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liding bacteria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2초

박테리아의 활주운동 (Bacterial Gliding Motility)

  • 조경연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199-205
    • /
    • 2002
  • 활주운동은 편모의 작용없이 고체의 표면을 미끄러지듯이 이동하는 박테리아의 운동방식으로 분류학상 다양한 종의 박테리아에서 발견된다. 지금까지 밝혀진 바에 의하면 활주 운동은 type IV pili(Tfp)를 필요로 하는 경우와 이를 필요로 하지 않는 두 가지로 크게 구분될 수 있는데, Tfp를 필요로 하는 경우에는 T룰의 확장과 수축에 의해 이루어지는 twitching motility와 운동기작이 흡사할 것으로 추정된다 Tfp를 필요로 하지 않는 활주운동에 대해서는 여러 다양한 모델이 제시되었는데, 이중 한 모델은 활주박테리아가 점액을 분출함으로서 추진력을 얻어 앞으로 진행한다는 설명이며, 다른 모델들은 외벽에 세포 전체를 감싸는 운동기구가 존재한다는 것이다. 이와 같이 활주운동은 일반적으로 잘 알려진 편모에 의한 운동과는 전혀 다른 운동방식에 의해 이루어지는데, 그 작용 기작이 매우 흥미로운 반면에 많은 부분들이 풀어야 될 숙제로 남아있어 앞으로의 연구결과들이 기대된다.

소하은어의 병소로부터 Flavobcterium succinicans의 분리 및 동정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Flavobcterium succinicans from anadromous ayu Plecoglossus altivelis)

  • 이창훈;김필연;임봉수;오덕철;강봉조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401-406
    • /
    • 2009
  • 2008년 5월 제주지역 하천에 소하하는 은어 중 일부개체가 주둥이 부식 또는 체표궤양증상을 보이면서 폐사하였다. 어류 질병원인균 중 부식증 및 체표궤양과 연관성이 높은 Flavobac-terium 속 세균의 분리를 위해 Shu-Shott medium 및 R2A medium에 주둥이 부식 및 체표궤양 부위를 도말하여 배양 하였고, Flavobacterium 속 세균의 전형적인 집락인 pale yellow colony를 분리하였다. 16S rDNA 염기서열 분석결과 Flavobacterium succinicans DSM 4002(Accession NO. AM230492)와 98.27%의 상동성을 보여 F. succinicans JMFL55로 동정하였다.

폐섬유자원의 발효공학적 이용에 관한 연구 (제8보) 섬유소자화세균의 혼합배양 (Studies on the Fermentative Utilization of Cellulosic Wastes (Part 8) Mixed Culture of Cellulose Assimilating Bacteria)

  • 윤한대;성낙계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51-57
    • /
    • 1978
  • 섬유소 자화세균의 분리 및 이용과정에서 혼합배양하므로써 균체증식이 향상 되었는데, 이러한 혼합배양에 따른 여러 가지 영향과 보조균을 동정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Cellulomona flavigena의 단독배양에서는 O.D.가 0.26이였으나, 보조균과 혼합배양하므로써 O.D.가 0.37로 증가하였다. 2) 보조균은 gliding motility가 있었으며, microcyst가 확인되었는데 이것은 Sporocytophga 속과 일치하였다. 3) 혼합배양에서 생육최적 pH는 7.2 부근이 좋았으며, 최적온도는 3$0^{\circ}C$ 부근이었다. 4) 혼합배양에 있어서 두 균의 분포도는 10 : 1 정도로 Cellulomonas flavigena가 주로 분포되어 있었다. 5) Cellulomonas flavigena의 growth factor로서 thiamine과 biotin을 요구하였으며, Sporocytophaga sp.는 vitamin 요구성이 없었다. 6) Cellulomonas flavigena의 단독배양액에서는 추적할 만한 glucose 량이 없었으나, 혼합배양에서는 glucose가 확인되었다. 7) Cellulomonas flavigena의 균체중 필수아미노산으로 valine, leucine, arginime이 비교적 많은 편이였다

  • PDF

Myxobacteria의 생리활성 물질 (Bioactive Substances from Myxobacteria.)

  • 김용석;배우철;백성진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1-12
    • /
    • 2003
  • Myxobacteria는 토양세균으로 활주하여 이동하며, 복잡한 생활사를 갖고 있다. 25년 이상의 연구결과 myxobacteria는 많은 생리활성물질을 생산한다는 사실이 밝혀졌으며, 지금까지 약 80종의 신규물질과 그들의 변이체가 450종이 확인되었다. 이들 물질들은 독특한 기작을 갖고 있는 것들이 많으며, 그 중에는 26종의 electron transport 저해제, 5종의 nucleic acid polymerase 저해제, 10종의 cytoskeleton에 작용하는 물질, 1종의 진균 acetyl-CoA carboxylase 저해제이다. 그러나 아직까지 myxobacteria 유래물질들을 대량으로 생산하기 위한 공정이 완벽하게 성립되어 있지 않고, 이들 물질들을 이용한 제품이 시판되는 상황은 아니지만, 머지않아 myxobacteria가 생산하는 생리활성물질들을 항균, 항암과 같은 질병치료 및 기타 다양한 분야에서 이용 가능하게 될 것이다.

Flavobacterium jocheonensis sp. nov., Isolated from Marine Green Alga Ulva pertusa

  • Choi, Ha Ri;Park, So Hyun;Heo, Moon Soo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9권8호
    • /
    • pp.1266-1272
    • /
    • 2019
  • A bacterial strain, labeled $UR11^T$, was isolated from green alga Ulva pertusa collected from Jeju Island, Korea. $UR11^T$ was identified as a gram-negative, rod-shaped, motile by gliding and aerobic bacterial strain with yellow colonies on R2A plates. The strain $UR11^T$ grew over at a temperature range of $10^{\circ}C$ to $30^{\circ}C$ (optimally at $25^{\circ}C$), a pH range of 6.0-11 (optimally at pH 7.0) and a Nacl range of 0.5-5% Nacl (w/v). Phylogenetic analysis based on 16S rRNA gene sequences revealed that strain $UR11^T$ was a member of the genus Flavobacterium. Strain $UR11^T$ shared close similarity with F. jejuensis $EC11^T$ (98.0%) F. jumunjinense $HME7102^T$ (96.1%), F. haoranii $LQY-7^T$ (95.3%), F. dongtanense $LW30^T$ (95.1%), and F. ahnfeltiae 10Alg $130^T$(94.9%). The major fatty acids (>5%) were $iso-C_{15:0}$ (33.9%), $iso-C_{15:1}$ G (12.4%), $iso-C_{17:0}$ 3-OH (9.0%), $isoC_{16:0}$ (7.0%) and $iso-C_{15:0}$ 3-OH (6.3%). The major polar lipids were phosphatidylethanolamine, seven unknown aminolipids, two unknown aminopolarlipids and two unknown lipids. DNA-DNA hybridization value was 58% at strain $UR11^T$ with F. jejuensis $EC11^T$. Based on phenotypic, chemotaxonomic and phylogenetic evidence, strain $UR11^T$ represents a novel species of the genus Flavobacterium, for which the name Flavobacterium jocheonensis sp. nov. is proposed. The type strain is Flavobacterium jocheonensis is $UR11^T$ (=KCTC $52377^T$ =JCM $31512^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