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Gingseng

검색결과 30건 처리시간 0.024초

발기부전환자에서 홍삼 복용후의 음경혈류와 발기력 변화 (Penile Blood Change after Oral Medication of Korean Red Ginseng in Erectile Dysfunction Patients)

  • 최형기;최영진;김장환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27권4호
    • /
    • pp.165-170
    • /
    • 2003
  • 발기부전 환자에서 홍삼의 효능을 객관적으로 확인하기 위하여 홍삼 복용 전후의 음경혈류 변화를 AVS-Penogram을 이용하여 홍삼이 음경발기 및 음경혈류에 미치는 영향을 활성도 곡선의 유형 변화와 최대활성도치를 분석하여 평가하고, 동시에 주관적인 발기부전의 증상호전 정도를 비교하였다. 활성도 곡선유형은 홍삼 투여군에서 위약 투여군에 비하여 전반적으로 호전 양상을 보였으나 통계학적 유의성은 없었고, 최대활성도치의 증가에서는 홍삼 투여군이 57.9%(l1/19)로 위약 투여군의 22.2%(2/9)에 비하여 유의하게 높은 호전을 보였으며, 주관적인 증상호전에서도 홍삼 투여군이 63.2%(12/19)로 위약 투여군의 33.3%(3/9)에 비하여 유의한 호전을 나타냈다. 약물의 안정성 평가에서는 약물 관련 특이 반응이나 특별한 부작용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으로 발기부전 환자에서 홍삼의 투여가 특별한 독성이나 부작용 없이 위약군에 비하여 좋은 치료효과를 보이며, 음경발기와 음경혈류 증가에 양성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단독 투여뿐만 아니라 다른 발기부전 치료제와의 병용 요법에 따른 상승효과(synergic effect) 등에 대하여도 인상 연구가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강원도 인삼재배지 농약 사용 실태 (Survey on Pesticide Use by Ginseng Growers at Gangwon Farmland in Korea)

  • 강혜순;박동식;황윤갑;김성문
    • 농약과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210-215
    • /
    • 2007
  • 본 연구는 강원도내의 4개시 8개군에 거주하는 271명의 인삼 재배자들을 대상으로 36문항의 설문지를 이용하여 강원도 인삼 재배지의 농약사용 실태를 조사하였으며, 얻어진 결과는 빈도 및 교차 통계분석을 하였다. 설문조사 대상자들은 강원도 인삼 재배지에 문제가 되는 식물병으로 점무늬병, 탄저병, 잿빛곰팡이병, 뿌리썩음병, 균핵병, 해충은 달팽이, 줄기 굴파리, 굼벵이, 선충, 거세미나방, 잡초는 망추 바랭이, 명아주, 피, 쑥 등을 선정하였다. 이를 방제하기 위하여 응답자의 35%는 농약에 의존한다고 하였으며, 31.5%는 농약사용뿐만 아니라 해충의 천적과 미생물 이용 및 친환경자재 등을 혼용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전체 응답자의 78.8%가 본인의 경험, 농약상 및 이웃의 추천 등으로 농약을 선정하고 있었으며, 이의 결과로 강원도 인삼 재배지에서 미적용 약제를 사용하는 문제점을 안고 있었다. 농약 살포 시 기준량을 준수하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96.3%), 이것은 낮은 비율의 인삼약해(30.1%)와 살포자 중독 경험(38.8%)을 초래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그러나 사용 농약을 2년에서 5년간 연용하고 있어(44.1%) 이 지역 병해충 및 잡초의 약제 저항성 유발가능성이 높아 이에 대한 연구가 요구되고 있으며, 올바른 농약 선정 및 사용법에 대한 교육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비피도박테리움 CBT BG7, BR3, BL3의 진세노사이드 전환능 (Bioconversion of Ginsenosides by Bifidobacterium CBT BG7, BR3 and BL3)

