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lass Frit

검색결과 205건 처리시간 0.029초

Bi 계열 Glass Frit 조성이 계면저항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Composition on the Interface Resistance in Bi-System Glass Frit)

  • 김인애;신효순;여동훈;정대용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논문지
    • /
    • 제26권12호
    • /
    • pp.858-862
    • /
    • 2013
  • The front electrode should be used to make solar cell panel so as to collect electron. The front electrode is used by paste type, printed on the Si-solar cell wafer and sintered at about $800^{\circ}C$. The paste is composed Ag powder and glass frit which make the ohmic contact between Ag electrode and n-type semiconductor layer. From the previous study, the Ag electrodes which used two commercial glass frit of Bi-system were so different on the interface resistance. The main composition of them was Bi-Zn-B-Si-O and few additives added in one of them. In this study, glass frit was made with the ratio of $Bi_2O_3$ and ZnO on the main composition, and then paste using glass frit was prepared respectively. And, also, the paste using the glass frit added oxide additives were prepared. The change of interface resistance was not large with the ratio of $Bi_2O_3$ and ZnO. In the case of G6 glass frit, 78 wt% $Bi_2O_3$ addition, the interface resistance was $190{\Omega}$ and most low. In the glass frit added oxide, the case of Ca increased over 10 times than it of G6 glass frit on the interface resistance. It was thaught that after sintering, Ca added glass frit was not flowed to the interface between Ag electrode and wafer but was in the Ag electrode.

실리콘 태양전지의 고효율 특성을 위한 Ag 분말 특성 및 Non Pb계 glass frit 열특성 (Thermal Characteristics of Non-Pb Glass Frit and Electrical Characteristics with Ag Powder For High Efficiency Silicon Solar Cells)

  • 박기범;이정웅;양승진;윤미경;박성용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2010년도 춘계학술대회 초록집
    • /
    • pp.101.3-101.3
    • /
    • 2010
  • Glass frit은 실리콘 태양전지의 Ag/Si contact을 위해 필수적이다. 태양전지의 고효율 특성 구현 때문에, Contact resistance(Rc)가 우수한 Pb-frit의 사용이 불가피한 상황이다. 본 연구는 기존의 Pb계를 무연화함과 동시에 동등수준의 효율을 목표로 하였다. Ag 분말 size 및 glass frit의 열적 거동 특성이 SiNx 코팅층 침투와 Ag re-crystallites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평가하였다. 6 inch 다결정 실리콘 웨이퍼를 사용하였으며, softening temperture(Sp)별로 4종의 Bi계 glass frit을 제조 하였고, 분말 size가 다른 3종의 Ag powder를 선정하였다. Glass frit Sp가 $460^{\circ}C$ 이상의 경우에는 효율이 10% 미만이였으나 Sp $460^{\circ}C$ 이하에서는 16% 수준의 효율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알루미늄 Paste의 Glass frit 첨가에 따른 Al-Si alloy 층의 변화 (A study of Al-Si alloy layer with the glass frit in the aluminum paste)

  • 송주용;박성은;김성탁;김현호;강민구;탁성주;이병철;김동환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2010년도 춘계학술대회 초록집
    • /
    • pp.77.2-77.2
    • /
    • 2010
  • 스크린 프린팅을 이용한 태양전지에서 전극소성 시 알루미늄 후면 전극이 실리콘으로 확산되어 후면전계(Back Surface Field)를 형성한다. 후면전계 형성시 알루미늄과 후면전계 사이에 알루미늄-실리콘 합금이 형성된다. 이 알루미늄-실리콘 합금은 알루미늄 후면전극의 전기전도도 및 휨현상, bead 형성 등에 영향을 끼친다. 본 논문은 알루미늄 페이스트에 첨가된 Glass frit이 알루미늄-실리콘 합금 형성에 끼치는 영향을 관찰하였다. 분산제, 유기바인더, 알루미늄을 섞어 1개의 페이스트를 만들었고, Glass frit을 1%, 2%, 3%, 4%, 5% 씩 첨가하여 총 6개의 알루미늄 페이스트를 만들었다. 절삭손상이 제거된 실리콘 기판의 후면에 알루미늄 페이스트를 스크린 프린팅하여 전극을 소성하였다. 주사전자 현미경(SEM)을 사용하여 시편의 단면사진으로부터 Glass frit 함량에 따른 알루미늄-실리콘 합금층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Glass frit이 첨가되지 않은 페이스트는 소성 후 알루미늄-실리콘 합금이 두껍게 형성되었으나, Glass frit이 첨가된 페이스트는 소성 후 알루미늄-실리콘 합금이 얇게 형성되는 결과를 얻었다. 또한 Glass frit을 첨가함에 따라 표면의 원형 모양의 무늬가 작아지면서 3%부터는 사라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Glass-Frit 첨가가 바리스터의 특성에 미치는 영향 (Affect of Varistor Properties by Glass Frit Addition)

