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fp

검색결과 542건 처리시간 0.026초

고콜레스테롤 식이로 유도된 고지혈증 모델 흰쥐에서 새송이 버섯 첨가 어묵의 섭취가 지질 대사 및 효소 활성에 미치는 영향 (Characteristics of Surimi Gel (King Oyster Mushroom and Cuttlefish Meat Paste) on Lipid Metabolism and Antioxidant Status in High-cholesterol-fed Rats)

  • 정수임;김세영;강미영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1권2호
    • /
    • pp.191-195
    • /
    • 2009
  • 본 연구는 새송이 버섯을 첨가하여 만든 어묵이 체내 지질 대사와 효소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수컷 Sprague-Dawley 흰쥐 30마리를 대상으로 고콜레스테롤(1%)첨가 기본식이, 30% 일반어묵 첨가 식이와 40% 새송이 버섯 첨가 오징어 어묵 식이를 급여하였다. 평균 식이 섭취량은 대조군, 일반 어묵군, 새송이 버섯 첨가 오징어 어묵군에 따른 각 군 간의 유의적인 차이는 볼 수 없었다. 체중 증가량과 식이효율은 대조군에 비해 실험군 모두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혈장 중성지질과 총 콜레스테롤, 동맥경화지수(A.I), GOT, GPT 수준은 대조군이 새송이 버섯 첨가 오징어 어묵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HDL-콜레스테롤의 경우 새송이 버섯 첨가 오징어 어묵군이 대조군과 일반 어묵군보다 낮게 나타났고, 간조직의 콜레스테롤 및 중성 지방 농도는 유의적으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혈장과 간조직 TBARS 수준은 대조군보다 새송이 버섯 첨가 오징어 어묵군에서 유의적으로 낮은 수치를 보였다. 항산화 효소 활성도에서 SOD활성도는 대조군과 일반 어묵과의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며, CAT활성도는 대조군보다 새송이 버섯 첨가 어묵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GPx활성도 역시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이 결과들을 종합해 보면, 고콜레스테롤혈증 흰쥐에서의 새송이 버섯 첨가 오징어 어묵은 전반적인 지질대사 개선과 함께 SOD, CAT, GPx와 같은 항산화 효소의 활성을 증가시켜 항산화 방어계에도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냄으로써 앞으로 고콜레스테롤 혈증 예방 등의 혈관 순환기 계통 질병을 예방하기 위한 식품으로써의 활용이 기대된다.

림프절 유래 fibroblastic reticular cell의 효율적 항원처리 관련성에 대한 연구 (Fibroblastic Reticular Cell Derived from Lymph Node Is Involved in the Assistance of Antigen Process)

  • 김민환;이종환
    • 생명과학회지
    • /
    • 제26권9호
    • /
    • pp.1027-1032
    • /
    • 2016
  • 항원은 병원체로부터 유래한 질병인자다. 생명체는 항원에 대항하는 방어계인 면역계를 가지고 있다. 항원은 식세포작용, 항체, 보체 활성화, NK세포 혹은 MHC 분자를 통한 세포독성 T세포와 같은 방법을 통해서 처리된다. 림프절은 스트로마세포와 3차원 네트워크를 통해서 구성되어 있다. Fibroblastic reticular cells (FRC)는 림프절 T zone에서 T세포와 상호작용한다. FRC는 세포외 기질 생산과 homing 케모카인을 생산하여 감염에 대비한다. 하지만, FRC가 항원처리과정에 관련되어있다는 보고는 없다. 본 연구는 FRC의 항원처리 관련성에 대한 연구이다. 이를 위해 FRC는 대식세포, T세포, LPS, 그리고 TNFα와 같은 다양한 감염상황에 노출시켜 연구를 진행하였다. FRC가 대식세포 및 T세포와 공배양 했을 때 FRC가 형태적 변화와 FRC간 빈 공간 형성이 관찰 되었다. MMP 활성은 Y27632와 T세포에 의해 조절 되었다. 더욱이, 염증물질인 TNFα를 FRC에 처리 후 마이크로어레이를 통한 결과에서 부착분자와 MHC I antigen transporter의 발현을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FRC 단일층에 LPS와 대식 세포를 공배양 했을 때 NO 생성력이 크게 향상되었다. GFP antigen을 FRC와 대식세포 공배양군에 처리 했을 때 항원 흡수율이 증가되었다. 이러 결과는 FRC가 항원처리에 관여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하며 이는 림프절이 항원처리과정에 연관되어 있다는 것을 제시한다.

