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ilt

검색결과 204건 처리시간 0.029초

성별에 따른 버크셔 돈육의 일반성분 및 이화학적 특성 (Proximate Composition and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Berkshire Pork by Gender)

  • 하경희;김일석;진상근;남영욱;조주현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137-141
    • /
    • 2007
  • 본 연구는 버크셔종의 성별에 따른 육질 특성을 파악하고자 실시되었으며, 60일령의 Berkshire 40두를 2 돈방에 암컷과 거세돼지 각각 20두씩 배치하여 출하 시(약 110 kg)까지 비육한 후 도축하여 실험에 공시하였다. 일반성분은 성 간에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pH는 암퇘지보다 거세돼지가 높게 나타났다(p<0.05). 보수력, 가열감량, 전단가 및 콜레스테롤 함량은 성 간에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05). 육색의 밝기를 나타내는 명도는 암퇘지보다 거세돼지가 높게 나타났으나(p<0.05), 적색도와 황색도는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며, 지방색도 성 간에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05). 돈육의 물리적인 특성 중 표면경도, 경도, 검성은 암퇘지보다 거세돼지가 더 낮게 나타났으나(p<0.05), 응집성, 탄력성 및 씹힘성은 성 간에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p>0.05). 종합적으로 볼 때 암퇘지에 비해 거세돼지 육이 pH와 명도가 높고 표면경도, 경도 및 검성이 낮아 부드러운 조직을 나타내었다.

첫 발정과 종부시 체중, 연령, 체형, 등지방 두께 및 스테로이드 호르몬 농도에 미치는 종빈돈 품종의 영향 (Effects of Breeds on Body Weight, Age, Body Conformation, Backfat Thickness and Steroid Hormone Concentrations at First Estrus and Mating of Gilts)

  • 김종상;김홍기;손동수;양창범;이성호;이영주;박창식
    • 한국가축번식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163-167
    • /
    • 2003
  • 본 연구는 미경산돈의 첫 발정과 종부시 품종에 따른 체중, 연령, 체장, 체고, 흉위, 등지방 두께, estradiol-l7$\beta$, cortisol 그리고 progesterone 농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여 앞으로 돼지 번식능력 향상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 공시된 듀록, 랜드레이스, 요크셔 미경산돈은 충남축산위생 연구소 산하 축산시험장에서 2000년부터 2002년까지 생산한 자돈을 선발하고 육성하여 이용하였다 미경산돈의 첫 발정과 종부시 듀록종이 랜드레이스종이나 요크셔종 보다 체중이 더 무거웠고 연령이 많았으며, 흉위도 컸다. 첫 발정과 종부시 체장은 품종간에 차이가 없었고, 체고는 듀록종과 요크셔종이 랜드레이스종에 비하여 높았다. 첫 발정시 등지방 두께는 요크셔종, 듀록종 그리고 랜드레이스종 순으로 얇았으며, 첫 종부시에는 차이가 없었다. 미경산돈의 첫발정시 혈청 estradiol-l7$\beta$의 농도는 랜드레이스종이 45.0 pg/ml로 요크셔종의 27.4pg/ml 이나 듀록종의 21.8 pg/ml 보다 높았으나 첫 종부시에는 18.5-31.9 pg/ml로 품종간에 차이가 없었다. 혈청 cortisol의 농도는 첫 발정과 종부시 듀록종이 랜드레이스종이나 요크셔종에 비하여 높게 나타나 품종간에 차이를 나타내었다. 혈청 progesterone의 농도는 첫 발정과 종부시 품종간에 차이가 없었다.

돈육의 이화학적 품질 특성에 미치는 산삼 배양액 급여 영향 (Effects of Artificial Culture Medium of Wild Ginseng on the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Pork)

