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lassfiber

검색결과 20건 처리시간 0.044초

Sound Absorbing Melamine Foam: A Strong Environmental Friendly Tendency Opposing Glass Fiber of Room Using in China

  • Yan, Xiang
    • 한국소음진동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소음진동공학회 2010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462-462
    • /
    • 2010
  • Glass fiber is widely used in architectural acoustics or building acoustics for sound absorption since it was introduced into China for about 50 years. But recent years, with people pay more attentions to the air cleansing and their health which may be affected by the tiny fiber of the glasswool, a voluntary tendency opposing glass fiber of room using is gradual appeared in China. This paper discusses both the main opinions towards the question whether there are harmful impacts on people health from glassfiber, and the application circumstance of it's applying in china. This paper focuses on another substitute sound absorbing material, melamine foam, to discuss the strong environmental friendly tendency opposing glass fiber of room using in China now.

  • PDF

준정적 실험에 의한 중공원형 콘크리트 교각의 소성응답 연구 (Research of Plastic response by Quasi-Static Test for Circulr Hollow R.C. Bridge Pier)

  • 정영수
    • 한국지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진공학회 1999년도 춘계 학술발표회 논문집 Proceedings of EESK Conference-Spring
    • /
    • pp.247-255
    • /
    • 1999
  • Because of relatively heavy dead weight of concrete itself and unavoidable heat of massive concrete in bridge piers circular hollow columns are widely used in Korean highway bridges Since the occurrence of 1995 Kobe earthquake there have been much concern about seismic design for various infrastructures inclusive of bridge structures. It is however understood that there are not much research works for nonlinear behavior circular hollow columns subjected to earthquake motions. The ultimate of this experimental research is to investigate nonlinear behavior of hollow reinforced concrete bridge piers under the quasi-static cyclic load test and than to enhance their ductility by strengthening the plastic hinge region with glassfiber sheets. It can be concluded from Quasi-static test for 7 bridge piers that approximate 4-5 ductility factor can be experimentally obtained for bridge piers nonseismically designed in conventional way which approximate 5-6 ductility factor for those seismically designed.

  • PDF

시료 채취 조건 및 검사방법에 따른 지하수내 섬유상 물질 검출 양상에 관한 연구 (Effect of Sampling and Analytical Methods on the Fibrous Materials from the Ground Water)

  • 김지용;김정란;정해관;임현술;백남원
    • 한국산업보건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209-222
    • /
    • 1997
  • Authors surveyed the ground water near the waste disposed from a fiberglass production factory to confirm the presence of glassfiber in the water and to determine the effect of sampling conditions and storage on the recovery of fibrous materials in the ground water. Sample was collected at every 4 hours for 48 hours consecutively. After finishing the 48 hours sample, water sampling was done from each tap after repeated turning on and off the water for 30 seconds at each time. Sample was collected in the two 1.5 liter polyethylene bottle after vigorously shaking the bottle with the same water several times with the flowing tap water. At each paired sample, one bottle was stored stand still at room temperature, and the other sample was filtered immediately after sampling. Water was filtered on the Mixed Cellulose Ester filter with negative pressure. Each sample was divided into upper and lower layer. The other bottle was stored at room temperature standstill for 7 days and filtered in the same fashion as the other pair of sample did. Each MCE filter was divided into 4 pieces and one piece was treated with acetone to make it transparent. Each prepared sample was observed by two researchers under the light and polarizing microscopy,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and energy dispersive X-ra microanalysis. Fibers were classified by the morphology and polarizing pattern under the polarizing microscope, and count was done. 1. There was a significant fluctuation in number of the fibers, but there was no specific demonstrable pattern. 2. Non-polarizing fibers frequently disappeared after 7 days's storage. But cluster of fibers were found at the wall of the same container by scratching technique. 3. Polarizing fibers were usually found in between the filter and the manicure pasted area. Possible explanations for this phenomenon will be that either these fibers are very light or have electronic polarity. Hence, these fibers are not able to be attached on the surface of slide glass. 4. Under the scanning electron microscopic examination, the fibers which are not refractive under the light microscopy were identified as glassfiber. Other fibers which is refractive under the polarizing microscopy were identified as magnesium silicate fibers. It is strongly suggested that development of standardized method of sample collection and measurement of fibrous material in the water is needed.

