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lechoma hederacea

검색결과 18건 처리시간 0.025초

Streptozotocin 유발 당뇨 흰쥐에 대한 금전초 추출물의 혈당 강하 효과 (Antidiabetic Effect of Glechoma hederacea LINNAEUS i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s)

  • 김옥경
    • 생약학회지
    • /
    • 제35권4호통권139호
    • /
    • pp.300-308
    • /
    • 2004
  • This study was done to investigate the antidiabetic effect of Glechoma hederacea LINNAEUS in Streptozotocin (STZ)-induced diabetic rats. Diabetes was induced by intravenous injection of STZ at a dose of 45 mg/kg dissolved in citrate buffer. The methanol extract of Glechoma hederacea was orally administrated once a day for 6 days. The contents of serum glucose, triglyceride (TG), total cholesterol and Atherogenic Index (Al)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but high density lipoprotein (HDL)-cholesterol and HDL-cholesterol/total cholesterol ratio (HTR)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Glechoma hederacea treated STZ-sample group compared to the those of STZ-control group. The content of hepatic lipid peroxide and activity of catalase were decreased, but content of glutathione as well as activities of glutathione-S-transferase and superoxide dismutase were increased in Glechoma hederacea treated STZ-sample group compared to the those of STZ-control group. The content of hepatic glycogen and activities of glucose-6-phosphate dehydrogenase, glucokinase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but activity of glucose-6-phosphatase was decreased in Glechoma hederacea treated STZ-sample group compared to the those of STZ-control group.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methanol extract of Glechoma hederacea would have antidiabetic effect in STZ-induced diabetic rats.

Chemical Composition and Electron Donating and Nitrite Scavenging Activities of Glechoma hederacea var. longituba $N_{AKAI}$

  • Deokjo Jo;Lee, Jungeun;Jungeun Noh;Kim, Ok-Kyung;Kwon, Joong-Hoo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6권3호
    • /
    • pp.142-146
    • /
    • 2001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chemical and functional properties of Glechoma hederacea leaves in respect to its potential use as food material or as a medicinal herb. The chemical compositions on a dry harris were 20.38% in protein, 3.96% in fat, 59.58% in carbohydrate, 15.78% in ash, 5.36% in reducing sugar, 14.11% in total sugar and 0.26% in polyphenol, respectively. The free sugars were mainly comprised of glucose, fructose and sucrose. In fatty acids compositiosn, linolenic acid showed the highest concentration at 45%, while the ratios of saturated to unsaturated fatty acids were 1 : 1.91. Seventeen kinds of total amino acids were determined, with the highest concentration (2,465.71 mg%) of glutamic acid. Among the free amino acids, praline showed the highest concentration (260.09 mg%), followed by glutamine, $\alpha$ -amino adipic acid, glutamic acid and valine. The contents of major minerals were 647.32 mg% in Na, 597.53 mg% in K and 239.75 mg% in Ca. The antioxidative activity of 10% water extract was similar to that of 50 ppm tocopherol. The nitrite scavenging ability reached the highest bevel at pH 1.2 and the lowest at pH 6.0.

  • PDF

긴병꽃풀 추출물의 oxazolone-유도 아토피 피부염 개선 효과 (Ameliorative effects of Glechoma hederacea var. longituba extract on oxazolone-induced atopic dermatitis-like skin lesions)

  • 김대용
    • 대한융합한의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17-22
    • /
    • 2023
  •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anti-atopic properties of Glechoma hederacea var. longituba extracts (GHE) in murine atopic dermatitis model. Methods: BALB/c mouse ear stimulated with oxazolone (OX) for 4 weeks, then 1% GHE was topically applied every two days for 3 weeks to mouse. Ear thickness was measured by a digital thickness gauge. The ears tissues were collected and subjected to hematoxylin-eosin (H&E) and toluidine blue (TB) staining. Results: Treatment with GHE successfully alleviated the symptoms of atopic dermatitis, such as erythema, horny substance, and swelling. The infiltration of lymphocytes and mast cells were significantly reduced following GHE treatment. Conclusion: Taken together, our results showed that GHE possessed the potential to be a novel immunomodulatory drug against atopic dermatitis.

