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laze

검색결과 213건 처리시간 0.021초

한(韓)·중(中) 화금자기(畵金磁器) 금채기법(金彩技法)에 대한 비교(比較) 조사(調査) 및 가채(加彩) 실험(實驗) (Comparative Study and Coloring Test for the Technique of Korean and Chinese Gold-painted porcelain)

  • 황현성
    • 박물관보존과학
    • /
    • 제8권
    • /
    • pp.13-24
    • /
    • 2007
  • 미술부에서는 "한·중 도자교류전" 연구집에 개제할 목적으로 소장품 중 한·중 금채자기의 금채기법을 보존과학팀에 조사의뢰하였다. 대상 소장품은 금을 사용하여 도자기 유약 층을 장식한 개성 106 청자상감수하원문금채편호 고려청자 1점과 중국 송나라시기에 제작된 본관 10011 천목다완, 본관2027 시유초화접문화금완, 덕수3322시유완이다. 조사 결과, 금채장식의 안정화 방법은 고운 금분에다 매용제 성분을 혼합하여 채식을 한 후 저온에서 번조한 것은 유사하였지만, 채식처리방법에서는 다소 차이가 있었다. 즉, 고려 화금청자는 화려한 상감기법 위에 세필로 일일이 금채장식을 하였다면 중국 화금자기는 아무런 장식이 없는 도자기 유약면에 나비나 당초문을 스텐실 기법으로 장식한 것이 큰 차이이다. 이런 조사결과에 따라 일부 박락된 금채 부분을 새롭게 복원한 결과, 제작 당시 화금자기가 얼마나 화려한 자기이었는지를 확인할 수가 있었다.

산화구리를 함유하는 전통 세라믹 유약의 항균특성에 관한 연구 (Antibacterial properties of traditional ceramic glazes containing copper oxide)

  • 김응수;최정훈;노형구;한규성;김진호;황광택
    • 한국결정성장학회지
    • /
    • 제29권6호
    • /
    • pp.372-378
    • /
    • 2019
  • 산화구리를 함유하는 전통 세라믹 유약은 황색포도상구균과 대장균에 대해 항균활성을 나타낸다. 환원 분위기에 소결한 모든 시편들은 황색포도상구균과 대장균에 대해 항균활성을 나타내나 산화분위기에서 소결한 일부 시편들만 황색포도상구균과 대장균에 대해 항균활성을 나타내었다. 산화구리를 함유하는 전통 세라믹 유약의 항균기작을 설명하기 위해 유약의 결정상, 미세구조, 이온용출, 표면 제타전위 분석을 실시하였다. 환원 분위기에서 소결한 시편들은 유약층에 Cu 입자들이 형성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Cu 용출량은 전체적으로 0.05 ppm 이하이며 가장 많이 용출되는 이온은 Ca 이었다. 산화구리를 3 wt.% 이상 첨가한 모든 시편들은 높은 음극의 표면 제타전위를 나타내었다. 세라믹 유약의 항균활성은 일반적으로 용출되는 양이온들과 연관되어 보이나 산화분위기에서 소결한 시편들의 대장균에 대한 항균활성은 직접적인 연관성이 나타나지 않는다. 세라믹 유약 시편의 표면 제타전위가 이온용출과 더불어 대장균에 대한 항균활성에 보조적 기여를 하는 것으로 보인다.

부산 녹산동 조질청자의 고고화학적 분석 (An Analysis of Archaeological Chemistry on the Low-grade Celadons Excavated at Noksan dong, Busan in Korea)

  • 남경민;김규호
    • 보존과학회지
    • /
    • 제34권5호
    • /
    • pp.345-358
    • /
    • 2018
  • 부산 녹산동 가마터에서 출토된 12세기 조질청자를 중심으로 가마터 4기에서 출토된 35점을 분석 시료로 선정하고 색도, 비중 및 흡수율, 미세구조 관찰과 태토와 유약의 조성을 분석하였다. 청자의 태토 색도는 가마에 상관없이 모두 비슷했으며 4 5호 가마 출토 선정 도편은 2 3호보다 명도가 어둡고, 채도는 회색계와 갈색계로 구분된다. 유약은 적색과 황색의 기여도가 높은 편이다. 선정된 도편의 기공률은 회색계 8.8%이고 갈색계 16.1%로 태토 색상에 따라 차이를 보인다. 태토와 유약의 주성분은 청자의 전형적인 성분 범주에 속하지만 $TiO_2$의 함량이 차이가 있다. 2 3호 가마와 4 5호 가마 청자의 가시적 차이는 사용 원료보다 수비 및 번조공정에 따른 것으로 볼 수 있으며 $Fe_2O_3$$K_2O$의 함량 차이는 공정 과정에서 배합기술의 변화를 시도한 결과로 볼 수 있다. 결론적으로 녹산동 청자는 초벌과정 없이 태토에 유약을 바른 후 한 번에 구웠던 제작 공정으로 인하여 태토가 충분히 자화되지 못했으므로 양질의 청자를 제작하기 위하여 가마별로 공정 차이가 있었을 가능성이 높다고 생각된다.