  • PDF

폐 FRP 선박의 로빙층에서 분리한 유리섬유의 재활용 II: 섬유강화 콘크리트의 물성에 관한 연구 (Recycle of the Glass fiber Obtained from the Roving Cloth of FRP II: Study for the Physical Properties of fiber-reinforced Concrete)

  • 김용섭;이승희;윤구영
    • 한국해양환경ㆍ에너지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46-49
    • /
    • 2008
  • 폐FRP의 로빙층을 매트층과 수지로부터 분리하여 섬유 형태의 'F섬유'를 얻었으며, 이것의 용도로 콘크리트 제품 또는 구조물을 고려하였다. 골재는 시멘트의 2.45 배(무게비)로 하고 F섬유(밀도 1.45)는 시멘트와 골재의 부피비로 계산하여 만든 공시체에 대한 휨강도를 실험하였다. 1%의 F섬유를 갖는 것이 양생한 지 28일째 되었을 때 넣지 않은 것에 비해 23%의 강도 증가를 보였다. 그러나 0.5%를 포함한 공시체의 경우는 강도의 변화를 보이지 않음으로써 강도 보강용으로 쓰일 수 있는 최소 혼입량이 0.5% 보다는 크다는 것을 알았다. 철근 콘크리트 시제품인 벤치 플룸의 경우 1% F섬유를 포함할 때 포함하지 않은 것에 비해 휨강도가 21%증가하였다.

  • PDF

SEM/EDX를 이용한 석면 및 비석명의 오염원분류표 개발 (Development of Source Profiles for Asbestos and Non-asbestos Fibers by SEM/EDX)

  • 최영아;이태정;김동술
    • 한국대기환경학회지
    • /
    • 제23권6호
    • /
    • pp.718-726
    • /
    • 2007
  • There are many varieties of asbestos: chrysotile, crocidolite, amosite, tremolite, actinolite, and anthophylite. These are widely used in construction materials, brake lining, textile, and so on. Even though non-asbestos fibers such as glassfiber and rockwool have manufactured because asbestos causes asbestosis, lung cancer, mesothelioma, etc., some bad effects of non-asbestos have been also reported. PCM (phase contrast microscopy) and PLM (polarized light microscopy) have been used to qualitatively analyze asbestoses. These techniques have serious drawbacks when identifying and separating various asbestoses. Recently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SEM) equipped with energy dispersive X-ray analysis (EDX) has been known as an useful tool to analyze airborne particle since it provides physical and chemical information simultaneously.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classify both asbestos and non-asbestos fibers and finally to develop their source profiles by using the SEM/EDX. The source profiles characterized by 6 different types of asbestos fibers and 2 types of non-asbestos fibers had been developed by analyzing a total of 380 fibers. Analytical parameters used in this study were length, width, aspect ratio, and shape as physical information, and Na, Mg, Al, Si, K, Ca, Cr, Mn, Fe, and Cu as chemical information. All the parameters were intensively reviewed.

국내 섬유질 단열재의 내화성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ire Resistance of Korean Cellulose Insulation)

