 타액의 경우에 비하여 유의하게 낮게 나타났다(p<0.05). 2. 실온에서 보관한 타액 검체로부터 분리한 genomic DNA의 농도는 1 개월 후부터 점차적으로 감소되었으며, 3 개월과 5개월 동안 보관한 타액 검체에서는 유의하게 감소되었다(각각 p<0.05, p<0.01). DNA의 순도 또한 점차적으로 감소되어 3 개월과 5 개월 동안 보관한 타액 DNA의 순도는 신선한 타액과 1 개월 동안 보관된 타액 검체의 순도보다 낮게 나타났다(p<0.05). 3. 타액 검체를 $4^{\circ}C$$-20^{\circ}C$에서 보관한 후 분리한 genomic DNA의 농도는 3 개월의 보관 기간 동안 유의한 변화가 없었으나, 보관 기간 5 개월 후의 검체에서는 유의하게 감소되었다(p<0.05). 4. 타액을 $-70^{\circ}C$에서 보관한 검체와 동결 건조한 후 보관한 검체로부터 분리한 genomic DNA의 농도는 보관 기간에 따른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보관 후 5 개월 후의 검체에서는 DNA의 농도가 감소되는 경향을 보였다. 5. 타액을 자연 건조한 후 즉시 genomic DNA를 분리한 결과, 신선한 타액에 비하여 약 60%의 DNA를 얻을 수 있었다. 자연 건조한 후에 실온에서 보관한 타액 검체로부터 분리한 genomic DNA 농도는 보관 2 주 만에 급격하게 감소되었다(p<0.05). 6. 중합효소 연쇄반응 방법을 이용한 $\beta$-globin 유전자의 증폭은 동결 건조한 후 보관한 타액의 경우 보관 기간 5 개월까지의 모든 검체에서 가능하였으며, 보관 기간 1 개월을 기준으로 보았을 때 $-20^{\circ}C$$-70^{\circ}C$에서 보관한 타액의 경우 모든 검체에서, $4^{\circ}C$에서 보관한 타액의 경우 일부분의 검체에서만 증폭이 가능하였고, 실온에서 보관한 타액과 자연 건조 후 실온에서 보관한 타액의 경우는 증폭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생쥐 배아에서의 초기 적혈구 분화를 재현 할 수 있는 배아주 세포에 기초한 간단한 시험관내 분화체계 (A Simple Embryonic Stem Cell-Based in vitro Differentiation System That Recapitulates Early Erythropoietic Events in the Mouse Embryo)

  • 김철근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239-247
    • /
    • 1996
  • 현탁 배양액에서 생쥐 배아주 세포를 배아체(embryoid body. EB)로 분화시키는 간단한 시험내 모델 체계가 초기 적혈구 분화 분석에 유용한 지의 여부를 조사하였다. 분화중인 배아체로부터 각 혈구계열 세포 유형이 만들어지는 지(분화능)의 여부는 혈도형성, benzidine 염색법 및 2단계 콜로니 분석법을 조사하였고, 발생과 분화시기에 바ㅈ추어 적혈구 표시 유전자들이 발현되는 지(발현능)의 여부는 각 분화시기별 배아체로 부터 추출한 RNA를 RT-PCR 방법으로 조사하였다. 분석 결과, 다른 기존의 복잡한 분화 방법에 의한 것과 마찬가지로 모든 혈구계열 세포 유형이 반복성 있게 유도되었다. 더군다나, 분화중인 배아주 세포에서의 글로빈 유전자 발현 전환은 생쥐 배아에서와 유사하게 진행되었으며, 글로빈 유전자의 발현은 적혈구-특이 전사인자인 GATA-1과 Tal-1보다 적어도 12시간 늦게 활성화되었다. 이와같이 간단한 분화 체계에서도 적혈구 분화과정이 효율적으로 반복성 있게 나타나는 것으로 보아, 간단한 현탁배양에서의 분화는 초기 적혈구 분화과정이 분자적 기작을 분석하는데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으리라 본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