  • 최지원;권창;김종원;정명준;윤종현;임상현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50권3호
    • /
    • pp.395-403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한국형 프로바이오틱스와 홍삼을 발효하여 저분자 진세노사이드인 compound K (CK)로 생물전환되는지를 확인하였다. 프로바이오틱스 19종의 유전체 분석결과, 진세노사이드 Rb1에서 CK로 전환에 관련된 β-glucosidase는 19종 모든 균주에서 확인되었고, α-arabinofuranosidase 유전자는 3종의 균주, β-xylosidase는 6종 균주, α-rhamnosidase는 8종의 균주에서 확인되었다. 이 중 B. longum CBT BG7는 Rb1으로부터 CK까지 전환시켜, CK 함량을 증가시켰다. 또한, B. breve CBT BR3와 B. lactis CBT BL3은 Rb1을 Rd로 전환시켰다. 균체를 파쇄 또는 미파쇄하여 진세노사이드 전환 반응을 비교했을 때 미파쇄물이 F2와 CK로의 높은 전환량과 수율을 보였다. CBT BG7 + BL3와 BG7 + BR3 혼합균주는 CBT BG7 단독보다 진세노사이드 F2의 함량을 증가시켰다. CBT BG7과 α-amylase 효소를 함께 반응하였을 때에 F2 함량이 증가되었다. 본 연구는 한국형 프로바이오틱스인 CBT BG7, BR3, BL3와 홍삼을 함께 섭취할 경우, 건강에 도움을 주는 생리활성물질인 CK의 생산을 확인하였다. 추후 부탄올 등 다양한 추출용매를 활용하여 생물전환 효율 및 CK로의 전환율에 대한 추가 연구가 필요해 보인다.

산욕기(産褥期) 감염(感染) 유발(誘發) 세균(細菌)의 생육(生育)을 억제하는 한약재(漢藥材) 탐색(探索)에 관(關)한 연구(硏究) (A study on screeining of antibacterial herb medicines against puerperal infection-bacteria, Proteus vulgaris, Staphylococcus aures, and Enterococcus faecalis)

  • 임재연;성연수;김희진;이태균
    • 동국한의학연구소논문집
    • /
    • 제6권1호
    • /
    • pp.177-203
    • /
    • 1997
  • 산욕기(産褥期) 감염(感染)이란 분만후(分娩後) 생식기(生殖器)의 세균(細菌)에 의한 감염(感染)을 의미(意味)하며, 산후(産後) 체온상승(體溫上昇)의 대부분(大部分)은 골반감염(骨盤感染)에 의한 것으로 산욕기(産褥期) 감염(感染)의 중요(重要)한 지표(指標)가 된다. 한의학에서 산후발열(産後發熱)의 병인병기(病因病機)는 주로 사독감염(邪毒感染), 혈어(血瘀), 외감(外感), 혈허(血虛) 등으로 보았으며, 치료는 일반적(一般的)으로 산후질환(産後疾患)에는 허증(虛證)이 많아 발표공리(發表攻裏)를 과도(過度)하게 하지 않고, 기혈(氣血)과 영위(營衛)의 조화(調和)에 위주로 하나, 외감(外感)과 이실증(裏實證)을 소홀(疏忽)히 하면 안된다. 따라서 산후발열(産後發熱)을 야기(惹起)하는 각종(各種) 원인균(原因菌)에 대(對)한 객관적(客觀的)인 억제효과(抑制效果)의 검증(檢證)은 산후발열(産後發熱)의 치료율(治療率)을 높이는데 중요하다. 그 결과 산욕기감염을 유발하는 각종(各種) 세균(細菌)에 대(對)해 황연(黃連), 오매(烏梅), 오미자(五味子) 등의 수용성(水溶性) 졸출물(拙出物)이 항균활성(抗菌活性)이 상대적(相對的)으로 좋은 효과(效果)를 보였다. 따라서 산욕기(産褥期) 감염(感染)의 치료(治療)에 이들 한약재(韓藥材)를 이용하면 보다 효과적(效果的)일 것으로 생각된다.