  • 진상근;김일석;정현정;김동훈;이제룡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337-342
    • /
    • 2006
  • 본시험은 돼지에 대한 산삼 배양액 급여 효과를 구명하기 위하여 $60{\pm}3kg(126{\pm}3$일령)의 Berkshire 종 암퇘지와 거세돼지 각각 60두씩 총 120두를 선발하여 2(성; 암 vs. 거세)${\times}2$(대조구 vs. 산삼 배양액 첨가구) 'factorial' 실험설계 하에 돈방당 30두씩 4 돈방에 임의로 배치한 다음 약 110 kg($193{\pm}4$일령)까지 70일간 비육 시험을 수행하였다. 이때 대조구는 산삼 배양액을 첨가하지 않은 구로 하였고, 시험구는 산삼 배양액을 1일 1L씩 첨가 음수시켰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처리 간에 암퇘지의 경우 수분 함량, 경도 및 씹힘성은 대조구보다 처리구가 높게 나타났으나, 보수력과 지방의 $L^*$값은 반대로 낮게 나타났다(p<0.05). 처리 간에 거세돼지의 경우 전단가와 육색 $a^*$값이 대조구보다 처리구가 높게 나타나(p<0.05) 산삼 배양액 급여에 따라 조직이 단단해지고 육의 $a^*$값은 향상되나 보수력과 지방의 명도가 낮아지는 단점을 나타내었다. 성별 간에 처리구의 경우 조지방 함량, 지방의 $a^*$$b^*$값, 경도, 응집성 및 씹힘성은 암퇘지보다 거세돼지가 낮게 나타났으나, pH는 반대로 높게 나타나(p<0.05) 암퇘지에 비하여 거세돼지가 조지방 함량은 적고, 조직이 무르나 지방의 $b^*$값은 낮고 pH가 높은 장점을 나타내었다.

재래돼지의 출하체중별 도체수율 및 육질특성 (Carcass Yields and Meat Quality by Live Weight of Korean Native Black Pigs)

  • 조수현;박범영;김진형;김명직;성필남;김영종;김동훈;안종남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9권4호
    • /
    • pp.523-530
    • /
    • 2007
  • 본 연구는 총 127두(암퇘지 30두, 수퇘지 97두) 재래돼지의 출하체중별 도체특성, 부분육 생산율 및 육질특성을 조사하였다. 본 연구에 이용된 재래돼지의 평균 출하체중, 도체율 및 거래정육율은 수컷이 각각 74.69kg, 71.14% 및 61.09%이었고 암컷은 75.5kg, 73.88% 및 56.25 %이었다. 결과적으로 암퇘지가 수퇘지에 비하여 생체중 및 도체율이 약간 높게 나타난 반면에 거래정육율은 수퇘지가 암퇘지와 비교하여 약간 높은 경향을 나타냈으나 성별 그룹간에 유의적인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재래돼지의 일반성분 특성에서 암퇘지 그룹이 수퇘지 그룹보다 높은 지방 함량을 보였으며, 수퇘지에서는 출하체중에 관계없이 지방 함량이 낮은 경향을 나타냈다. 또한 단백질 함량은 출하체중이 증가할수록 암퇘지 및 수퇘지 모두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근내지방 함량이 높은 암퇘지의 경우 동일한 체중그룹에 속하는 수퇘지와 비교하여 전단력이 낮고 보수력이 높은 경향으로 나타났다. 육색에서 암퇘지가 수퇘지와 비교하여 전반적으로 L값(명도), a값(적색도), 및 b값(황색도)이 모두 높은 경향을 나타냈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황색도에서만 암퇘지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p<0.05). 따라서 본 연구결과는 재래돼지의 출하체중과 성별에 따른 적절한 품질인증기준을 설정하는데 중요한 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식육부산물에서의 Chondroitin Sulfate 추출방법간의 비교 (Comparison of Extraction Methods of Chondroitin Sulfate from Meat By-products)

  • 임동균;오동훈;설국환;이무하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9권4호
    • /
    • pp.531-538
    • /
    • 2007
  • 본 연구는 소, 돼지, 닭의 부산물인 신장, 간, 기관으로부터 황산콘드로이틴을 추출하고 추출수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추출조건을 탐색하고자 실시하였다. 추출방법은 일반추출방법, 열수추출방법 및 효소가수분해 추출방법을 이용하였으며 각 추출방법에 따른 수율 및 추출물내의 황산 콘드로이틴의 양을 측정하였다. 추출방법간의 비교에서 일반추출법(대조구) 보다 열수추출과 효소가수분해 추출의 수율이 더 높게 나타났으며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P<0.05). 효소가수분해 추출에서 식육부산물 중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낸 것은 닭 기관, 소 기관, 소 간 순이었다(P<0.05). 모든 추출방법 간에 있어서 소기관의 황산콘드로이틴 함량이 가장 높았으며 효소가수분해 추출방법에 의한 소기관의 황산콘드로이틴 함량이(21.19±1.82) 가장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P<0.05). 추출물의 수율에 영향을 미치는 에탄올에 의한 추출물 분별침전에서는 에탄올 농도가 증가할수록 황산콘드로이틴 수율이 증가하였다. 결론적으로 식육부산물로부터 황산콘드로이틴을 추출하는데 있어 효소가수분해방법이 가장 좋은 결과를 나타내었다.

