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ingerol

검색결과 99건 처리시간 0.032초

Antioxidant and Immunoenhancement Activities of Ginger (Zingiber officinale Roscoe) Extracts and Compounds in In Vitro and In Vivo Mouse and Human System

  • Rungkat, F-Zakaria;Nurahman;E Prangdimurt;Tejasari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8권1호
    • /
    • pp.96-104
    • /
    • 2003
  • Ginger (Zingiber officinale Roscoe) is traditionally used as appetite enhancer, improver of the digestive system, antithusive, anti-cold, antipyretic, analgesic, and antiinflammation. In vitro evaluation using human lymphocyte cultures showed almost similar indication with those in in vivo mouse study, NK cell lysing activity was improved significantly. Proliferation activity of B and T cells, and CD3$^{+}$ and CD3$^{+}$CD4$^{+}$T cell subset were better observed using oleoresin or gingerol and shogaol fractions. Although there were higher activities in gingerol, the improvement was almost equal to that by oleoresin. Shogaol did not show better improvement except at higher concentration. It could be concluded that treatment with single bioactive compound, such as gingerol, did not show significant effects compared to oleoresin, the crude extract. In human study, involving healthy male adult, the improvement of NK cell lysing activity was again demonstrated and even more apparent. The mechanism involved in the protection seemed to be through the antioxidant activity of gingerol. However, other mechanism underlying the improvement of NK cell lysing activity must be involved since this improvement seemed to be specifically toward NK cell activity. Since NK cells ave specific for the elimination of virus-infected cell and mutated cells, this positive effect on the immune system are very interesting. This work has also scientifically proved that the traditional beliefs that ginger had preventive effects on common cold appeared to be reasonable.

Quantitative analysis method for zingiber officinale water extract using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 Mohd S. Md Sarip;Nik M.A. Nik Daud;Mohd A. Mohd Zainudin;Lokman H. Ibrahim;Syahrul A. Saidi;Zuhaili Idham;Adilah Anuar
    • Advances in materials Research
    • /
    • 제13권3호
    • /
    • pp.233-241
    • /
    • 2024
  • Quantitative analysis of the Zingiber Officinale sample using subcritical water extraction (SWE) was developed employing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HPLC) to bolster the advancement of this innovative green extraction process. This research focuses on three principal ginger bioactive compounds: 6-gingerol, 6-shagoal, and 10-gingerol. Various stages were undertaken to establish the quantitative analysis method, encompassing the optimisation of HPLC operating conditions and the formulation of standard calibration curves, yielding individual compound equations. A robust correlation within the calibration curve was achieved, exhibiting an r2 value of 0.9814 and an RSD of 5.00%. A simultaneous, swift, and dependable method was established with an injection time of 20 minutes and an 8-minute delay between injections, in contrast to the previous HPLC analysis requiring a 45-minute injection time for detecting and quantifying all components. Notably, no post-treatment was applied after the SWE process. This advancement allows for potential future online measurement of Zingiber Officinale bioactive compounds extracted using subcritical water extraction through this technology.

Effect of Microbial Fermentation on the Sensory Attributes, Gingerol Content and Volatile Components of Ginger

  • Ku, Kyung-Hyung;Lee, Kyung-A;Ko, Min-Seon;Kim, Byeong-Sam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15권4호
    • /
    • pp.322-328
    • /
    • 2010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sensory attributes, gingerol content and volatile components of ginger paste resulting from microbial fermentation. In the ginger samples, a total of eighteen attributes were determined to characterize the sensory attributes from descriptive analysis. These eighteen attributes consisted of the following: one appearance, eight odor/aroma, eight taste, and one aftertaste attribute. The ginger fermented using Lactobacillus plantarum produced a ginger aroma and putrid taste, whereas the sample fermented with Lactobacillus brevis showed a decreased ginger aroma and taste, and generated a lemon flavor. A total gingerol content of fresh and fermented ginger was 100.19 mg% and 89.55 mg%, respectively. Sixty-one volatile components in the fresh and fermented ginger were identified, and constituted eight kinds of monoterpenes, twenty-one kinds of sesquiterpenes, eight kinds of oxygenated monoterpenes and nine kinds of oxygenated sesquiterpenes. The most abundant volatile component identified in the fresh ginger was $\alpha$-gingerberine (26.52%), whereas fermented ginger was increased in its alcohol components.

