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insenosides $ST_1-ST_2$

검색결과 10건 처리시간 0.029초

토양과 부초가 미국 인삼 진세노사이드에 미치는 영향 (SOIL AND MULCH EFFECTS ON GINSENOSIDES IN AMERICAN GINSENG PLANTS)

  • Zito Santo W.;Konsler Thomas R.;Staba E.John
    • 고려인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고려인삼학회 1984년도 학술대회지
    • /
    • pp.57-62
    • /
    • 1984
  • 4년근 미국 인삼을 재료로 미국 North Carolina 소재 인삼포에서 대조군과 부초처리군으로 나누어 재배 시험을 수행하였다. 토양 산도(pH 4.4, 5.5, 6.5) 토양 인산(19, 89.232 ppm) 및 부초처리 (밀짚, 솔잎, 포프라나무 껍질 소나무 껍질 등을 상면에 피복) 재배가 개별 진세노사이드 함량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했다. 각 시험구에서 재배한 인삼옆과 인삼근 조직을 H-PLC를 이용하여 5가지 진세노사이드($Rg_{1}$, Rd. Re, $Rb_{2},\;A_{1}$) 함량을 분석하였다. 각 피복재료중에서 떡갈나무 껍질로 피복 재배한 시험구가 인삼 생육 및 진세노사이드 함량이 전반적으로 좋은 경향을 보였다.

  • PDF

6년근(年根) 인삼(人蔘)의 등급별(等及別) 품위(品位) 및 ginsenoside 함량 (General Feature and Ginsenoside Content of 6 years Old Ginseng (Panax ginseng C. A. Meyer) Root)

  • 조현경;박소희;정청송;조재선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16권5호
    • /
    • pp.478-482
    • /
    • 2001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of general feature and ginsenoside content of 6 years old ginseng root among different grade of roots. Total weight of a 1st grade-6 years old ginseng root was 115.1g and weight, length, diameter and specific gravity of main root were 64.68g, 8.39cm, 3.31cm and 0.96, respectively. Main root of 1st grade ginseng root was larger in size and specific gravity and more heavy than that of End or 3rd grade of the roots. Though crude saponin contents were not so different among the different grade of roots, but ginsenoside Rb1, Rg1 and Re content were higher in 1st grade of root than that of 2nd or 3rd grade of root. Those ginsenosides were located mainly in periderm and cortex.

  • PDF

인삼의 구증구포에 의한 Ginsenoside의 성분변화 및 BACE-1 억제효과 (Conversion of Ginsenosides by 9 Repetitive Steamings and Dryings Process of Korean Ginseng Root and Its Inhibition of BACE-1 Activity)

  • 김도완;김유진;이연진;민진우;김세영;양덕춘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22권6호
    • /
    • pp.1557-1561
    • /
    • 2008
  • Red ginseng possibly has new ingredients converted during steaming and dry process from fresh ginseng. Kujeungkupo method which means 9 repetitive steamings and dryings process was used for the production of red ginseng from 6-year old ginseng roots. Saponin was extracted from each red ginseng produced at the 1st, 3rd, 5th, 7th, and 9th during the steaming and drying treatment, and we analyzed saponin content with TLC. Minor saponins, such as ginsenoside-Rg3, -Rh2, compound K, and F2, increased as the process time of steaming and drying, but major saponins (ginsenoside-Rb1, -Rb2, -Rc, -Rd, -Re, -Rf, -Rg1) were decreased. Major saponins were yet observed almost at the 1st process, then degraded as the increasing time of steaming and drying process. Especially, ginsenoside-Re and -Rg were observed as considerable amount after the 1st treatment, but there were no trace of them after the 9th treatment. Ginsenoside-Rg1, -Rb2, and -Rb1 were also reduced remarkedly by 96.6%, 96%, and 92.3%, respectively. Minor saponins were increased significantly, especially for ginsenoside-Rg3 and ginsenoside-F2. These results suggest that Kujeungkupo method is the very useful method for the production of minor ginsenoside-Rg3 and -Rh2.

