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insenoside Rc

검색결과 250건 처리시간 0.022초

Thermal Conversion Pathways of Ginsenosides in Red Ginseng Processing

  • Lee, Sang Myung
    • Natural Product Sciences
    • /
    • 제20권2호
    • /
    • pp.119-125
    • /
    • 2014
  • According to the results of my study on the chromatographic analysis of fresh ginseng (Panax ginseng C. A. Meyer) roots, most of the contents of protopanxadiol ginsenosides $Rb_1$, Rc, $Rb_2$, and Rd are derived from the corresponding malonyl ginsenosides in fresh ginseng by a heat process. Also, I confirmed that acetyl ginsenosides are naturally occurring constituents in fresh ginseng, not decarboxylates from malonyl ginsenosides. Seven neutral ginsenosides $Rg_1$, Re, Rf, Rc, $Rb_1$, $Rb_2$, and Rd were transformed to specific conversions in red ginseng preparation conditions. The conversion paths progress by three rules concluded from my study. These conversion rules are I: the ether bond is stable at positions 3 and 6 in the dammarane skeleton, II: the ether bond between sugars is stable in glycosides, and III: the ether bond to glycosides is unstable at position 20 in the dammarane skeleton.

Study on life span extension efficacy by Korean Red Ginseng

  • Lee, Joon-Hee;Choi, Sun-Hye;Nah, Seung-Yeol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31권4호
    • /
    • pp.210-216
    • /
    • 2007
  • The backbone structure of ginsenosides, active ingredients of Panax ginseng, is similar with that of sterol, especially cholesterol. Caenorhabditis elegans (c. elegans) is one of free living nematodes and is well-established animal model for biochemical and genetic studies. C. elegans cannot synthesize de novo cholesterol, although cholesterol is essential requirement for its growth and development. In the present study,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Korean red ginseng total extract (KRGE), ginseng total saponins (GTS) on life span of C. elegans in cholesterol-deprived and -fed medium. Cholesterol deprivation caused damages on life span of worms throughout F1 to F3 generations. KRGE or GTS supplement to cholesterol-deprived medium restored the life span of worms as much as cholesterol alone-fed medium. In study to identify which ginsenosides are responsible for life span restoring effects of KRGE, we found that ginsenoside Rc supplement not only restored life span of worms grown in cholesterol-deprived medium but also prolonged life span of worms grown in cholesterol-fed medium. These results show a possibility that ginsenosides could be utilized by C. elegans as a sterol substitute and further indicate that ginsenoside Rc is the effective component of Korean red ginseng that prolongs the life span of C. elegans.

Stimulatory Effects of Ginsenosides on Bovine Brain Glutamate Decarboxylase

  • Choi, Soo-Young;Bahn, Jae-Hoon;Jeon, Seong-Gyu;Chung, Young-Mee;Hong, Joung-Woo;Ahn, Jee-Yin;Hwang, Eun-Joo;Cho, Sung-Woo;Park, Jin-Kyu;Baek, Nam-In
    • BMB Reports
    • /
    • 제31권3호
    • /
    • pp.233-239
    • /
    • 1998
  • A GABA synthesizing enzyme, glutamate decarboxylase, has been purified from bovine brain by several chromatographic procedures. The preparation appeared homogeneous on SDS-PAGE. The enzyme is a homodimeric protein with a molecular mass of 120 kDa. The activation of glutamate decarboxylase by ginesenosides from Panax ginseng C.A. Meyer has been studied. Preincubation of the enzyme with total ginsenoside, $Rb_2$ and Rc ginsenosides, increased glutamate decarboxylase activities in a dose-dependent manner. There was a reproducible decrease in $K_m$, in addition to a increase in $V_{max}$, in response to increasing concentrations of the Rc ginsenoside fraction. Upon addition of the ginsenoside to the enzyme, a decrease in flurorescence intensity was discernible, together with an increase in emission anisotropy. Judging from the anisotropy values, the ginsenoside is rapidly trapped by the protein matrix. Total ginsenoside was administered to rats and the rat brains were removed for the measurement of the changes of GABA shunt regulating enzyme activities. Among the GABA shunt regulating enzymes, only the glutamate decarboxylase activities were increased after ginsenoside treatment. Therefore, it is suggested that the ginsenosides may elevate the GABA level in brain by activation of glutamate decarboxylase and the enzymatic activation might be due to the conformational change induced by binding of ginsenoside to the enzyme.