분자압축탈수 방법과 탈수액을 이용한 건조생강의 품질평가 (Quality Evaluation of Ginger Dried using a Molecular Press Dehydration Method or Employing a Dehydration Liquid)

  • 이현석;김병삼;차환수;권기현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478-486
    • /
    • 2010
  • 최적화된 분자압축 탈수건조 생강에 열풍건조, 동결건조, 재사용 탈수액을 사용한 탈수건조 생강을 비교하여 품질평가를 실시하였다. 품질평가항목은 일반성분, 색도, 수분흡수지수(WAI) 및 수분용해지수(WSI), 총당, 환원당, DPPH 항산화활성 측정, gingerol 함량 측정을 통하여 생강의 품질을 비교하였다. 일반성분의 경우 분자압축 탈수 건조한 생강이 열풍건조 및 동결 건조한 생강보다는 낮았지만 이는 탈수액으로 성분이 용출되는 공정의 특성의 차이로 나타나는 현상이였다. 색도에서는 분자압축 탈수 건조한 생강이 다른 건조조건의 생강보다 원물의 상태의 색을 유지하였다. 수분흡수지수(WAI) 및 수분용해지수(WSI)에서는 열풍 건조된 시료가 수분흡수지수가 가장 높았고 분자압축 탈수 건조한 시료는 표면수분을 적용한 수분함량과 수분활성도에 비교하여 낮게 나타났다. 이 결과를 통하여 판단할 때 분자압축 탈수공정을 적용한 생강이 수분흡수지수(WAI)와 수분용해지수(WSI)에서 우수하다고 판단된다. 총당의 경우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지만 분자압축 탈수 건조한 생강이 비교적 높았다. 환원당은 열풍 건조한 생강시료가 비교적 높았으며 이는 갈변에 영향을 미친다고 판단된다. DPPH를 통한 항산화활성 측정에서 BHA, BHT 보다 낮았지만 다른 건조방법 보다는 분자압축 탈수 건조한 생강이 항산화활성이 높았다. Gingerol 함량 측정은 건조방법에 따라한 건조한 분말을 측정하였으며 동결건조가 가장 우수하였다. 하지만 분자압축 탈수건조한 생강의 경우 다른 건조방법 보다는 낮았지만 탈수액에 형성되는 gingerol이 발생하기 때문에 활용가치와 기능성면에서 우수하다고 판단된다. 이 처럼 모든 품질평가 항목의 결과를 통하여 분자압축 탈수건조가 이전에 열풍건조와 동결건조보다 품질이 우수하고 시설과 가격에서 경쟁적으로 우수하며 활용가치와 기존의 건조방법의 단점을 보완해 주는 건조방법으로 판단이 되어진다.

조직배양생강과 한국재래종 생강의 유효성분 비교 (Comparison of Active Ingredients between Field Grown and In Vitro Cultured Rhizome of Korean Native Ginger (Zingiber officinale Roscoe))

  • 조만현;함인기;이규희;이종국;이가순;박상규;김태일;이은모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404-412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생강의 유효성분을 비교분석하기 위하여 한국재래종생강과 조직배양생강의 일반성분, 무기성분, 유리당, 지방산, 휘발성 성분, 그리고 6-gingerol과 6-shogaol 등을 분석하여 평가하였다. 일반성분(조회분, 조지방, 조단백질, 탄수화물)함량은 한국재래종 생강이 조직배양생강보다 다소 높게 나타났다. 무기성분(Cu, Fe, Mn, Zn) 함량은 조직배양생강이 한국재래종 생강보다 높게 나타났다. 무기성분 중에서 가장 많은 것이 K이었으며, P와 Mg, Na, Ca 순으로 많았다. 유리당(fructose, glucose, sucrose)은 조직배양생강이 한국재래종 생강보다 높게 나타났다. 생강은 C14 미만의 지방산이 주요 지방산이었다. Citral 성분은 한국재래종 생강이 조직배양생강 보다 생강의 고유향이 더 강하게 나타났으며, gingerol 함량은 경정배양에 의하여 증가하였다.