  • PDF

백서의 간세포막에서 Transferrin Receptor의 발현에 미치는 인삼의 영향 (Effect of Korean Ginseng on the Expression of Transferrin Receptor in the Liver Cell Membrane of Rat)

  • 임종호;홍장희;허강민;석정호;이재흔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23권2호
    • /
    • pp.105-114
    • /
    • 1999
  • 본 실험은 백서의 간세포막에서 transferrin receptor(TfR)의 발현에 미치는 인삼 및 3'-methyl-4-dimethylaminobenzene(3'-Me-DAB)의 영향을 연구하기 위하여, 인삼, 3'-Me-DAB 또는 3'-Me-DAB처치후 인삼을 투여한 백서를 부분 간절제한 후 간조직에서 $[^{3}H]thymidine$및 transferrin수용체의 유전자 발현 실험, 그리고 간세포막에서$[^{3}H]thymidine$ 결합 실험을 시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8주간 3'-Me-DAB를 투여한 백서에서 간조직의 조직학적 소견은 림프구의 침윤, 담관세포의 증식,교량성괴사 및 이상세포의 증식 소견을 보였다. 그러나 정상 또는 3'-Me-DAB를 투여한 백서에 인삼을 투여하였을 때 간조직의 조직학적 소견은 각각의 대조군에 비해 크게 변화되지 않았다. 2. 인삼 또는 3'-Me-DAB를 투여한 백서에서의 $[^{3}H]thymidine$ uptake는 대조군에서와 비슷하였으나, 부분간절제 수술 후 1일째 간에서는 수술 전보다 현저하게 증가되었다. 특히 3'-Me-DAB투여군의 간조직에서 더 증가되었으며, 이는 인삼 투여에 의해 억제되는 경향을 보였다. 3. 간세포막에서의 transferrin 결합량(Bmax) 및 Kd는 정상 백서에서 각각 6.87pmole/mg protein 및 10.64nM이었으며, 인삼 투여에 의해 크게 변동되지 않았다 그러나 3'-Me-DAB를 투여한 백서에서는 Bmax 및 Kd가 증가되었고, 이 증가는 인삼투여에 의해 감소되었다. 부분 간절제 수술 후 간세포막에서의 Bmax 및 Kd는 모든 그룹에서 수술 후 3일째에는 증가, 수술 후 5일째에는 감소되는 양상을 나타냈다. 그러나 3'-Me-DAB투여 후 간절제 수술군에서의 증가가 가장 컸으며, 이 증가효과는 인삼 투여에 의하여 억제되었다. 4. 부문 간절제 수술 후 간조직에서의 TfR mRrfA 발현은 수술 후 24시간에 최대로 증가되었으며, 이는 3'-Me-DAB를 투여한 백서에서 더 현저하였다. 그리고 인삼은 3'-Me-DAB투여 후 간절제 수술군에서 증가된 발현양을 약간 감소시켰다. 이상의 결과로 백서에서 부분 간절제 수술 및 발암 물질에 의해 간세포막 transffirin수용체는 친화력이 저하된 TfR이 증가될 수 있으며, 이는 일부 이 수용체의유전자 수준에서 조절될 수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그리고 인삼은 발암물질 투여등으로 간세포의 증식이 촉진되었을 때, 간세포내 핵산 합성 및 TfR mRNA 발현 조절을 통하여 세포막의 TfR출현 및 세포증식을 억제시킬 수 있을 것으로 추측된다.

  • PDF

인삼 잿빛곰팡이병균의 procymidone에 대한 감수성 변화와 carbendazim/diethofencarb 합제와의 다중 저항성 (Monitoring for the Resistance of Botrytis cinerea Causing Gingseng Gray Mold to Procymidone and Its Multiple resistance with the Mixture of Carbendazim/Diethofencarb)