  • PDF

긴병꽃풀속(Glechoma L., 꿀풀과)의 잎표피 미세구조에 대한 분류학적 검토 (The Taxonomic Consideration of Leaf Epidermal Microsturcture in Glechoma L. (Nepetinae, Lamiaceae))

  • 장태수;홍석표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37권3호
    • /
    • pp.239-254
    • /
    • 2007
  • 개박하아족(subtribe Nepetinae)에 포함되는 긴병꽃풀속(Glechoma L.) 5분류군과 근연분류군(Agastache속, Dracocephalum속, Marmoritis속, Meehania속, Nepeta속 Glechomanthe절)의 잎표피 미세구조에 대한 분류학적 유용성을 검토하고자 주사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관찰하였다. Marmoritis속, Nepeta속 Glechomanthe절, Glechoma hederacea var. longituba (Korea)에서는 기공이 잎의 양면에 모두 존재하는 양면기공엽(amphistomatic type)이나, 나머지 분류군들은 배축면에만 존재하는 이면기공엽(hypostomatic type)으로 밝혀졌다. 공변세포의 크기는 $12.50-28.75{\times}9.17-21.25{\mu}m$로 종에 따라 다소 차이를 보이는데, Marmoritis pharicus ($12.50-15.83{\times}9.17-11.25{\mu}m$)가 가장 작은 공변세포를 갖고 있고, G. hederacea var. longituba (Korea: $28.75-28.88{\times}21.25-21.38{\mu}m$)가 가장 큰 공변세포를 가졌다. 기공 복합체의 경우는 대부분 불규칙형 (anomocytic)과 불균등형(anisocytic)이나, Agastache속, Dracocephalum속에서 교차형(diacytic)이 나타났다. 표피세포는 표피상납질(epicuticular wax)이 판 모양(platelet)으로 잘 발달 되지 않은 표면을 보이는 분류군과 발달된 표면(stripe)을 보이는 분류군으로 구분된다. 연구된 분류군에서 잎의 향축면과 배축면, 그리고 주맥에 분포하는 모용은 5가지의 종류가 나타났다. 모용은 비선모와 선모로 나뉘는데, 그 중에서 선모의 경우 방패형선모(subsessile gland), 긴 두상선모(long stalk capitates glandular trichome), 짧은 두상 선모(short stalk capitates glandular trichome)는 모양과 밀도, 분포위치에서 분류군마다 다르게 나타나 분류학적인 유연관계에 유용한 형질임을 제시해 주었다.

RAW 264.7 세포에서 긴병꽃풀 에탄올 추출물의 항염증 활성 검증 (Verification of Anti-inflammatory Activities of the Ethanol Extracts of Glechoma hederacea var. longituba in RAW 264.7 Cells)

  • 이진영;유단희;정용성;주성현;채정우
    • 생명과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429-434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긴병꽃풀에 대한 항염증 효과를 검증함으로써 천연 기능성 소재로서의 사용 가능성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대식세포(Raw264.7)에서 긴병꽃풀 70% 에탄올 추출물의 세포 생존율을 확인한 결과 $1,000{\mu}g/ml$ 농도에서 95.8%의 생존율을 보였고, 특히 $1,000{\mu}g/ml$의 농도에서 37.4%의 Nitric oxide (NO) 발현을 감소시키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Western blot과 RT-PCR을 이용한 실험에서는 대조군인 Vit. C와 비교하였을 때 긴병꽃풀 추출물에서 iNOS와 COX-2의 mRNA 발현이 억제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를 종합하였을 때 긴병꽃풀 추출물의 항염증 소재로서의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긴병꽃풀(Glechoma hederacea var. longituba) ethyl acetate 분획물의 항염증 활성 및 B16F10 세포의 멜라닌 생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n Melanogenesis in B16F10 Melanoma Cells and the Anti-inflammatory Activities of an Ethyl Acetate Fraction from Glechoma hederacea var. longituba)