  • PDF

인삼 사포닌 성분이 프로스타글란딘류 생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Ginseng Saponins on the Biosynthesis of Prostaglandins)

  • 이선희;박찬웅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13권2호
    • /
    • pp.202-210
    • /
    • 1989
  • 인삼 성분이 prostaglandin 등 arachidonic acid 대사산물 생성에 미치는 영향을 실험함으로써 인삼의 약리학적 작용기전을 간접적으로 모색하였다. 즉, [$^3H$]-arachidonic acid를 기질로 넣어주고 토끼 신장 micorsome, 소의 대동맥 microsome, 정상 성인의 혈소판 homogenate 등을 효소원으로 한 in vitro 생합성 과정에 변화를 주는 수종 인삼 saponin 성분의 효과를 검정하였다. 실험에 사용한 인삼 saponin 성분은 panaxadiol, panaxatriol 및 protopanaxadiol계 soponin류인 Ginsenoside $Rb_2$(G-$Rb_2$), Ginsenoside Rc(G-Rc) 및 protopanaxatriol계 saponi류인 Ginsenoside (G-$Rb_2$)이었다. 1. Arachidonic acid로부터 생성된 총 cycoloxygenase 반응생성물 및 malondialdehyde의 양은 실험에 사용한 인삼 saponin 성분의 전 농도 범위에서 유의적인 변화를 보이지 않았는데 이는 인삼 saponin 성분들은 cyclooxygenase에 직접 작용하지 않는다는 것을 설명해 준다. 2. Panaxdiol($500{\mu}g$/ml)은 $PGE_2$ 생성에는 영향이 없으나 $PGF_2$$TXB_2$의 생성을 감소시켰으며 동시에 6-keto-$PGF_{1{\alpha}}$의 생성은 증가시켰다. Panaxatriol도 유사한 양상을 보였다. 3. G-$Rb_2$, Rc, Re에 의해 $TXB_2$의 생성은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하였으나 6-keto-$PGF_{1{\alpha}}$의 생성은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또한 arachidonic acid와 $TXA_2$ 유사제인 U46619(9,11-methanoepoxy $PGH_2$)로 유도한 혈소판 응집 현상은 세 ginsenoside에 의해 억제되었다. G-Re의 6-keto-$PGF_{1{\alpha}}$생성증가 효과는 prostacyclin 합성효소억제제에 의해 길항하였다. 이상의 결과와 같이 인삼saponin 성분들은 arachidonic acid로부터 cyclooxygenase를 통해 일단 생성된 endoperoxide에서 각각의 prostaglandin을 생성하는 효소, 특히 G-$Rb_2$$TXA_2$ synthetase에 강력한 억제제로, G-Re는 prostacyclin 생합성에 촉진데로 심혈관계 균형에 기여하리라 생각된다.

  • PDF

고려인삼의 마이크로파 처리 효과 (Effect of Microwave Treatment on Korean Ginseng)

  • 이재학;금준석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405-410
    • /
    • 2010
  • 인삼의 저장 가공 방법을 개발하기 위해 마이크로파 단독처리로 수삼을 처리한 후 일반 성분, 색도, 밀도, 사포닌의 조성 및 미세구조 등 품질 특성을 조사하였다. 마이크로웨이브 출력을 100 Watt와 200 Watt에서 각각 1시간과 3시간 동안 수삼을 처리하고 $60^{\circ}C$ 열풍건조기에서 96시간 건조한 후 성분 함량을 측정하였다. 수삼의 초기 수분 함량인 76.26%에서 마이크로파 가열 처리 조건에 따라 13.12~10.77%까지 건조되었다. 마이크로파로 처리한 수삼의 회분 함량은 처리 과정에 따른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지방의 경우 마이크로파 출력과는 상관없이 처리 시간에 따라 조금씩 감소하였다. 단백질 함량은 마이크로파 가열 후 건조하기 전 수삼의 단백질 함량과 비교하여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마이크로파로 처리한 수삼의 총 식이섬유 함량은 대조군보다 증가함을 보이고 있으나, 처리 시간이나 출력과의 유의성은 보이지 않는다. 처리군의 색도는 대조군에 비해 더 어두운 색을 나타내었다. 마이크로파 가열 처리 후 인삼의 색도의 변화는 출력보다 가열 처리 시간에 따라 변하는 양상을 보였다. 마이크로파 가열 처리 후 수삼의 밀도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고, 가열 시간이나 출력에 따른 뚜렷한 차이는 찾을 수 없었다. 사포닌 ginsenoside-$Rb_1$$Rb_2+Rb_3$, Rc, Rd, Re, Rf, $Rg_1$, $Rg_2+Rh_1$, $Rg_3$의 함량은 대조군에 비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고, 100 Watt에서 가열한 처리구들보다 200 Watt에서 가열한 처리구들의 함량이 높은 값을 나타냈다. 예외적으로 200 Watt에서 가열했을 때, ginsenoside-$Rb_2+Rb_3$와 ginsenoside-Rc의 함량은 대조군에 비해 증가하였다. 미세구조는 마이크로파 건조 후 더 치밀한 조직이 관찰되었다.

