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lass content

검색결과 835건 처리시간 0.024초

조직공학용 다공성 Polycaprolactone 멤브레인의 제조 및 특성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Porous Polycaprolactone Membrane for Tissue Engineering)

  • 김진태;김태형;최재하
    • 멤브레인
    • /
    • 제26권1호
    • /
    • pp.26-31
    • /
    • 2016
  • 폴리카프로락톤(PCL)에 NaCl을 혼합한 용액을 블레이드법에 의하여 막형태로 제조한 후 NaCl을 추출하는 염출법을 이용하여 조직공학적으로 사용할 3차원 다공망을 갖는 멤브레인 형태의 지지체를 제조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성형된 멤브레인의 건조조건과, NaCl 입자의 크기, NaCl의 혼합량을 각각 다르게 하여 제조하였다. 별도로 제작한 고분자용액 공급장치를 이용하여 PCL/클로로포름($CHCl_3$) 용액에 NaCl 입자가 균일하게 혼합된 용액을 유리판에 분주하여 필름 어플리케이터를 사용하여 블레이드법에 의한 멤브레인을 제조하였다. 멤브레인 지지체에는 NaCl 입자에 의한 거대기공과 거대기공을 이루는 구조벽에서는 $CHCl_3$의 증발에 의한 미세기공이 함께 복합적으로 상호 연결되어 형성되었다.

미결정 FeZrN 박막의 자기특성 및 내식성에 미치는 Cr 첨가 효과 (Effects of Cr Addition on the Magnetic Properties and Corrosion Resistance of Nanocrystalline FeZrN Thin Films)

  • 김태영;강남석;송기창;조삼제;안동훈
    • 한국자기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135-141
    • /
    • 1994
  • 스퍼터방식으로 제조한 FeZrCrN 미결정박막의 질소 유입량의 변화와 Cr 첨가량 변화에 따라 연자기특성과 내반응성 및 내식성을 조사하였다. 질소 유립량 증가에 따라 포화자속밀도는 감소하고 적 절한량(질소 유입량 3%)의 질소가 유입 되었을 때 열처리후에도 이방성 분산 감소효과 등에 의하여 우수 한 연자기특성이 출현 하였으며, 이때 보자력은 0.4 Oe, 투자율은 5 MHz에서 2600 정도를 나타내었다. FeZrN 박막에 Cr을 7.5 at.% 정도 첨가하였을때 포화자속밀도는 12.5kg까지 감소하였지만 양호한 연자기 특성이 그대로 유지되었고 Cr 첨가에 의해 현저한 내식성의 향상과 집합 glass와의 내반응성의 개선이 있었다.

  • PDF

펄스레이저 공정으로 제조한 Sb가 도핑된 SnO2 박막의 전기적 및 광학적 특성 (Electrical and Optical Properties of Sb-doped SnO2 Thin Films Fabricated by Pulsed Laser Deposition)

  • 장기선;이정우;김중원;유상임
    • 한국세라믹학회지
    • /
    • 제51권1호
    • /
    • pp.43-50
    • /
    • 2014
  • We fabricated undoped and Sb-doped $SnO_2$ thin films on glass substrates by a pulsed laser deposition (PLD) process. Undoped and 2 - 8 wt% $Sb_2O_3$-doped $SnO_2$ targets with a high density level of ~90% were prepared by the spark plasma sintering (SPS) process. Initially, the effects of the deposition temperature on undoped $SnO_2$ thin films were investigated in the region of $100-600^{\circ}C$. While the undoped $SnO_2$ film exhibited the lowest resistivity of $1.20{\times}10^{-2}{\Omega}{\cdot}cm$ at $200^{\circ}C$ due to the highest carrier concentration generated by the oxygen vacancies, 2 wt% Sb-doped $SnO_2$ film exhibited the lowest resistivity value of $5.43{\times}10^{-3}{\Omega}{\cdot}cm$, the highest average transmittance of 85.8%, and the highest figure of merit of 1202 ${\Omega}^{-1}{\cdot}cm^{-1}$ at $400^{\circ}C$ among all of the doped films. These results imply that 2 wt% $Sb_2O_3$ is an optimum doping content close to the solubility limit of $Sb^{5+}$ substitution for the $Sb^{4+}$ sites of $SnO_2$.

동해남부해역과 울릉분지의 퇴적상과 퇴적작용 (Sedimentary Facies and Processes in the Ulleung Basin and Southern East Sea)

  • 이병관;김석윤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0권3호
    • /
    • pp.160-166
    • /
    • 2007
  • The coarse deposit with a lower mud content adjacent to the shelf of the southern East Sea is probably a "relict" sediment deposited in response to a lower stand of sea level during the Pleistocene. The sediment that developed on the slope and in the deep sea was river-borne primarily and was secondarily reworked or redistributed by the Tsushima Warm Current from the East China Sea. The clay mineralogy of the area suggests various sources of fine-grained sediment from adjacent rivers, the Korea Strait, volcanic material from Ulleung Island, and the Japan coast. Massive sand, bioturbated mud, homogeneous mud, and laminated mud were the dominant facies found in the core sediments from the study area. The massive sand was mainly volcanic ash from an eruption on Ulleung Island (9300 yr BP) and consisted of colorless pumiceous glass and a black scoriaceous type. The sedimentation rates on the slope, based on the Ulleung-Oki ash layer, were about 10cm/ky higher than in the basin. Other than the coarse-grain sediment, the mean size of the fine sediment dominating the bioturbated and homogeneous muds in the basin and the laminated mud on the slope was 6-10 phi. This indicates a difference in the major sedimentary process: hemipelagic sedimentation in the Ulleung Basin and mass flow deposition, such as turbidite, on the slope of the southern East Sea.