  • 이선욱;김주형;민지영;배영석;김흥태
    • 식물병연구
    • /
    • 제13권3호
    • /
    • pp.170-176
    • /
    • 2007
  • 인삼의 잎에서 발생한 잿빛곰팡이병의 병반으로부터 병원균인 Botrytis cinerea의 224개 균주를 단포자 분리하여 실험에 사용하였다. 분리한 B. cinerea는 한천희석법을 사용하여 procymidone, carbendazim, carbendazim과 diethofencarb 합제의 균사생장 억제 효과를 $EC_{50}$(균사생장을 50% 억제하는 농도)과 MIC(균사생장을 100% 억제하는 최소농도) 값을 조사하였다. Procymidone에 대한 MIC값을 가지고서 병원균을 분류하면 0.8과 $4.0{\mu}g/ml$ 사이에 속하는 그룹과 $20{\mu}g/ml$ 이상인 그룹으로 크게 분류할 수 있었다. 2005년에 분리한 균주들은 지역별로 procymidone에 대한 감수성의 변화가 매우 다양하게 나타났다. 실험에 사용한 procymidone의 각각의 농도에 대한 균사 생장 억제 양상을 가지고 병원균을 각각 감수성($EC_{50}$ 값이 $2.0{\mu}g/ml$ 이하), 중도저항성($EC_{50}$ 값이 2.0과 $5.0{\mu}g/ml$ 사이), 저항성($EC_{50}$ 값이 $5.0{\mu}g/ml$ 이상) 등의 3개의 그룹으로 분류할 수 있었다. 이 기준으로 분류하였을 때, procymidone에 대해서 저항성인 B. cinerea의 비율은 2005년에 19.3%가 2006년에는 27.5%로 상승하였으며, 저항성 그룹의 평균 $EC_{50}$ 값도 $10.0{\mu}g/ml$에서 $237.3{\mu}g/ml$으로 상승하였다. Procymidone과 carbendazim의 경우에 다중저항성을 보이는 균주는 90개로 전체의 40.2%이었으며, 합제와의 다중저항성을 보이는 균주는 9개 밖에 없었다.

3 토양에서 채취된 고려 인삼의 희토류 원소 함량 (REE(rare earth element) contents for the Korean ginsengs from three different soils)

  • 송석환;민일식;송재찬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32권4호
    • /
    • pp.357-381
    • /
    • 2008
  • 연구 결과는 아래와 같다. 풍화 토양에서 LREE는 화강암 지역이, HREE는 천매암 지역이 높았다. 원소 쌍들 간에는 화강암 지역이 정의 상관관계, 천매암 지역이 부의 상관관계가 우세하였다. 밭 토양은 화강암 지역이 대부분 원소가 낮았고, 천매암 지역이 높았다. 토양의 함량 및 상관 특성은 이들 원소를 포함하거나 교대하는 광물 영향으로 해석이 가능하다. 모암은 LREE가 화강암이, HREE가 천매암이 높았다. 3 대조구 모두에서 정의 상관관계를 우세하게 보였다. 이는 각각의 LREE와 HREE를 포함하는 광물들의 조합 및 함량이 지역별로 차이를 보이기 때문이다. 인삼 성분은 동일 지역 연생 차이별 성분 비교에서 차이가 두드러졌다. 이는 토양의 광물학적 특성, 인삼의 재배기간, 토양에서 발생하는 물리, 화학적 변화 탓으로 설명이 된다. 동일 연생별 비교에서는 대부분 원소가 화강암 지역이 높았다. 이는 토양 중 광물 조성 및 조합 차, 토양에서 흡수되는 원소함량과 뿌리표면의 울혈과의 관계, 뿌리에 흡착되는 원소기작에 의한 영향, 토양수분 pH 변화가 주는 영향, 식물체내 각 기관에 흡수 축적되는 원소함량과 원소들의 특징차이 등으로 설명이 될 듯하다. 토양의 상대 비 비교에서 혈암 및 화강암 지역은 풍화토가, 천매암 토양은 밭토양이 높았음을, 풍화토와 모암의 비교는 풍화토가 높았음을 보여주고 있다. 이는 자연 상황의 풍화토와 한번 경운을 하고 인삼이 다년생으로 자라는 밭 토양과의 차이 탓으로 설명이 되고, 암석과 토양의 관계는 풍화 과정을 거치며 일부 원소가 용출된 토양과 그렇지 않은 원래 모암의 특성 차이로 설명이 될 듯하다. 토양과 인삼과의 상대 비에서 인삼이 연령에 관계없이 함량 차이가 혈암 및 천매암 지역은 수 백 배로 컸고, 화강암 지역은 수 십 배 차이로 작았다. 토양과 인삼과의 상대 비는 혈암 및 화강암 지역에서 3 년생이 제일 컸고 2 년생이 작았다. 이는 인삼이 한 토양에서 장기간 생육되는 과정에서 필요한 만큼 원소 함량을 받아들임을 암시한다. 각 대조구별 동일 연생의 비교에서 화강암 지역의 밭토양과 인삼함량의 비 차이가 제일 작아, 화강암 지역 인삼 함량이 토양의 특성을 가장 잘 반영하고 있음을 암시한다. 또한 토양의 용출수가 인삼에 흡수된다는 것을 전제로 했을 때 토양 중의 물리, 화학적 변수들이 타 지역에 비해 화강암 지역에서 더 잘 반영 되고 있음을 암시한다.