  • 조현무;강정민;이성갑;박상만;이창우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 2004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Vol.17
    • /
    • pp.375-378
    • /
    • 2004
  • ZnO varistor ceramics were fabricated with variation of addition of glass-frit amount and the sintering temperature was $1150^{\circ}C$. The average grain sizes were showed decreased from $8.6\;{\mu}m$ to $10\;{\mu}m$, and varistor voltages were decreased from 506 V to 460 V by added amount of glass-frit. Nonlinear coefficient ${\alpha}$, of all were with increasing the amount of glass-frit more than 60, in case of added on 0.03wt% glass-frit was 83. And leakage current were less than $1{\mu}A$ with applied at 82% of varistor voltage. The clamping voltage ratio of the specimes added 0.03wt% glass-frit was 1.41 at applied 25A $[8/20{\mu}s]$. In the specimen added 0.03wt% glass-frit, endurence of surge current and deviation of varistor voltage were $6200A/cm^2$, $\Delta-1.67%$, respectively.

  • PDF

전도성 실버 페이스트의 미세구조 발달에 미치는 glass-frit 크기의 영향 (Influence of Glass-Frit Size on the Microstructural Evolution of Conductive Silver Paste)

  • 한현근;서동석;이종국
    • 대한금속재료학회지
    • /
    • 제46권8호
    • /
    • pp.516-523
    • /
    • 2008
  • The effect of glass-frit size on microstructural evolution and electrical resistance of conductive silver paste was investigated. Silver paste was prepared by mixing 70 wt% commercial silver powder with $1.6{\mu}m$, 3 wt% Bi based glass-frit and 27 wt% organic vehicle. Two different sizes of glass-frit were obtained by ball-milling of commercial glass-frit ($3{\mu}m$) for 3 and 5 days, which had an average particle size of 1.0 and $0.5{\mu}m$. The smaller glass-frit was melt at low sintered temperature and rapidly spread between the silver particles, which is induced the dense networking among silver particles and strong adhesiveness to $Al_2O_3$ substrate. The silver film with smaller glass-frit sintered at $500^{\circ}C$ showed the small pore size and low porosity resulting in low electrical resistivity of $4{\mu}{\Omega}cm$.

The Effect of Wet Milling on Transparency of Transparent Dielectric in PDP

  • Han, Sun-Mi;Park, Ji-Su;Hwang, Jong-Hee;Lim, Tae-Young;Kim, Kwang-Jin;Masaki, Takaki
    • 한국정보디스플레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디스플레이학회 2004년도 Asia Display / IMID 04
    • /
    • pp.558-560
    • /
    • 2004
  • We report the effect of wet ball milling conditions on the transparency of glass frit. Generally, the particle size of glass frit decreased as the milling time increased. And the transparency of glass frit changed with the particle size variation. The transparency of glass frit A increased as the milling time increased. But, the transparency of glass frit B, containing high $B_2O_3$ decreased as the particle size decreased. It seems to be the result of chemical reaction with water and glass frit.

  • PDF

LTCC용 Glass Frit의 결정화 특성 및 유전 특성에 대한 PbO 함량의 영향 (The Influence of PbO Content on the Crystallisation Characteristics and Dielectric Properties of Glass Frit for LTCC)

  • 박정현;김용남;송규호;유재영
    • 한국세라믹학회지
    • /
    • 제39권5호
    • /
    • pp.438-445
    • /
    • 2002
  • 본 연구에서는 $PbO-TiO_2-SiO_2-BaO-ZnO-Al_2O_3-CaO-B_2O_3-Bi_2O_3-MgO$계의 유리를 $1,400{\circ}C$에서 용융시킨 후, 급랭, 분쇄하여 glass frit을 제조하였다. Glass frit 분말을 일축가압성형한 후 $750~1,000{\circ}C$의 온도범위에서 2시간 동안 소성 및 결정화 하였다. Glass frit의 결정화는 $750{\circ}$ 전후의 온도에서 시작되었고, 저온에서의 주된 결정상은 $Al_2O_3$와 hexagonal celsian($BaAl_2Si_2O_8$)이었다. 소성온도가 높아지면서 monoclinic celsian, $ZnAl_2O_4,\;Zn_2SiO_4,\;CaTi(SiO_4)O,\;TiO_24 등이 주된 결정상으로 나타났고, 특히 celsian은 hexagonal에서 monoclinic으로 상전이가 발생하였다. 그리고 15wt%의 PbO를 첨가한 glass frit에만 $PbTiO_3-CaTiO_3$ 고용체가 나타났다. 1MHz 대역에서 유전특성을 살펴본 결과 유전상수는 11~16이었고, 유전손실은 0.020 미만이었다. 그러나 15wt%의 PbO를 첨가한 glass frit의 경우는 $PbTiO_3-CaTiO_3$ 고용체 결정상의 존재로 유전상수가 17~26으로 높았고, 유전손실은 0.010~0.015로서 다른 조성들에 비하여 우수한 특성을 나타내었다.

