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lass melt viscosity

검색결과 17건 처리시간 0.019초

New Polyarylates Prepared from 2,5-Bis($\alpha$-phenylisopropyl)hydroquinone, Terephthalic Acid and Isophthalic Acid

  • 진정일;유승주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16권1호
    • /
    • pp.17-21
    • /
    • 1995
  • A new series of polyarylate copolyesters were prepared by melt polycondensation of 1,4-diacetoxy-2,5-(α-phenylisopropyl)benzene with mixture of terephthalic acid and isophthalic acid in varying ratio. And their general properties such as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crystalline melting temperature, crystallinity and solubility were studied. The intrinsic viscosity values of the present polymers measured in a mixed solvent of phenol/p-chlorophenol/1,1,2,2-tetrachloroethane ranged from 0.45 to 0.66 depending on the composition and molecular weight. The copolyesters containing greater than 20 mole % of isophthalic acid were found to be amorphous, whereas the homopolymer derived from terephthalic acid was semicrystalline with a melting point of 414℃.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s of the polymers ranged from 165 to 180℃ depending on the composition. The copolyesters containing 50 mole % and greater of isophthalic acid moiety were soluble at room temperature in such common solvents as tetrahydrofuran, chloroform and N,N-dimethylformamide.

Characterization of Glass Melts Containing Simulated Low and Intermediate Level Radioactive Waste

  • Jung, Hyun-Su;Kim, Ki-Dong;Lee, Seung-Heon;Kwon, Sung-Ku;Kim, Cheon-Woo;Park, Jong-Kil;Hwang, Tae-Won;Ahn, Zou-Sam
    • 한국세라믹학회지
    • /
    • 제43권3호
    • /
    • pp.148-151
    • /
    • 2006
  • In order to examine the process parameters for the vitrification of Low and Intermediate Level radioactive Waste (LILW) generated from nuclear power plants, measurements of several melt properties was performed for four selected glasses containing simulated waste. Electrical conductivity and viscosity were determined at temperatures ranging from 1123 to $1673^{\circ}C$. The temperature dependences of both properties in the molten state showed a similar behavior in which their values decrease as the temperature increases. The values of the electrical conductivity and viscosity at a temperature of 1423K adopted in an induction cold crucible melter process were $0.27{\sim}0.42$ S/cm and $9.8{\sim}42$ dPas, respectively.

나일론66/유리섬유 복합체의 압출횟수에 따른 특성 연구 (Study on the physical properties of nylon66/glass fiber composites as a function of extrusion number)

  • 이봄이;김연철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6호
    • /
    • pp.3990-3996
    • /
    • 2014
  • 나일론66/유리섬유 복합체의 경우 $300^{\circ}C$ 이상의 고온에서 사출가공 될 때 물성 저하가 일어날 수 있어, 재이용시 열이력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305/290/273/268/265/260^{\circ}C$ 온도조건의 이축압출기(twin screw extruder)를 이용하여 나일론66/유리섬유 복합체의 압출시료를 압출횟수에 따라 제조하였다. 압출횟수에 따른 화학구조, 열적특성, 용융지수, 결정구조, 아이조드 충격강도 및 유변학적 특성을 FT-IR, 용융지수 측정기, DSC, TGA, XRD, Izod 시험기, 그리고 유변물성 측정기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적외선분광 스펙트럼을 이용하여 확인한 결과 압출횟수에 따른 압출시편에서의 화학구조 변화는 확인되지 않았다. 압출횟수에 따라 분자량이 감소하는 것을 용융지수와 복소점도를 이용하여 확인하였다. 나일론66/유리섬유 복합체의 용융온도는 큰 변화가 없으나, 압출횟수 증가에 따라 분해온도가 $20^{\circ}C$ 정도까지 감소하는 것을 DSC와 TGA를 이용하여 확인하였다. 압출시편의 아이조드 충격강도는 압출횟수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다. 또한 나일론66/유리섬유 복합체 압출시편의 G'-G" 곡선의 기울기나 형태가 변하지 않는 것으로부터 압출시편에 가교와 같은 구조변화가 크게 나타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반응압출 공정으로 개질된 PLA 나노복합체의 유변학적 및 열적 물성 (Rheological and Thermal Properties of PLA Nano-composite Modified by Reactive Extrusion)

  • 강경수;김봉식;신부영
    • 청정기술
    • /
    • 제15권2호
    • /
    • pp.102-108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폴리락틱산(PLA)의 용융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몬모릴로나이트(MMT), 기능성 단량체인 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GMA)와 반응개시제를 함유한 PLA를 이축압출기로 개질한 후 열적 특성과 및 유변학적 특성을 조사하였으며, X선 회절장치(XRD) 및 투과전자현미경(TEM) 사진을 이용하여 MMT의 분산도를 측정하였다. 이 나노복합체의 $T_g$는 GMA 함량이 증가하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MMT의 양에는 크게 영향을 받지 않았다. 또한 표면분석에 의해 MMT의 양이 증가할수록 박리형(exfoliation) 보다는 삽입형(intercalation)에 가까운 나노복합체가 형성된 것을 확인하였다. 복합점도 및 저장탄성률은 MMT의 첨가에 의해 크게 증가되었다.