금산 지역 인삼의 비호정성 원소 함량 특성 (Characteristics of the Incompatible Element Contents of the Ginsengs from Keumsan)

  • 송석환;유선균;민일식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30권3호
    • /
    • pp.137-152
    • /
    • 2006
  • 풍화토양의 경우 화강암 지역이 타 지역에 비해 높았고, 상관계수에서 지역에 관계없이 정의 관계가 우세하였으며, 전 지역 공히 Y-Nb, Nb-Ta 쌍에서 부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밭 토양의 경우 화강암 지역이 높았고, 셰일 지역이 낮은 값을 보였다. 상관관계에서 화강암 지역은 많은 원소에서 정, 부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지역에 관계없이 3 년생 지역에서 높은 유의성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모암의 경우 화강암 지역이 높았고, 셰일 지역이 낮았다. 전 지역에서 Zr-Hf, Ta, Nb-Ta, Hf-Ta 쌍이 정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인삼의 함량은 연생에 따른 차이가 두드러졌다. 3 지역 공 히 상관계수에서 셰일 지역은 Y-Nb 쌍이, 천매암 지역은 Rb-Y 쌍이, 화강암 지역은 Rb-Sr 쌍이 정의 관계를 보였다. 각 지역 동일 연생별 성분 비교에서 화강암 지역이 셰일 및 천매암에 비해 높았고, 천매암 및 셰일 지역의 비교에서 2 년생은 셰일이, 4 년생은 천매암 지역이 높았다. 대부분 원소에서 풍화토와 밭 토양의 비(풍화토/밭 토양)는 셰일 및 천매암 지역에서, 토양/암석의 비(풍화토/모암)는 지역에 관계없이 풍화토가 높았다. 토양과 인삼의 비(밭 토양/인삼 함량)에서 일부 원소를 제 외하고 셰일 및 천매암 지역은 수 백 배 차이가 났고, 화강암 지역은 거의 대부분 원소에서 수 십 배 차이를 보였다. 즉 함량의 비가 수 십 배에서 수 백 배 차이로 토양이 인삼 보다 월등히 높았음을 보여주고 있다. 전체 평균에 대한 비율을 살펴보면 셰일 지역은 Rb, Ba, Sr이 수 십 배, Y, Nb가 수 백 배의 차이로, 천매암 지역의 경우 Nb가 수 천 배, Y가 수 백 배, Rb, Ba가 수 십 배 차이로, 화강암 지역의 경우 Rb, Ba, Y가 수 십 배, Sr은 수 배 차이로 토양이 인삼보다 높았다. 이 결과는 화강암 지 역 인삼의 원소 함량이 천매암 및 셰일 지역에 비해 토양에 가까웠음을 암시한다. 동일 연생 별 비교에서 높은 비율이 2 년생의 경우 LFS 는 화강암 지역이, HFS 는 천매암 지역에서, 3 년생의 경우 LFS는 천매암 지역이, HFS 는 화강암 지역과 셰일 지역이, 4 년생의 경우 LFS 는 셰일 지역이, HFS 는 화강암 지역에서 나타났다.