3Y-지르코니아 조성에서 Glass Frit의 첨가량에 따른 소결 거동 및 기계적 특성의 변화 (Effect of Glass Frit on the Sintering Behavior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3Y-ZrO2)

  • 이규선;권은자;이채현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75-81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치과재료로 유망한 지르코니아에 frit을 첨가하고 frit의 첨가량과 소결 온도에 따른 소결밀도의 변화와 기계적 특성의 변화를 고찰하고자 하였다. 지르코니아에 frit을 첨가함으로써 소결밀도의 향상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그러나 소결온도가 $1400^{\circ}C$에 이르면 유리질에 의해 시편이 형체를 유지할 수 없는 상태가 되기 때문에 소결온도는 $1300^{\circ}C$로 제한되었다. 일반적으로 frit의 첨가량이 많아지고 소결온도가 높아짐에 따라 소결밀도가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소결체에서 얻은 최대 소결밀도는 frit을 20 wt% 첨가하고 $1300^{\circ}C$에서 소결한 경우에서 93.3 %를 나타내었다. 이들 시편에 대해 기계적인 물성을 측정한 결과 곡강도, 파괴인성, Vickers 미세경도 등의 물성이 소결온도에 따라 향상되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frit의 첨가량에 따라서는 10 wt% 첨가된 경우에서 최대값을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3점 곡강도, 파괴인성, Vickers 미세경도의 최대값은 각각 206 MPa, $3.4\;MPa\;m^{1/2}$, 그리고 5.3 GPa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 지르코니아에 frit을 첨가하면 소결온도를 낮추고 소결밀도를 향상시키는 한편 우수한 기계적 특성을 가진 지르코니아에 비하여 낮은 물성을 가진 frit의 첨가로 인하여 밀도향상 효과와 기계적 특성 저하 효과가 서로 작용하여 10 wt%의 frit이 첨가된 경우에 기계적 특성이 최대값을 나타내는 것으로 판단된다.

  • PDF

Glass Frit 소결체의 탄성계수 (The Elastic Modulus of the Sintered Glass Frit)

  • 이병철;김명정;류봉기
    • 한국세라믹학회지
    • /
    • 제40권11호
    • /
    • pp.1138-1140
    • /
    • 2003
  • Glass frit 소결체의 탄성계수와 소결도와의 관계를 조사하기 위해 일반적인 soda-lime glass가 분쇄되어 사용되었다. 다양한 시간과 온도범위에서 열처리된 glass frit 소결체의 밀도와 초음파를 이용하여 탄성계수가 측정되었다. 측정된 밀도와 탄성계수는 강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Additional Study on the Laser Sealing of Dye-Sensitized Solar-Cell-Panels Using V2O5 and TeO2 Containing Glass

  • Cho, Sung-Jin;Lee, Kyoungho
    • 한국세라믹학회지
    • /
    • 제52권2호
    • /
    • pp.103-107
    • /
    • 2015
  • The effective glass frit composition used to absorb laser energy and to seal commercial dye-sensitized solar cell panel substrates has been previously developed using $V_2O_5-TeO_2$-based glass with 10 wt% ${\beta}$-eucryptite as a CTE controlling filler. The optimum sealing conditions are provided using a 3 mm beam, a laser power of 40 watt, a scan speed of 300 mm/s, and 200 irradiation cycles. In this study, the feasibility of the developed glass frit is investigated in terms of the sealing strength and chemical durability against the commercial iodide/triiodide electrolyte solution and fluorine-doped tin oxide (FTO) electrode in order to increase the solar cell lifetime. The sealing strength of the laser-sealed $V_2O_5-TeO_2$-based glass frit is $20.5{\pm}1.7MPa$, which is higher than those of thermally sealed glass frit and other reported glass frit. Furthermore, the developed glass frit is chemically stable against electrolyte solutions. The glass frit constituents are not leached out from the glass after soaking in the electrolyte solution for up to three months. During the laser sealing, the glass frit does not react with the FTO electrode; thus, the resistivity of the FTO electrode beneath the laser-sealed area remains the sa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