백자 철화 인물형 명기의 염 손상 메커니즘 연구 (Study on the Damage Mechanism by Salt of White Porcelain Figurine in Underglaze Iron)

  • 이선명;진홍주;윤지현;권오영
    • 보존과학회지
    • /
    • 제36권5호
    • /
    • pp.368-382
    • /
    • 2020
  • 백자 철화 인물형 명기는 전시 후 철수하는 과정에서 염 손상이 확인되었다. 이 연구에서는 유물의 보존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염 손상 상태를 분석하고 재질 특성과 전시환경을 검토하여 손상 메커니즘을 파악하였다. 명기 표면에 결정화된 탄산염(Na2CO3)은 수용성 알칼리염으로 흡습성이 높고 물에 잘 용해되며 온도가 상승할수록 용해도가 증가한다. 재질 분석 결과, 명기는 1000℃ 부근에서 소성된 저화도 백자로 연유(鉛釉)가 시유되었고 유약 면에는 빙렬이 있어 표면 물성이 취약한 상태였다. 전시환경 분석 결과, 공조기 가동에 따라 환경제어가 되는 전시실에 비해 진열장 내부는 온·습도가 높은 환경에 노출되면서 결로 등 수분환경 조성이 예측되었다. 또한 공조기 가동과 중단에 따른 급격한 온·습도 변화에 노출된 것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명기 내 잔류한 수용성 염이 온도 변화에 따라 상대적으로 취약한 부위인 유약층 표면 쪽으로 이동하고, 건조환경에서 수분이 증발함에 따라 염의 결정화 압력 작용하여 표면 손상이 가중된 것으로 판단된다.

계룡산 학봉리 출토 도편의 미세조직 관찰과 번조온도 추정에 관한 연구 (Microstructural Study and Firing Temperature Presume from Mt. Gyeryong Hakbong-ri Kiln)

  • 황현성;곽은경;이다혜
    • 보존과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13-30
    • /
    • 2011
  • 본 연구는 충남 공주군 학봉리 도요지에서 출토된 도기, 회청사기, 분청사기, 그리고 백자 도편들을 미세조직 관찰과 번조 온도를 추정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이 결과, 대상 시편들의 태토 성분이 일반적인 분청사기와 대체적으로 유사하나, 용융제 함량이 다소 높은 것이 특징이고 백자 태토의 경우에는 다른 도편들과 매우 다른 성분으로 제작된 것으로 보였다. 유약은 태토보다는 전반적인 차이가 적었으나, 분청사기의 장식 기법에 따라 용융제의 함량에 변화를 주어 제작한 것을 알 수 있었다. SEM-EDS 분석 결과, 가시적으로 다소 차이가 있어 보이는 도기 도편의 태토 성분이 다름을 확인하였고, 태토의 미세결정, 유약 내 회장석과 철화 부분의 결정, 백토의 구성 성분과 함량을 분석하여 각 도편들의 제작 과정에서의 특이점을 찾았다. 번조온도 추정을 위한 재번조 실험에서는 도기 도편이 $1150^{\circ}C{\sim}1200^{\circ}C$, 회청사기 도편이 $1100^{\circ}C{\sim}1150^{\circ}C$, 철화 도편이 $1100^{\circ}C{\sim}1200^{\circ}C$ 사이로 대체로 비슷한 결과를 얻었으나 양질 백자 도편은 $1300^{\circ}C$ 이상의 온도에서, 조질 백자 도편은 그보다 현저히 낮은 온도에서 번조되었음을 시사하는 결과를 얻어 백자 그룹 도편들과 다른 도편들간의 차이가 명확했다.

진공소성도재에 사용되는 glazing과 staining에 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tal study on staining and glazing of vacumn-fired porcelain)

  • 조성암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69-71
    • /
    • 1984
  • The surface smoothness of dental porelain after the use of various staining and glazing technique was examined by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1. Autogenous self-glazing technique produced a most rough surface. 2. The fixation of stain at $1,500^{\circ}F$ followed by thin slurry of glaze powder air fired to $1,800^{\circ}F$ produce the most smooth surface. 3. The technique thin sluny of glare powder followed by slurry of stain powder air fired to $1,800^{\circ}F$ produce the poor result.

  • PDF

국산 핀애자의 라디오 방해 전압(RIV) 평가 (Evaluation on the radio influence voltage of ${7^1/2}$ pin type domestic insulators)

  • 양배덕
    • 전기의세계
    • /
    • 제25권6호
    • /
    • pp.65-68
    • /
    • 1976
  • For the RIV characteristics test of power apparatus, an indoor measuring system of radio influence voltage was set up and by means of this measuring unit SIV characteristics on the 7$^{1}$2/" pin-type domestic insulators were examined. According to the test data, RIV values of all the test pieces exceeded the maximum permissible level at 10kV applied voltage. The electrical resistivity of domestic semi-conductive glaze as good as importedone but un-uniformity of coating is turned out to be a main cause of failure.lure.

  • PDF

군포 산본동 청화백자요지 이전 복원 (Transformation and restoration of Underglaze Blue-White porcelain Kiln site at SanBon-Dong, GunPo)

  • 김병호
    • 보존과학연구
    • /
    • 통권15호
    • /
    • pp.128-136
    • /
    • 1994
  • To restore the Under glaze Blue -White porcelain kiln site of choson period, where is located at 114, SanBon 2 Dong GunPo city. it was used to the conservation method, particularly F.R.P.(Fiber glass Reinforced plastic) for moving the kiln site from the present area to historic site No. 342 after restoration.

  • PDF

Characterization of Ceramic Material Coating by Cobalt Sulfate Using Spray Technique

  • Kim, Myung-Je;Won, Il-An;Kim, Kyung-Nam
    • 한국표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표면공학회 2013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80-180
    • /
    • 2013
  • Ceramic glaze has been developed by numerous experiences and knowhow of potters for a long time. It has offered curiosity and beauty to many people with a variety of colors. This study first verifies the color difference according to clays and glazing used for the coloration experiment based on generation process and chemical reaction of cobalt sulfate, and determines the effect of a dilution ratio with water on changes in coloration concentration. The cobalt-aluminate spinel and the cobalt-silicate olivine are the strongest of the ceramic pigment, producing a very pure, navy blue color.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