수확시기에 따른 새싹삼의 부위별 생육 및 Ginsenoside 함량 변화 (Growth and Ginsenoside Content in Different Parts of Ginseng Sprouts Depending on Harvest Time)

  • 장인배;유진;서수정;장인복;권기범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205-213
    • /
    • 2018
  • Background: Since the revised Ginseng Industrial Act was passed, ginseng sprouts have become a new medicinal vegetable for which there is high consumer demand. However, the existing amount of research and data on ginseng production has not kept pace with this changed reality. Methods and Results: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changes in the amounts of ginsenosides in different parts of growing ginseng sprouts during the period from when organic seedlings were planted in nursery soil until 8 weeks of cultivation had elapsed, which was when the leaves hardened. In the leaves, ginsenoside content increased 1.62 times with the panaxadiol (PD) system and 1.31 - 1.56 times with the panaxatriol (PT) system from 7 to 56 days after transplantation. During the same period, the total ginsenoside content of the stems decreased by 0.66 - 0.91 times, and those of the roots increased until the $21^{st}$ day, and then underwent steep declines. The effect of fermented press cake extract (FPCE) and tap water (TP) on the total amount of ginsenoside per plant were similar, and could be represented with the equations $y=1.4330+0.2262x-0.0008x^2$ and $y=0.9555+0.2997x-0.0031x^2$ in which y = ginsenoside content x = amount of and on the total amounts of FPCE or TP, respectively after 26.4 days, however, the difference between ginsenoside content with FPCE and TP widened. Conclusions: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the amounts of ginsenosides in different parts of ginseng varied with the cultivation period and nutrient supply. These findings also provide fundamental data on the distribution of ginsenosides among plant parts for 2-year-old ginseng plants in the early-growth stage.

인삼의 재식 위치에 따른 진세노사이드 함량 차이 (Difference of the Ginsenosides Contents According to the Planting Location in Panax ginseng C. A. Meyer)

  • 이상국;남기열;최재을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4권2호
    • /
    • pp.159-164
    • /
    • 2009
  • 본 연구는 5 년근의 인삼에서 차광시설의 재배위치에 따른 사포닌의 함량 차이를 검정하였다. 재식 위치별 전행 $(1{\sim}2행)$에서 연풍과 재래종 주근의 총 사포닌 단위함량은 각각 15.01 mg/g, 21.79 mg/g, 지근은 각각 35.93 mg/g, 43.32 mg/g, 세근은 각각 87.85 mg/g, 105.51 mg/g이었다. 중행 $(3{\sim}5행)$에서 연풍과 재래종 주근의 총 사포닌 단위함량은 각각 18.73 mg/g, 23.19 mg/g, 지근은 각각 44.92 mg/g, 43.50 mg/g, 세근은 각각 92.97 mg/g, 110.70 mg/g이었다. 후행 $(6{\sim}7행)$에서 연풍과 재래종 주근의 총 사포닌 단위함량은 각각 21.88 mg/g, 26.68 mg/g, 지근은 각각 38.41 mg/g, 44.89 mg/g, 세근은 각각 101.03 mg/g, 107.06 mg/g이었다. 재배위치에 따른 연풍과 재래종의 주근, 지근 및 세근의 총 사포닌과 주요 사포닌 함량의 차이는 연풍의 주근을 제외하고 모든 부위에서 크지 않았다. PD/PT 비율은 전행 인삼은 중행과 후행에 비하여 낮았으며 뿌리의 부위별로도 차이가 컸다.