금산의 다양한 토양으로부터 채취된 고려 인삼의 주 원소 함량 비교 (Comparisons of the major element contents for the Korean ginsengs from various soils of Keumsan)

  • 송석환;민일식;장규식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32권3호
    • /
    • pp.194-209
    • /
    • 2008
  • 연구 결과는 아래와 같다. 풍화토양의 경우 대부분 원소가 셰일 지역이 낮고, 천매암 및 화강암 지역에서 높았다. 상관계수에서 화강암 지역이 더욱 많은 원소에서 정 및 부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밭토양의 경우 천매암 및 화강암 지역이 높았고, 셰일 지역은 낮았다. 연생별 비교에서 셰일 지역의 4년, 천매암 지역의 2년, 화강암 지역의 3년생 토양이 높았다. 연생이 증가함에 따라 정의 상관관계가 증가하였다. 동일 연령이라도 셰일 지역에 비해 천매암 지역이 정의 상관관계가 증가하였다. 인삼의 경우 평균값에서 높은 원소 및 낮은 원소 함량이 화강암 지역에서 나타났다. 연생별 원소 함량에서 2, 3년생이 낮고, 4년생이 높은 원소가 많았다. 셰일 지역은 2, 4년생이, 천매암 및 화강암 지역은 4년생에서 높았다. 상관계수에서 2, 4년생은 정의 상관관계가 셰일 지역이 우세하였고, 3년생의 경우는 화강암 지역이 우세하였다. 평균값의 경우 화강암 지역이 우세하였고, 셰일 지역이 약하였다. 암상에 관계없이 평균값을 포함한 3 지역 모두, Al-Ti 쌍에서 정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타 지역 동일 연생별 성분 비교에서 화강암 지역은 연생이 증가함에 따라 높은 함량의 원소가 많았다. 상대 비에서 2년생은 화강암 지역이, 3년생과 4년생에는 셰일 및 지역이 천매암 지역이 높은 함량을 보였다. 풍화토와 밭토양의 관계에서 전체 풍화토가 화강암 지역 쪽에서 높음을 암시한다. 셰일 지역에서 천매암, 화강암 지역으로 갈수록 1 이상을 보이는 원소가 많아 셰일 지역에 비해 화강암 지역에서 풍화토가 높았다. 토양과 인삼의 성분과의 관계에서 연생에 관계없이 3 지역 공히 평균값에서 전 원소가 인삼보다 토양이 높음을 암시하고, 연생에 관계없이 인삼보다 토양이 Al, Ti는 수 백 배 이상, Mn은 수 십 배 이상 높았다. 동 지역내 연생 차이별 비교(밭토양/인삼 함량)에서 지역별 원소 별 차이가 있었으나 공히 밭토양이 인삼보다 Al, Ti는 수 백 배, Mn은 수 십 배 차이를 보였다. 타 지역 동일 연생 별 비교에서 2, 3, 4년 공히 높은 비율이 셰일 지역의 Na, 천매암 지역의 Mn, 낮은 비율이 셰일지역의 Mg, 화강암 지역의 Al, Mn, Na에서 나타났다. 즉 토양과 인삼 성분 차이가 셰일 지역의 Na, 천매암 지역의 Mn에서 크고, 셰일 지역의 Mg, 화강암 지역의 Al, Mn, Na 에서 작았다.