공신부인(恭愼夫人) 한씨(韓氏)에게 전달된 물품 및 출토복식 분석을 통한 15세기 조선 사대부 가 여성복식 고찰과 착장고증 (The Consideration and Historical Research of Joseon Ladies' Attire in the 15th Century by Analyzing Excavated Costumes and Presents for Lady Han, Gongsin-buin)

  • 최정
    • 복식
    • /
    • 제66권7호
    • /
    • pp.171-191
    • /
    • 2016
  • Lady Han, Gongshin-buin(恭愼夫人韓氏: 1410~1483) was Gongnyeo of Ming emperor and sister of Han Hwak(韓確:1400~1456). The aim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 of costume presents for Lady Han, and to investigate a part of Joseon women's attire in the 15th century. Most of the presents for Lady Han were native products of Joseon to help alleviate her homsickness, but surviving relics are very rare. The costume-related presents included daily accessories and fabrics such as natural ornaments, embroidered pouch, needle case, wig, wooden comb, portable knife with multi-blades, various colored plain silk [綿紬] and ramie. Also, preceding research analysis of costume relic were combined with study of presents for Lady Han's. The most salient costume of Joseon women in the 15th century was the symmetric collared jacket. In addition, ornamented jeogori, pouch with pine nut stitch, chima, jangot, jangsam, black veil[羅兀] made with ra or jeung, glass beads, paintings of Ming and Joseon can be references. Illustrations show 6 representative type of Joseon women's full attires in the 15th century are as follows. First, is a combination of 'symmetric collared jacket with peacock rank badge, jeoksam, chima, underwear' and 'hoa-a, janga-a, embroidered pouch, needle case, knife with multi-blades: presents for Lady Han'. Second, formal wear focusing on symmetric collared Jacket of cloud pattern. Third, formal wear focusing on multicolor ornamented jeogori. Fourth, town wear with jangot and neoul. Fifth, formal wear with jangsam. Sixth, daily wear focusing on banbi with symmetric squre collar. Accessories and underwear shown in another illustration were same as the first illustration.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content for making historically accutate costumes as well as costume education.

평직직조방법을 적용한 GFRP Sheet 제조에 관한 연구 (Manufacturing of GFRP Sheet Using Plain Weaving Method)

  • 김진우;김형석;이정훈;이동기
    • 대한기계학회논문집A
    • /
    • 제38권8호
    • /
    • pp.849-855
    • /
    • 2014
  • 유리섬유강화 플라스틱 복합재료의 압축성형 시, 모재와 유리섬유의 분리 없이 유동성이 우수하고, 불균질한 섬유배향이 없는 GFRP 복합재료 개발에 관한 체계적인 연구결과는 미흡한 실정이다. GFRP 복합재료를 사용하여, 자동차 부품 성형 시 발생하는 불균질도와 섬유배향 발생을 억제하는 많은 연구를 해왔으나 아직 해결되고 있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위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섬유유동성이 뛰어나고, 섬유배향이 발생하지 않고, 불균질성이 없으며, 구조안정성, 함침도, 기계적 특성 및 재활용성 등이 우수한 유리섬유강화 플라스틱 프리프레그를 제조하여, 수직교차형 평직직조방법을 적용하여, GFRP(Glass Fiber Reinforced Plastic) Sheet 를 제조한다.

하남시 춘궁동 출토 청동현향로(靑銅懸香爐)의 제작기술과 보존처리 (Conservation of a Bronze Incense Burner from Chungung-dong, Hanam)

  • 정수빈;박학수
    • 박물관보존과학
    • /
    • 제16권
    • /
    • pp.32-45
    • /
    • 2015
  • 청동현향로(靑銅懸香爐)는 1971년 경기도 하남시 춘궁동에서 발견된 고려시대의 향로이다. 유물의 표면에는 점토가 두껍게 고착되어 있으며, 부식으로 인해 청동병과 다수의 균열이 존재하고 일부분이 결손되어 취약한 상태였다. 청동현향로의 안정한 보존과 전시를 위해 표면에 고착된 이물질을 제거하고 취약한 재질을 강화하였고, 균열부위와 결손부위는 직조유리섬유로 보강하고 에폭시 수지로 복원하였다. 제작기술을 규명하기 위해 성분 분석과 미세조직을 관찰하였다. 성분분석 결과, 몸체, 귀, 고리, 뚜껑, 꼭지부위는 주성분이 Cu-Sn-Pb인 3원계 청동합금으로 주조하였고, 몸체와 귀는 구리의 함량이 높은 구리못으로 고정하였음을 확인하였다. 미세조직은 α상이 대부분이며 Cu와 S이 주성분인 비금속개재물이 존재한다.