기호성 개선 인삼농축액 제조를 위한 추출 조건 설정 (Characterization and optimization for beverage manufacture using Korean red ginseng extract)

  • 최지원;오미진;하상근;박용곤;박호영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319-325
    • /
    • 2016
  • 백삼과 홍삼의 추출수율은 각각 33.56%와 48.79%로 홍삼의 추출수율이 높았고, 산성다당체의 경우 1~4차 추출단계까지는 홍삼군이 백삼군보다 높았으나, 5차 추출단계에서 백삼군이 6차 추출단계에서는 홍삼군이 높게 나타났다. 백삼과 홍삼의 추출단계별 농축액의 조사포닌 함량은 백삼(56.44 mg/g)에 비해 홍삼(53.15 mg/g)이 약 5.8 %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을 혼합한 선택적 홍삼농축액 모델 4종의 기호도 평가 결과 1, 2, 6차 추출물이 혼합된 RGB-4가 가장 높은 기호도를 나타내었고 시판 홍삼 농축액 3종에 대해 비교한 결과에서도 RGB-4가 쓴맛, 떫은맛, 인삼향 강도가 약해지고 종합적 기호도에서 높은 평가를 받았다. 본 실험에서는 추출방법을 달리 함으로써 추출수율 및 조사포닌 함량을 감안하여 인삼 쓴맛과 향의 강도를 낮출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 추출방법을 이용하여 쓴맛을 저감시키고 인삼향미의 강도를 저감시킨 제품을 개발하여 좀 더 편하고 자연스럽게 홍삼제품을 접할 수 있도록 더 많은 연구가 진행 되어야 할 것이다.

고려인삼(高麗人蔘)의 답전윤환재배(畓田輪換栽培) 효과(效果) (Crop Rotation of the Korean ginseng (Panax ginseng C.A.Meyer) and the Rice in Paddy Field)

  • 조재성;김충수;원준연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19-26
    • /
    • 1996
  • 인삼의 답전윤환재배에 있어서의 문제점을 파악하는 한편 답전윤환 재배지 토양의 이화학적 특성과 인삼의 생육 및 수량을 조사하며 논에서의 인삼연작재배의 안전성 기작을 구명하여 인삼의 답전윤환재배를 위한 기초를 확립하고자 본 실험을 수행하였던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금산지방에서의 답전윤환 인삼재배시 가장 심각한 문제점은 벼의 재배후에 토양에 잔류하는 무기염류의 과다였다. 2. 밭재배지에 비하여 답전윤환 인삼재배지에서 유기물함량과 CEC 그리고 가리를 위시한 각종 양이온의 함량이 높은 경향이었다. 3. 답전윤환 초작지와 재작지에서의 3년생 및 4년생 인삼의 경엽생육은 밭초작지 인삼의 생육과 뚜렷한 차이가 없었으나 이들에 비해 밭재작지 인삼의 경엽생육은 현저하게 떨어졌다. 또한 답전윤환 재배지에서는 황병의 발생이 많았으며 땅강아지가 우점해충이었다. 4. 답전윤환 초작지와 재작지에서의 4년생 인삼근의 생육 및 간당 근수량은 밭초작지 인삼의 생육 및 수확량과는 뚜렷한 차이가 없었으나 이들에 비해 밭재작지 인삼근의 수량은 현저한 감소를 나타내었다. 5. 답전윤환재배시 인삼의 재배후에 4년정도 벼를 재배한 다음 다시 인삼을 재배하여도 인삼에 연각장해현상이 뚜렷하게 나타나지 않았으며 또한 근부병의 발생도 심하지 않아 비교적 안전한 재작이 가능하였다. 6. 답전윤환지에서 재배된 4년생 인삼의 조-Saponin 및 개별 Saponin함량은 관행의 방법으로 재배된 인삼과 전혀 차이가 없었다. 7. 정상답에 비하여 인삼재배답 토양의 비옥도가 대체로 약간 저조한 경향이었으나 수도의 생육 및 수량에는 전혀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 PDF

발기부전환자에서 홍삼 복용후의 음경혈류와 발기력 변화 (Penile Blood Change after Oral Medication of Korean Red Ginseng in Erectile Dysfunction Patients)