  • 권영철;황정하;유형규
    • 한국태양에너지학회 논문집
    • /
    • 제28권4호
    • /
    • pp.10-16
    • /
    • 2008
  • The fire resistance of thermal insulation and interior finishing materials is recently much emphasized after the fire accident at the Icheon Cold Store in January 2008. Three kinds of thermal insulation are used in buildings. They are Organic, Non-organic and cellulosic insulation. Organic insulation such as polystyrene foam board and urethane foam has high thermal resistance but it has no fire resistance. While non-organic insulation such as rockwool and glassfiber has high fire resistance, it has lower thermal resistance than organic insulation. Cellulose insulation is primarily manufactured from recycled newsprint or cardboard using shredders and fiberizers. Despite of its environmental friendliness and high thermal resistivity, its domestic use has not much increased because of the prejudice that paper can easily burn. However, the cellulose insulation as a product is about 80 wt.% cellulosic fiber and 20 wt.% chemicals, most of which are fire retardants such as boric acid and ammonium sulfate. It is required to secure its fire safety for more consumption as a building insulation in Korea. Therefore, this study investigates the fire resistance of Korean cellulose insulation according to the rate of fire retardant and finally presents the optimum rate of fire retardant in cellulose as building insulation. The fire safety test was conducted according to the ASTM C 1485-00. The test results indicate that above 18 wt% of fire retardant is necessary to secure the fire safety of cellulose insulation.

폐 FRP 선박의 로빙층에서 분리한 유리섬유의 재활용 I: 섬유강화 모르타르의 물성에 관한 연구 (Recycle of the Glass Fiber Obtained from the Roving Cloth of FRP I: Study for the Physical Properties of Fiber-reinforced Mortar)

  • 윤구영;김용섭;이승희
    • 한국해양환경ㆍ에너지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102-106
    • /
    • 2007
  • 선박 제조에 사용되고 있는 FRP(Fiber-reinforced plastic)를 재활용하기 위한 노력이 지속되고 있는 가운데 보다 친환경적이며 가치를 재창출할 수 있는 방법들이 연구되고 있다. 본 연구진들은 선박용 FRP에 쓰이는 유리섬유의 구조가 그 짜임새의 형태에 따라 로빙층과 매트층으로 구분된다는 사실에 착안하여 FRP를 분쇄하지 않고 층을 분리할 수 있었다. 그 중 로빙층을 적절한 크기로 잘라 장섬유(약 50 mm, 이후 'F섬유')를 만들었다. F섬유의 인장강도 증가와 화학적 내식성 증가는 잔재하는 수지(전체 섬유의 무게비 25% 정도)의 영향인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에서는 F 섬유의 재활용의 한 방법으로 섬유강화 모르타르를 제조한 결과 2%(v/v)의 F섬유를 포함한 모르타르는 28일 양생 후 휨 강도가 34.6% 증가함을 보였다. 수입 합성섬유 P-54를 사용한 모르타르와 유사한 정도의 휨 강도를 얻을 수 있었다. 이는 F섬유가 골재로 사용이 가능하며 수입품을 대체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 PDF

폐 FRP 선박에서 분리하여 얻은 F섬유의 염기성 용액에서의 강도저하 (Strength toss of F-Fiber Obtained from Recycling FRP Ship in a Basic Solution)

  • 이승희;김용섭;윤구영
    • 한국해양환경ㆍ에너지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42-45
    • /
    • 2008
  • FRP 선박에서 발생하는 폐FRP를 처리하는 방법으로 분쇄하지 않고 판상으로 박리(剝離)하는 것을 제시한 바 있다. 폐 FRP에서 분리한 층상의 로빙층으로부터 얻은 F섬유는 FRP제조시 사용하였던 수지를 포함하여 원 유리섬유에 비해 그 인장강도가 우수하다(90% 이상). F섬유의 SEM 이미지로 많은 수지의 존재를 확인하였다. F섬유의 활용성을 건축자재에서의 대체물로 가정하고 염기성 용액(NaOH+KOH)에서의 강도를 측정하였다. 이 때 일어날 수 있는 반응 메카니즘은 유리섬유의 Si-O-Si결합 조직을 수산기 이온($OH^-$)이 공격하는 것으로 보았다. 측정된 인장강도 변화에 대해 $r^2$=96%로 맞추어 얻은 시뮬레이션 그래프로 반응 메카니즘을 추정할 수 있었다. 반응 초기에는 속도적인 반응에 의해 급격한 강도저하를 보이나 30일 이후에는 수산기 이온의 확산에 의존하는 패턴으로 강도가 저하되었다. 이는 앞서 보고된 AR유리에 대한 강도저하와 유사한 결과이며, 그래프를 외연하여 F섬유의 수명을 예측할 수 있다.