백삼 및 홍삼 농축액의 사포닌 분석 (Analysis of Ginsenosides of White and Red Ginseng Concentrates)

  • 고성권;이충렬;최용의;임병옥;성종환;윤광로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536-539
    • /
    • 2003
  • 백삼 가공품과 홍삼 가공품의 사포닌 분포 내용과 함량을 비교하기 위하여 시판되고 있는 백삼 농축액(WGC)과 홍삼 농축액(RGC)을 각각 1종 선정하여 조 사포닌의 함량과 개별 ginsenoside의 함량분포를 조사하였다. Shibata의 방법과 우리나라 식품공전에 따라 측정한 조 사포닌의 양은 WGC가 각각 10.65와 21.77%이었으며 RGC는 5.80와 10.94%이였고, HPLC에 의한 총 사포닌의 양은 WGC가 7.40와 10.64%, RGC는 3.31와 3.13%로서 백삼 농축액의 사포닌 함량이 홍삼 농축액의 경우 보다 전반적으로 높았다. HPLC로 분석한 인삼 사포닌, ginsenoside $Rb_1,\;Rb_2,\;Rc,\;Rd,\;Re,\;Rf,\;Rg_1,\;20(S)\;Rg_3,\;20(R)Rg_3,\;20(S)\;Rh_1$ 그리고 $20(R)\;Rh_1$ 이었으며 대부분 홍삼농축액 보다는 백삼농축액의 함량이 높았으며, 특히 ginsenoside $Rb_1,\;Rg_1$ 그리고 $Rb_2$은 백삼 농축액에 3배 이상 더 함유되어 있었다. 또한 protopanaxadiol group과 protopanaxatriol group의 비율(PD/PT)에 있어서는 농축액간의 차이는 크지 않았다. 홍삼의 특유 사포닌으로 알려진 20(S)- 및 20(R)-ginsenoside $Rg_3$가 WGC와 RGC에 비슷하게 분포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20(S)-ginsenoside $Rg_3$의 조 사포닌 조제법에 따라 RGC에서 0.48과 0.47% WGC에 0.40와 0.53%, 20(R)-ginsenoside $Rg_3$도 RGC에 0.10과 0.11%, WGC에 0.14와 0.22%이었다.

가수분해 처리에 의한 홍삼과 인삼의 중성 Ginsenoside 함량 변화 (Change of Neutral Ginsenoside Contents in Red and Fresh Ginseng (Panax ginseng C. A. Meyer) by Hydrolysis)

  • 한진수;이강선;탁현성;김정선;라정우;최재을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23-31
    • /
    • 2014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change of ginsenoside contents in red and fresh ginseng according to root part and age by hydrolysis. Neutral total ginsenoside contents by hydrolysis in 6-year main root and lateral root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than those by non-hydrolysis, as 41.6 and 32.8%, respectively.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red ginseng. In fresh ginseng, ginsenoside contents of the protopanaxatriol group such as Re, Rf, $Rg_1$, $Rg_2$, and $Rh_1$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ut $Rb_1$, $Rb_2$, $Rb_3$, Rc, and Rd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The increase rate of neutral total ginsenoside content by hydrolysis was higher in epidermis-cortex than stele. Also, the neutral total ginsenoside content was fine root > rhizome > lateral root > main root, respectively. While there was no tendency towards the increase of ginsenoside by hydrolysis with the increase of root age in fine root and rhizome, there was significant decrease in main root and lateral root.