4,4'-Diphenylmethane Diisocyanate와 Polyether Polyol로부터 제조된 경질 폴리우레탄 폼의 물성 (Properties of Rigid Polyurethane Foams Synthesized from 4,4)

  • 서원진;정현철;김연희;김우년;최건형
    • 폴리머
    • /
    • 제26권2호
    • /
    • pp.185-192
    • /
    • 2002
  • Polymeric 4,4'-diphenylmethane diisocyanate (PMDI), polyether polyol,1,4-butane diol, silicone surfactant와 발포제로 물을 사용하여 경질 폴리우레탄 폼 (PUF)을 제조하였다. PUF의 밀도는 0 php (parts per hundred polyol by weight)의 부탄다이올 양에 대하여 물의 양이 0.5~3.0 php로 증가함에 따라 173.7~41.7 kg/㎥로 감소하였다. PUF의 셀 크기는 10 php의 부탄다이올 양에 대하여 물의 양이 0.5~3.0 php로 증가함에 따라 115-258 $mu extrm{m}$로 증가하였다. PUF의 압축강도 측정 결과, 동일 밀도의 PUF에 대하여 압축강도는 물의 양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다. 계면활성제가 PUF의 물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에서, PUF의 셀 크기가 계면활성제 첨가량이 0~0.33 php로 증가함에 따라 360-146 $mu extrm{m}$로 감소하였으나 0.33 php 이상의 계면활성제 첨가량에 대해서는 더 이상의 셀 크기 변화가 관찰되지 않았다.

PCL/TPS 블렌드의 물성 및 생분해도 (Mechanical Properties and Biodegradability of PCL/TPS Blends)

  • 신창호;김영진;김봉식;신부영
    • 폴리머
    • /
    • 제24권1호
    • /
    • pp.48-57
    • /
    • 2000
  • Polycaprolactone (PCL)과 열가소성 전분(thermoplastic starch (TPS))을 이용하여 여러 조성의 블렌드를 제조하였다. PCL/TPS 조성을 90/10, 80/20, 70/30, 60/40, 50/50, 40/60, 30/70, 20/80, 10/90으로 조절한 블렌드의 기계적 물성, 열적 특성, 흡습성, 퇴비화법에 의한 생분해도, 표면 형상 등을 측정, 분석하였다. 인장강도와 신장률은 TPS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으나, 탄성률은 TPS의 함량이 30%까지 증가하였다. TPS는 23$^{\circ}C$와 126$^{\circ}C$에서 2개의 유리전이온도(T$_{g}$ )를 의였으며, 결정의 용융점 (T$_{m}$ )을 나타내는 흡열 곡선은 보이지 않는 것으로 보아 열가소성 전분은 무정형 고분자임을 알 수 있었다. PCL/TPS 블렌드의 T$_{g}$ 와 T$_{m}$ 변화는 PCL과 TPS 사이의 상용성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블렌드 필름의 파단면 형상을 보여주는 전자현미경 사진은 PCL과 TPS는 서로 상분리가 일어나지만 기계적 상용성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45일간의 생분해 실험에서 PCL의 생분해도는 44%였고 PCL/TPS 블렌드의 생분해도는 TPS의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생분해도가 증가하였다.

  • PDF

Evaluation of the Biogas Productivity Potential of Fish Waste: A Lab Scale Batch Study

  • Kafle, Gopi Krishna;Kim, Sang Hun
    • Journal of Biosystems Engineering
    • /
    • 제37권5호
    • /
    • pp.302-313
    • /
    • 2012
  • Purpose: The biogas productivity potential of fish waste (FW) was evaluated. Methods: Batch trials were carried out in 1.3 L glass digesters kept in a temperature controlled chambers at $36.5^{\circ}C$. The first order kinetic model and the modified Gompertz model were evaluated for biogas production. The Chen and Hashimoto model was used to determine the critical hydraulic retention time (HRT $_{Critical}$) for FW under mesophilic conditions. The feasibility of co-digestion of FW with animal manure was studied. Results: The biogas and methane potential of FW was found to be 757 and 554 mL/g VS, respectively. The methane content in the biogas produced from FW was found to be 73% and VS removal was found to be 77%. There was smaller difference between measured and predicted biogas production when using the modified Gompertz model (16.5%) than using first order kinetic model (31%). The time period for 80%-90% of biogas production ($T_{80-90}$) from FW was calculated to be 50.3-53.5 days. Similarly, the HRT $_{Critical}$ for FW was calculated to be 13 days under mesophilic conditions. The methane production from swine manure (SM) and cow manure (CM) digesters could be enhanced by 13%-115% and 17%-152% by mixing 10%-90% of FW with SM and CM, respectively. Conclusions: The FW was found to be highly potential substrate for anaerobic digestion for biogas production. The modified Gompertz model could be more appropriate in describing anaerobic digestion process of FW. It could be promising for co-digestion of FW with animal man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