조선 왕실과 대한제국 황실 어보 보수(寶綬)의 재료학적 분석 (Material Analysis of Bosu of the Royal Seals of the Joseon Dynasty and the Korean Empire)

  • 이혜연;김주영;조문경;김민지;박대우;이정민
    • 보존과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154-166
    • /
    • 2021
  • 조선의 어보는 국가 왕실을 상징하는 인장이다. 보수(寶綬)는 어보에 달린 붉은 끈으로, 어보의 품격을 높여주는 장식의 목적과 취급의 편리를 위해 제작되었다. 보수는 끈목과 방울술로 이루어졌다. 본 연구는 1441년부터 1928년까지 제작된 조선 왕실 및 대한제국 황실 어보의 보수 총 318점을 대상으로 형태 조사, 색상, 재질, 성분 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끈목은 시기가 후반으로 갈수록 길어지고 얇아지는 양상을 보인다. 방울술은 1800년대 중후반부터 방울목이 대부분 사라지고 술 끝에 고리가 나타난다. 보수의 색상은 대부분 다홍색이지만 주황색과 자주색도 확인된다. 보수의 재질은 대부분 실크로 확인되지만 1900년대 제작된 어보의 보수 5점과 1740년대에 제작된 어보의 보수 1점은 레이온으로 추정된다. 1740년대에 제작된 어보의 보수는 1900년대에 교체된 것으로 보인다. 방울술을 장식하는 금지의 주요 성분은 시대에 따라 달라진다. 1800년대 중반까지는 술과 방울에 금(Au)이 주요 성분인 금지를 사용하지만 1800년대 중반 이후부터 술에는 금(Au), 방울에는 황동(Cu-Zn)이 주요 성분인 금지를 사용하다가, 후반 이후 술과 방울에 황동이 주요 성분인 금지를 사용하였다. 보수는 어보의 한 부속품이지만 본 연구를 통하여 시대에 따른 제작 기법과 재질의 변화를 확인할 수 있었다.

비파괴 분석법을 통한 안성 청룡사 금동관음보살좌상 내부구조 및 금박층 조사 (Investigation of the Internal Structure and Gold-thin Layer of the Gilt-bronze Seated Avalokitesvara Bodhisattva at Anseong Cheonryong Temple through the Non-destructive Analysis)

  • 최정은;최학
    • 보존과학회지
    • /
    • 제37권6호
    • /
    • pp.670-678
    • /
    • 2021
  • <안성 청룡사 금동관음보살좌상>을 봉안하고 있는 청룡사(靑龍寺)는 경기도 안성시 서운면 서운산 자락에 있는 사찰이며, 대한불교조계종 제2교구 본사인 용주사의 말사이다. 안성 청룡사 금동관음보살좌상의 바닥면 XRF 분석 결과는 Cu-27.2 wt%, Sn-12.6 wt%, Pb-48 wt%이며, 과거 여러 전란으로 인해 소지금속 성분과 차이가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불상의 내부를 확인하기 위해 감마선(γ-ray, Ir-192)으로 촬영하였으며, 파손된 배면 부분과 후대에 나무로 덧대어 수리한 위치를 확인하였다. γ-ray 촬영 결과와 XRF 분석을 이용하여 확인한 좌, 우의 수리 경계면은 허벅지 중간부터 목 아랫부분까지로 청동과 나무로 분리된다. 안성 청룡사 금동관음보살좌상의 금박 두께를 추정하기 위해 표준시료를 이용해 계산한 결과 얼굴과 가슴과 같은 육신 부분의 금박 두께가 20.7 ㎛와 21 ㎛로 가장 두꺼웠으며, 나무를 소지 재료로 한 부분이 평균 11.9 ㎛, 마지막으로 소지금속이 청동인 부분이 평균 7.4 ㎛로 금박 두께가 가장 얇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