  • PDF

현장발생토사 재활용 유동성채움재를 이용한 지하매설관의 거동평가 (Performance Evaluation of Underground Pipe with In-Situ Recycled Controlled Low Strength Materials)

  • 이관호;송창섭
    • 한국도로학회논문집
    • /
    • 제8권2호
    • /
    • pp.1-12
    • /
    • 2006
  • 기존의 강관이나 주철관 그리고 시멘트 관은 시간의 경과에 따르는 노화현상을 피할 수 없으며, 특히 금속관은 부식으로 인한 수질 악화문제가 크고 누수에 따른 부족한 수자원 보존과 활용에 있어 예기치 않은 문제를 발생시켜 왔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하나의 방안으로 지하매설용 유리섬유복합관을 사용하는 것이다. 유리섬유복합관은 충격에 대한 저항성이 우수하고 수명이 50년$\sim$100년 정도로 반영구적이다. 특히 뛰어난 내구성과 시공성이 탁월하여 신소재로 각광받고 있다. 그리고 중량이 가벼워서(강관의 1/4, 시멘트 관의 1/10) 운반 및 설치가 용이하고 공기단축 및 인력절감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잦은 관로 보수 및 교체공사에 따른 사회적 경제적 손실을 최소화 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유리섬유복합관을 이용하여 실내모형실험을 수행하여 관의 응력-변형특성을 평가하였다. 실내모형실험의 경우 관경 200mm와 관경 300mm를 사용하여 하중재하 전과 후의 수직 수평변위 수직 수평토압을 6가지 사례에 대해서 측정하였다. 측정결과 실험값과 이론값 모두 비슷하게 측정되었다. 하지만 현장발생토사를 이용한 유동성 뒤채움재를 사용한 경우, 수직 수평변위는 매우 작게 측정되었고, 토압은 거의 0에 가까운 값으로 계측되었다.

  • PDF

원형 중공 콘크리트 교각의 내진성능에 대한 준정적 실험 (Quasi-Static Test for Seismic Performance of Circular Hollow RC Bridge Pier)

  • 정영수;한기훈;이강균;이대형
    • 한국지진공학회논문집
    • /
    • 제3권2호
    • /
    • pp.41-54
    • /
    • 1999
  • 본 연구는 충진교각의 시공시 발생되는 수화열에 따른 문제점을 보완하고 중장지간 교량의 시공성을 위하여 이용되는 중공 철근콘크리트 기둥의 내진성능 평가에 관한 Quasi-static 실험이다 사용된 실험변수는 축하중 내진설계유무에 따른 띠철근 간격, 변위 제어 하중형태 등을 채택하였다 RC기둥시험체는 수원에 위치한 하갈교의 교각을 1/3.4 의 축소모델로 하여 등단면 중공단면형태의 내진설계된 시험체와 내진설계되지 않은 시험체를 각각 4개, 2개 유리섬유로 보강된 시험체 1개, 총 7개를 제작하였으며 소성힌지 구간에서의 띠철근의 간격은 1.8cm 및 2.3cm 이었다 실험변수에 따른 내진 및 비내진 시험체의 내진성ㄴㅇ 검토를 위하여 하중-변위 이력특성 연성능력 강도감소, 강성감소, 에너지흡수능력 등가점성계수등을 실험적으로 분석.조사하였다 중공단면 콘크리트 교각의 내진성능은 같은 단면적의 충진원형단면과 내진성능이 유사한 것으로 평가되었으며 비내진설계로 시공된 교각도 어느 정도의 연성능력을 확보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러나 추가의 실험변수에 따른 충분한 실험연구가 요구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