모의 비방사성폐기물의 유리화시 발생 분진의 재순환처리장치 및 배관 내 침적분진에 의한 막힘 방지용 제진장치의 개발 (Development of Dust Recycling System and Dust Cleaner in Pipe during Vitrification of Simulated Non-Radioactive Waste)

  • 최종서;유영환;박승철;최석모;황태원;신상운
    • 한국방사성폐기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사성폐기물학회 2005년도 춘계 학술대회
    • /
    • pp.110-120
    • /
    • 2005
  • ${\cdot}$저준위 고체폐기물의 유리고화처리 적용연구를 위하여, 현대모비스는 원자력환경기술원 및 프랑스 SGN사와 공동으로 99년 10월에 유리화 실증설비를 건설한 바 있다. 실증설비를 활용하여 모의핵종(Co, Cs)을 포함한 비방사성 이온교환수지, 잡고체 등에 대한 70여 회 이상의 실증시험 수행을 통하여, 대상폐기물을 안전하고 효과적으로 처리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처리공정 중 고온세라믹필터계통(High Temperature Filter : HTF)에서 발생하는 분진의 처리가 문제점으로 도출되었다. 또한 저온용융로(Cold Crucible Melter : CCM)와 HTF를 연결하는 냉각파이프는 장기간 운전시 CCM으로부터 발생한 분진이 침적되어 배관막힘의 우려가 있다. 이와 관련, 기 개발한 유리화공정에 추가하여 HTF에서 발생한 분진을 재순환하는 장치와 냉각파이프 내 침적분진을 제거하는 장치를 개발하였다. 유리화공정 중 HTF에서 발생하는 분진의 처리는 유리화설비의 감용비, 처분비용 및 유리용탕의 조절 측면에서 특히 중요하다. 분진재순환장치(Dust Recycling System : DRS)의 개념은, HTF 하단부에서 발생분진을 수거, 물과 섞어 슬러리 형태로 제조, 이송하여 CCM 내로 다시 투입함으로써 분진을 처리할 수 있도록 하였다. DRS의 주 기능은 분진 내의 모의핵종 및 주요 유리성분을 다시 CCM으로 재순환 처리하는 것이며, 이에 따라 유리용탕의 성분을 일정하게 유지하고 또한 유리배출을 용이하게 하는 데 기여한다. 또한 시멘트 고화설비 등과 같은 별도의 분진처리설비를 고려할 필요가 없다. 제진장치는 주기적으로 운전 중 가동할 경우, 냉각파이프 내의 분진침적에 의한 막힘 방지와 함께 배관 내 침적된 분진을 CCM 내로 다시 처리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유리화실증시험을 통하여 DRS와 제진장치에 대한 전체적인 성능평가를 성공적으로 수행하였으며, 운전결과 및 경험은 향후 상용설비를 위한 기본자료로 활용할 것이다.

  • PDF

폴리에스터섬유의 제전성 및 결정화 거동 (Antistatic Property and Crystalization Behavior of Polyester Fiber)

  • 김문찬;이철규
    • 분석과학
    • /
    • 제12권5호
    • /
    • pp.436-440
    • /
    • 1999
  • 축중합조에 제전제를 첨가하여 중합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의 제전성과 결정화 거동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제전제 성분중 폴리에틸렌글리콜(PEG) 성분에 의해 제전 PET의 유리전이온도와 용융 온도가 낮아졌다. 제전PET의 결정화속도는 결정화온도가 감소함에 따라 억제되었다. 제전PET의 열적성질과 결정화 거동은 제전제 성분중 알킬나트륨설포네이트 보다는 PEG 함량에 영향을 받았다. 따라서 제전성은 발현하는 주요 성분은 PEG였다. 알킬나트륨설포네이트는 제전폴리에스터 폴리머의 용융점도를 향상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 PDF

폴리염화비닐의 친환경 가소제로서 Poly(1,2-propylene glycol adipate) (Poly(1,2-propylene glycol adipate) as an Environmentally Friendly Plasticizer for Poly(vinyl chloride))

  • Zhao, Yan;Liang, Hongyu;Wu, Dandan;Bian, Junjia;Hao, Yanping;Zhang, Guibao;Liu, Sanrong;Zhang, Huiliang;Dong, Lisong
    • 폴리머
    • /
    • 제39권2호
    • /
    • pp.247-255
    • /
    • 2015
  • Poly(1,2-propylene glycol adipate) (PPA) was used as an environmentally friendly plasticizer in flexible poly(vinyl chloride) (PVC). Thermal, mechanical, and rheological properties of the PVC/PPA blends were characterized by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 dynamic mechanical analysis, tensile test,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and small amplitude oscillatory shear rheometry. The results showed that PPA lowered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PVC. The introduction of PPA could decrease tensile strength and Young's modulus of the PVC/PPA blends; however, elongation-at-break was dramatically increased due to the plastic deformation. The plasticization effect of PPA was also manifested by the decrease of dynamic storage modulus and viscosity in the melt state of the blends. The results indicated that PPA had a good plasticizing effect on PV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