  • 염현지;오민정;채정우;이진영
    • 생명과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222-231
    • /
    • 2022
  • 본 연구는 긴병꽃풀 ethyl acetate 분획물의 미백 및 항염증 활성 검증을 통해 화장품 소재로서의 활용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전자공여능과 ABTS+ radical 소거능 측정 결과 최고 농도인 1,000 ㎍/ml에서 각각 89.6%, 88.7%의 활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Tyrosinase 저해활성 측정 결과 최고 농도인 1,000 ㎍/ml에서 ethyl acetate 분획물은 22.3%의 억제활성을 나타내었다. 세포 생존율 측정 결과, 멜라노마 세포와 대식세포에 대해 긴병꽃풀 ethyl acetate 분획물을 처리한 모든 구간에서 80% 이상의 생존율을 보였다. 긴병꽃풀 ethyl acetate 분획물의 단백질 및 mRNA 발현량을 측정하기 위한 western blot과 RT-PCR의 농도구간은 25, 50, 100 ㎍/ml으로 설정하였다. 그 결과 분획물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발현양이 감소됨을 확인하였으며 미백관련 인자 MITF와 TRP-2의 단백질 발현 억제율이 대조군인 kojic acid에 비해 우수하였고, tyrosinase에 대해서는 100 ㎍/ml에서 29.1%의 가장 낮은 발현량을 보여 매우 뛰어난 mRNA 발현 억제를 확인할 수 있었다. Pro-inflammatory cytokine인 IL-1β, IL-6 및 TNF-α의 단백질 및 mRNA 발현량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한 결과, IL-6와 TNF-α의 인자가 같은 농도의 대조군인 Vit. C에 비해 높은 단백질 및 mRNA 억제율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실험결과를 기반으로 긴병꽃풀 ethyl acetate 분획물이 기능성 소재로서의 활용 가능성을 확인함으로써 화장품에 천연 소재로서 응용할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되었다.

유기농 사과과원에서 초생재배를 위한 자생지피식물의 선발 (Selection of Native Ground Cover Plants for Sod Culture in an Organic Apple Orchard)

  • 허재윤;박영식;엄남용;박성민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8권5호
    • /
    • pp.641-647
    • /
    • 2015
  • 유기농 사과과원에서 초생재배를 위해 활용할 수 있는 자생지피식물 선정을 위하여 세 가지 자생식물이 잡초의 발생 및 과실의 특성과 토양의 화학성 변화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조사하였다. 지피식물의 생육은 30 ㎝ (L) × 30 ㎝ (W) × 100 ㎝ (H) 밀도에서 측정되었으며, 조사 결과 긴병꽃풀의 초장과 건물중이 다른 식물체들에 비해서 큰 것으로 조사되었다. 토양 피복율이 낮았던 섬백리향과 좀씀바귀에서의 잡초 발생빈도와 발생량은 대조구와 거의 유사하였던 반면, 토양 피복율이 높았던 긴병꽃풀 처리구의 경우 대조구와 비교하여 잡초의 발생억제 효과가 큰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긴병꽃풀의 개화기는 ‘쓰가루’ 사과 품종의 개화시기 일치하여 방화곤충의 유인을 증가시켰으며, 이에 따라 착과율의 증대 효과도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실험에서 지피식물의 피복에 따른 나무의 생육과 과일의 특성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토양의 화학성분은 대조구에 비해 지피식물 처리구에서 유기물 함량과 인산 함량이 다소 높게 나타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시험결과 전반적으로 긴병꽃풀은 토양을 완전히 피복함으로써 잡초의 발생을 감소시켰고, 토양 화학성도 개선하여 사과 재배농가에 초생재배용 피복식물로서 활용 가능성이 큰 것으로 조사되었다.