A study of the inorganic element contents for the ginsengs of Keumsan, Chungnam

  • 송석환
    • 고려인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고려인삼학회 2008년도 춘계 학술대회
    • /
    • pp.74-75
    • /
    • 2008
  • This study is for geochemical relationships between ginsengs and soils from three representative soil types from Keumsan, shale, phyllite and granite. For these study, ginsengs, with the field and weathered soils were collected from the three regions, and are analysed for the major and trace elements. In the weathered soils(avg.), the granite and phyllite areas are high in the most of elements while the shale area is low. In the correlation coefficients, negative correlations are shown in the $Al_2O_3$-MgO pair while positive correlations, are shown in the Ba-Sr, Zr, Sr-Zr and Cs-Ge pairs. In the field soils(avg.), the granite and phyllite areas are, generally, high in the most of elements while the shale area is low. In the shale area, the major elements are high in the 4 year soils, but low in the 2 year soils. The LFS(Ba, Sr, Cs) and transitional elements are high in the 2 year soils, but low in the 4 year soils. The HFS(Y, Zr) is high in the 4 year soils. In the correlation coefficients, most of the elements from the 4 year show positive relationships. Positive correlations are shown in the $Al_2O_3$-CaO, MnO-MgO, V-Tl, and Ba-Sr pairs in all localities. In the ginseng contents, clear chemical differences with the ages are shown in the shale and granite ares, but not clear in the phyllite area. In the shale area Mn, Mg, Ba, Sr, and Y contents, increase with ages but decrease in Al, Cs, Be and Cd. In the correlation coefficients, degrees of the correlations for the major elements become low with the ages. Positive correlations are shown in the Al-Mn, Ti, Mn-Ti, Mg-Ca, Ca-K, Ba-Cs, Y and Cs-Y pairs. Comparisons with ginsengs of the same ages from the different areas suggest that generally, the 2 years in the shale and 3 and 4 years in the granite area are distinctive. Relative ratios(granite/ shale area) of the ginsengs are below 1 in the major elements except Mn in the 2 year ginsengs and above 1 in the other elements except Mg and Na in the 4 year. Relative ratios(granite/ phyllite area) of the ginsengs are high in the 3 year from the phyllite area. In the relative ratios(weathered/field soils) of the soils, numbers of the elements showing the ratios of above 1 increase from the shale, to phyllite and granite in the case of the major elements, but decrease in the case of the trace elements. These results suggest that major elements are high in the granite while trace elements are high in the shale area. In the relative ratios between field soils and ginsengs(field soils/ginseng), the shale area, regardless of the ages, show differences of several hundred times in the $Al_2O_3$, $TiO_2$, Y and Tl, of several ten times in the MnO, MgO and Ba and of several times in the CaO contents. These results suggest that ginseng contents are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e field soils in the $Al_2O_3$, $TiO_2$, Y and Tl, but similar in the CaO contents. The phyllite area, regardless of the ages, show differences of several hundred times in the $Al_2O_3$, $TiO_2$, Y, Tl and Be, of several ten times in the MnO, MgO, $Na_2O$ and Ba, and of several times to ten times in the CaO, $K_2O$ and Sr contents. These results suggest that ginseng contents are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ose of the field soils in the $Al_2O_3$, $TiO_2$, Y, Tl and Be, but similar in the CaO, $K_2O$ and Sr contents. The granite area, regardless of the ages, show differences of several hundred times in the $Al_2O_3$, $TiO_2$, Tl and Be, of several ten times in the Ba, and of several times to ten times in the MgO and CaO contents. Of the other elements, differences of several times to ten times are shown in the MnO, $K_2O$ and Sr contents. These results suggest that ginseng contents are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ose of the field soils in the $Al_2O_3$, $TiO_2$, Tl and Be, but similar in the $K_2O$ and Sr contents. Comparisons among the different ages from the same area suggest that, in the case of shale area, differences of several hundred times in the $Al_2O_3$ and $TiO_2$, of the several ten times in the MnO, MgO and Ba and several times in the CaO and $K_2O$ are shown in the 2 year ginsengs. Differences of several hundred times in the $Al_2O_3$, $TiO_2$, Cs, Y, Tl and Be, of above several ten times in the MnO, MgO, $K_2O$ and Ba, and of several times in the CaO and Sr are shown in the 3 year ginsengs. Differences of several hundred to thousand times in the $Al_2O_3$, of above several hundred times in the $TiO_2$, Cs and Y, and of several ten times in the MnO, MgO, $K_2O$ and Ba, and of several times in the $Na_2O$ are shown in the 4 year ginsengs. These relationships suggest that, regardless of the localities in the shale area, $Al_2O_3$ contents of the soils show big differences from those of the ginsengs. Regardless of the ages of ginsengs, comparisons with the overall average contents of each area show differences of several hundred times in the $Al_2O_3$, $TiO_2$, Cs and Tl and of several ten times in the MnO. These overall relationships suggest that the $Al_2O_3$, $TiO_2$, Cs and Tl contents of the soils are higher than those of the ginsengs, show big differences between two and low different contents are found in the MnO. In detail, differences of several hundred times in the Y, and ten times in the MgO and Sr, and of several times in the CaO, $Na_2O$, $K_2O$ in the case of shale area, are shown.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soils are higher than the ginsengs in the Y and significantly differences in Y, and moderately differences in the MgO and Sr, and low differences in the CaO, $Na_2O$ and $K_2O$ are shown between soils and ginseng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