증숙처리에 따른 재래생강 및 중국종자생강의 항산화 및 기능성물질 비교 (Comparison of Antioxidant and Functional Compounds in Korean Conventional and Chinese Seed Ginger (Zingiber officinale Roscoe) Following Steam Treatment)

  • 김수진 ;김종신 ;김민지 ;강지연 ;최현정 ;김소연 ;이하은 ;권태혁 ;강미숙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264-272
    • /
    • 2023
  • 본 연구에서는 재래생강과 중국종자생강 간의 증숙 시간별 총 페놀화합물, 총 플라보노이드, ABTS 및 DPPH 라디칼 소거능, gingerol, shogaol 함량을 비교 분석하였다. 총 플라보노이드와 총 페놀 화합물, ABTS radical 소거능의 경우 대체적으로 증숙 6시간에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다가 그 이상으로 증숙할수록 오히려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생강 중에서는 재래생강인 WO-2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DPPH 라디칼 소거능은 증숙 시간별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생강의 gingerol 함량은 대조군에서 WO-2가 1,351 mg/kg으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냈다. 증숙 시간에 비례하여 gingerol의 함량은 감소하고, shogaol의 함량은 증가하였는데 증숙 8시간에서 WO-2가 생강 중에서도 가장 높았으며, 또한 종자별로도 재래생강이 중국 종자생강보다 shogaol 함량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 재래생강이 중국종자생강보다 기능성 함량이 높음을 확인하였으며 증숙 처리된 재래생강을 활용하여 다양한 식품을 개발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생강 페이스트의 저장중 비효소적 갈색화에 영향을 주는 주요성분 (Major Components Affecting Nonenzymatic Browning in Ginger (Zingiber officinale Roscoe) Paste during Storage)

  • 조길석;김준환;신효선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433-439
    • /
    • 1996
  • Major components affecting nonenzymatic browning in stored ginger paste were investigated using five synthetic model solutions. The model systems were stored at $40^{\circ}C$ for 30 days and analyzed for browning, in addition the contents of sugars, organic acids, ascorbic acids, amino acids and gingerols were determined. Among the chemical components, fructose, asparagine and ascorbic acid were the main contributors to the browning development of ginger paste, while gingerol compounds were browning inhibitors.

  • PDF

한약재 수치에 관한 연구 (VI) -건강과 산약의 수치전.후 지표물질의 함량분석- (Studies on the Processing of Herbal Medicines (VI) -HPLC Analysis of Standard Compounds of Unprocessed-and Processed Herbal Medicines-)

  • 이윤미;김진숙
    • 한국한의학연구원논문집
    • /
    • 제9권2호
    • /
    • pp.69-74
    • /
    • 2003
  • Zingiberis Rhizoma and Dioscoreae Rhizoma were processed according to chinese pharmacopoeia and literatures. The content of 6-gingerol in processed Zingiberis Rhizoma was significantly increased than that of unprocessed one. The content of allantoin in unprocessed Dioscoreae rhizoma through HPLC was $0.32{\pm}0.06%$ and after processing was not significantly decreased to $0.23{\pm}0.12%$.

  • PDF

발효생강의 품질 특성 (Quality Properties of Fermented Gingers)

  • 천용기;정하열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3권3호
    • /
    • pp.249-254
    • /
    • 2011
  • 생강은 다양한 생리활성이 보고되고 있으나 자극적인 향미로 인하여 건강식품 소재로의 사용에는 제약을 받아왔다. 본 연구에서는 낙농제품 및 김치 유래 유산균으로 발효생강을 제조하고 요쿠르트에 첨가하여 관능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건 생강의 첨가는 플레인 요쿠르트의 맛과 전체적 선호도를 저하시켰으며, GSt, GLa, GLm(발효 생강)의 첨가도 저하시키는 경향을 나타낸 반면에 GLp 첨가구는 저하되지 않았다. 또한 모든 발효생강은 제조공정 중 생강의 특징적 향기성분이 감소하여 이들을 첨가한 요쿠루트의 향미에는 유의적인 영향을 주지 않았으므로 GLp 첨가는 건생강을 대신한 건강식품 소재로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한편 생강의 생리활성 성분의 하나인 6-gingerol은 모든 발효생강에서는 발효 전에 비하여 감소하고 6-shogaol은 증가하였으나, GLp 발효생강에서는 6-shogaol 이 거의 검출되지 않은 점이 특이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