미세구조학적 형질 및 핵 리보솜 DNA의 ITS 염기서열에 의한 긴병꽃풀속(꿀풀과)의 계통분류학적 연구 (A systematic study of Glechoma L. (Lamiaceae) based on micromorphological characters and nuclear ribosomal ITS sequences)

  • 장태수;이중구;홍석표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4권1호
    • /
    • pp.22-32
    • /
    • 2014
  • 꿀풀과에 속하는 긴병꽃풀속(Glechoma)내 5종에 대한 화판과 악편의 미세 구조를 관찰하여 기재하고 그 분류학적 유용성을 판단하였으며, 분자계통학적 유연관계를 확인하기 위하여 핵 리보솜 DNA의 ITS 염기서열에 기초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기공복합체는 조사된 모든 분류군의 악편에서 분포하였으며, 공변세포의 길이는 분류군마다 다소 차이를 보였다. 긴병꽃풀속 분류군들의 화판과 악에 분포하는 모용은 5 종류(단세포 비선모, 다세포 비선모, 짧은 자루 두상 선모, 긴 자루 두상 선모, 방패형 선모)로 나타났으며, 모용의 종류, 분포, 밀도가 분류군마다 다르게 나타났다. 핵 리보솜 DNA의 ITS 염기서열에 의한 분자계통학적 연구 결과 긴병꽃풀속은 분포지역에 따라 3개의 분계조(유럽-미국, 중국-한국, 일본)로 분리되었다. 한국과 중국에 분포하는 G. longituba는 단계통군을 이루었고, 이탈리아의 특산종인 G. sardoa와 미국 및 유럽에 분포하는 G. hederacea는 단계통군을 형성하였다. G. hirsuta는 유럽의 분계조와 자매군 관계를 이루었으나, 일본에 분포하는 G. grandis는 나머지 분류군들의 상호 유연관계에서 통계적 지지를 얻지 못하였다. 본 연구 결과에서 긴병꽃풀속내의 종간 한계 설정에 있어 화판 및 악의 미세형태형질의 연구보다 핵 리보솜 DNA의 ITS 염기서열에 기초한 분자 계통학적인 연구가 유용한 방법임이 판명되었다. 그러나 구체적인 본 속내 계통 분류학적인 논의를 위해서는 외부 형태학적 형질에 대한 분석을 동시에 수행할 필요가 있으며, 계통학적 유용성이 보다 높은 DNA 구간을 추가로 분석할 필요가 있다.

긴병꽃풀속(Glechoma L. 꿀풀과) 및 근연분류군의 소견과 형태에 관한 연구 (The nutlet morphology of the genus Glechoma L. (Lamiaceae) and its related taxa)

  • 장태수;홍석표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50-58
    • /
    • 2010
  • Glechoma속 4종(G. grandis, G. hederacea, G. hirsuta, G. longituba)과 Nepetinae아족 중 Glechoma속과 가장 근연 분류군인 Agastache속, Dracocephalum속, Marmoritis속, Meehania속, Nepeta속 일부 분류군의 소견과 특징을 주사전자현미경과 광학현미경을 통하여 분류학적 유용성을 검토하였다. 연구된 분류군의 소견과 모양은 난형에서 타원형으로 나타났다. 소견과 크기는 길이 1.36-3.83 mm, 폭 0.80-2.65 mm로, Marmoritis rotundifolia가 가장 크고, Agastache nepetoides가 가장 작았다. 소견과의 표면은 세 가지 유형으로 나타났다. Type I은 Agastache속으로 표면은 불규칙적으로 돌출되며, 장방형의 세포가 연결되는 유형이고, Type II는 Dracocephalum속으로 표면은 불규칙적이며, 원형의 세포가 움푹 들어간 유형이다. Type III은 Glechoma속, Marmoritis속, Meehania속, Nepeta속으로 표면은 매끄러우며, 세포가 능선으로 연결된 망상형이다. 모용(다세포성 비선모, 단세포성 비선모, 방패형 선모)은 일부 분류군에서 관찰되었다. 과피는 외과피와 중과피, 내과피로 구성되며, 과피의 두께($39.0-237.5{\mu}m$)가 분류군간 큰 차이를 보였다. Glechoma속과 근연속 일부 근연분류군에 대한 소견과의 형태학적 해부학적 형질(소견과의 모양, 표면 무늬, 선모와 모용 분포, 해부학적 구조)을 기재하였고, 그 분류학적 유용성에 대해 논의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