  • 최형기;최영진;김장환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27권4호
    • /
    • pp.165-170
    • /
    • 2003
  • 발기부전 환자에서 홍삼의 효능을 객관적으로 확인하기 위하여 홍삼 복용 전후의 음경혈류 변화를 AVS-Penogram을 이용하여 홍삼이 음경발기 및 음경혈류에 미치는 영향을 활성도 곡선의 유형 변화와 최대활성도치를 분석하여 평가하고, 동시에 주관적인 발기부전의 증상호전 정도를 비교하였다. 활성도 곡선유형은 홍삼 투여군에서 위약 투여군에 비하여 전반적으로 호전 양상을 보였으나 통계학적 유의성은 없었고, 최대활성도치의 증가에서는 홍삼 투여군이 57.9%(l1/19)로 위약 투여군의 22.2%(2/9)에 비하여 유의하게 높은 호전을 보였으며, 주관적인 증상호전에서도 홍삼 투여군이 63.2%(12/19)로 위약 투여군의 33.3%(3/9)에 비하여 유의한 호전을 나타냈다. 약물의 안정성 평가에서는 약물 관련 특이 반응이나 특별한 부작용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으로 발기부전 환자에서 홍삼의 투여가 특별한 독성이나 부작용 없이 위약군에 비하여 좋은 치료효과를 보이며, 음경발기와 음경혈류 증가에 양성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단독 투여뿐만 아니라 다른 발기부전 치료제와의 병용 요법에 따른 상승효과(synergic effect) 등에 대하여도 인상 연구가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홍삼의 입자크기에 따른 사포닌 및 산성다당체의 추출 특성 (Extraction Characteristics of Saponin and Acidic Polysaccharide Based on the Red Ginseng Particle Size)

  • 조장원;김상욱;노정해;이영경;김경탁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32권3호
    • /
    • pp.179-186
    • /
    • 2008
  • 홍삼의 분말화가 홍삼성분의 추출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기존의 홍삼동체로부터 유용성분을 추출하는 방법과 홍삼을 분말화하여 추출하는 방법을 비교 시험하였다. 서로 다른 입도분포를 가지는 3종의 홍삼분말 ($10{\sim}40$, $40{\sim}100$, 100 mesh 이상)을 제조한 후 원형홍삼 및 홍삼분말을 이용하여 48시간 추출실험을 한 결과 입도의 크기가 가장 큰 $10{\sim}40$ mesh 홍삼분말이 가장 높은 추출수율을 나타내었다. 특히 짧은 추출시간 (12시간)대에서 원형홍삼과 비교하여 큰 수율차이를 보였다. 홍삼의 분말화가 일반적인 연속추출방법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3차의 용매변경 연속추출방법(1차 추출: $70^{\circ}C$ 에탄올 12시간, 2차 추출: $70^{\circ}C$ 에탄올 12시간, 3차 추출: $70^{\circ}C$ 열수 12시간)을 이용하여 추출을 수행한 결과 3차 추출까지 끝낸 상태에서의 고형분 추출수율은 $10{\sim}40$ mesh 홍삼분말이 36.2%로서 원형삼의 29.9%에 비해 약 20% 이상의 수율 증가를 보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홍삼분말 추출물내의 유용성분 분석결과 조사포닌, 총사포닌 모두 $10{\sim}40$ mesh 홍삼분말에서 추출수율이 가장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조사포닌의 경우 $10{\sim}40$ mesh 홍삼분말 추출물의 수율이 2.6%로서 원형삼 추출물의 1.77%보다 약 47%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HPLC를 이용한 사포닌 조성분석결과 모든 홍삼분말 추출물들이 비슷한 사포닌 조성을 나타낸 것으로 미루어 보아 분말화에 의한 사포닌 조성 변성은 일어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었다. 홍삼내의 다른 유용성분인 산성다당체의 경우에는 기존 원형홍삼에 비해 분말화된 홍삼들의 추출수율이 높아졌으며 가장 미세 분쇄된 100 mesh 이상의 홍삼분말에서 2.9%의 추출수율을 보여 원형삼 추출액의 1.37%에 비해 2배이상 높은 추출수율을 나타내었다. 본 결과는 추출공정에 분말화된 홍삼을 이용할 경우 추출시간의 단축 및 홍삼성분의 추출효율을 높일 수 있음을 시사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