얇은막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한 인삼(人蔘)의 근(根) 엽(葉) 및 경(莖)의 saponin 및 sapogenin화합물(化合物) 동정(同定) (Identification of Saponin and Sapogenin in Root, Leaf and Stem of Ginseng by Thin Layer Chromatography)

  • 최강주;김석창;김만욱;남기열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0권4호
    • /
    • pp.340-344
    • /
    • 1987
  • 인삼(人蔘)의 근(根) 및 지상부(地上部) 사포닌을 얇은 막 크로마토그래피로 동정(同定)한 결과(結果) 인삼근(人蔘根)에 함유된 사포닌 중 $ginsenoside-Re,\;-Rg_1,\;-Rc,\;-Rf,\;-Rb_2$$-Rb_1$ 은 각각 엽(葉)과 경(莖)에서도 동정(同定)되었으며 이외에도 엽(葉)에서 10개과 경(莖)에서 9개의 unknown spot를 동정(同定)할 수 있었다. 또한 부위별(部位別) 총(總)사포닌을 50% 초산으로 온화한 조건에서 산(酸) 가수분해(加水分解)하여 생성(生成)된 prosapogenin의 조사결과(調査結果), panaxadiol계 사포닌 및 ginsenoside-Re의 산(酸) 가수분해물(加水分解物)인 $ginsenoside-Rg_3$$ginsenoside-Rg_2$가 각각 동정(同定)되었다. 한편 근(根), 엽(葉) 및 경(莖)의 총사포닌을 황산 가수분해(加水分解)하여 sapogenin 조사결과, 근(根)에서는 panaxadiol, panax atriol 및 oleanolic acid가 검출되었고, 엽(葉)과 경(莖)에서는 panaxatriol 및 panaxadiol만이 동정(同定)되었다.

  • PDF

NaCl 농도가 인삼의 ginsenoside 함량과 pH 및 색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 on the change of ginsenosides, pH and color by NaCl concentration)

  • 박명한;이종원;이종태;김교창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6권4호
    • /
    • pp.260-264
    • /
    • 1993
  • 인삼을 조미제품의 첨가성분으로 이용할 때 그 NaCl 농도에서 인삼성분의 안정성을 규명하기 위하여, 미삼과 홍삼정을 NaCl 농도별로 처리하여 pH, 색상 및 ginsenosides 함량을 조사한 결과, 미삼의 경우 NaCl 농도가 증가 할수록 pH는 높아졌으나 홍삼정 시험구에서는 유의적인 변화가 없었다. 색상은 NaCl 농도가 증가 될수록 감소하였다. n-BuOH extract 수율은 5% NaCl 농도에서 감소하였고 그 이상의 농도에서는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증감 범위는 홍삼정이 컸다. Ginsenosides 함량은 diol계 saponin인 ginsenoside-Re, $-Rb_1$, $-Rb_2$, -Rc, -Rd 및 triol계 saponin인 ginsenoside-Re 모두 5% NaCl 농도에서 감소하였고 그 이상의 농도에서 증가하는 경향이었으며, 특히 ginsenoside-Re가 가장 민감한 증감의 변화를 보였다.

  • PDF

열처리 및 발효과정이 인삼 및 산양삼의 ginsenoside 함량에 미치는 영향 (Component analysis of cultivated ginseng and mountain ginseng to the change of ginsenoside components in the process of heating and fermentation.)

  • 차배천;윤휘철;이대호;박재석;권기록
    • 대한약침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33-49
    • /
    • 2010
  • Objectives: The aim of this experiment is to provide an objective differentiation of cultivated ginseng, mountain ginseng through component analysis, and to know the change of gin senoside components in the process of heating and fermentation Methods: Comparative analyses of ginsenoside $Rb_1$, $Rb_2$, Rc, Rd, Re, Rf, $Rg_1$, $Rg_3$, $Rh_1$, and $Rh_2$, from the cultivated ginseng 4 and 6 years, and mountain cultivated ginseng were conducted using HPLC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hereafter HPLC). And the same analyses were conducted in the process of heating and fermentation using mixed Lactobacillus rhamnosus, Lactobacillus plantarum, Bifidobacterium lactis for 7 days. Results: The change of ginsenosides to the process of red ginseng and fermentation, cultivated ginseng and mountain cultivated ginseng were showed another results. Mountain ginseng showed a lot of change compared with cultivated ginsengs. In the 7 days of fermentation, mountain ginseng showed that ginsenoside $Rg_1$, $Rb_1$, $Rb_2$, Rc, and Rd were decreased and increased ginsenoside Re, Rf, $Rg_3$ and $Rh_1$ were increased compared with cultivated ginseng Conclusions: It seemed that ginsenosides of mountain cultivated ginseng was better resolved than cultivated ginseng because the difference of structure or distribution of ginsenosides in the condition of ferment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