느타리 갓 표면의 소수성이 세균갈색무늬병 발병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Hydrophobicity of Oyster Mushroom on the Severity of Brown Blotch)

  • 이기영;양승업;한종우;윤건식;장후봉;차재순
    • 한국균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69-74
    • /
    • 2010
  • 세균갈색무늬병 병원균의 접종에 의해 심한 병징을 보이는 느타리 균주와 매우 약한 병징을 보이는 균주를 모균주로 선발하고, 각각의 모균주로부터 얻은 단핵균주의 교배를 통해 F1 교잡균주를 얻었다. 세균갈색무늬병 발병도가 다른 11개의 F1균주와 모균주의 자실체 표면의 소수성과 발병도를 조사하였다. 발병도와 소수성 사이의 상관계수는 2번의 독립된 실험에서 각각 0.68과 070이었다. 자실체의 발병도와 버섯재배사에서 조사한 발병율 사이의 상관계수는 각각 046과 0.52이었다. GFP을 발현시킨 Pseudomonas tolaasii을 자실체표면에 접종 후 공초점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 발병도가 낮은 균주의 자실체 표면에서보다 높은 균주의 자실체 표면에서 보다 많은 세균의 집단화가 관찰되었는데, 이 결과는 발병도가 높은 균주의 갓 표면에서 더많은 세균이 증식하였음을 의미한다. 이상의 결과는 느타리 자실체 표면의 소수성이 세균갈색무늬병 발병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암시한다. 즉 세균현탁액 방울이 갓 표면에 오래 유지되면 더 심한 병징이 형성된다.

눈둘레근뒤 지방과 앞사이막 지방 단위의 재배치술을 통한 눈썹하 절제술 (Sub-brow Resection via Relocation of Retro-orbicularis Oculi Fat and Preseptal Fat Unit)

  • 차정호;우상민;김진우;정재학;김영환;선욱
    • Archives of Plastic Surgery
    • /
    • 제38권4호
    • /
    • pp.477-484
    • /
    • 2011
  • Purpose: Retro-orbicularis oculi fat (ROOF) and preseptal fat pad (PSF) are deep fat structures of frontal and supraorbital area, that encounter galeal fat pad (GFP). If galeal wall is weakened by aging process, GFP loses its anchoring structure, moved downward pushing ROOF and PSF. This especially occur in lateral brow area. As a result of drooping, eyebrow affects the eyelid covering PSF as a sac descended to a lateral hooding and ptotic eyelid simultaneously. Consequently, in the case of lateral hooding and brow ptosis, besides the skin, deep fat structures (ROOF and PSF) should be corrected as well. Methods: ROOF-PSF repositioning technique in subbrow resection were performed. 21 cases of patients from April, 2007 to January, 2008. Before surgery, all patients were examined carefully to evaluate the degrees of dermatochalasia, drooping of the eyebrow, marginal reflex distance 1 (MRD1), eyelid crease height. Surgery was performed under local anesthesia, then excised the drooped eyelid skin by lateral subbrow resection, removed proper amount of ROOF, repositioned ROOF-PSF at the supraorbital rim, and fix it on periosteum. During follow up periods, the patients were surveyed of the satisfaction of surgery, and postoperative MRD1 was evaluated. Results: One patient had a hematoma on left eyebrow, and another one patient had a numbness on left forehead for two months. Except for these two patients, all patients had good results without any significant complications. The mean follow up period was about 5 months, and the position of lateral eyebrow maintained above the supraorbital rim in all cases. Postoperatively, MRD1 increased by 0.8 mm in 5-months mean follow up period. Conclusion: In patient with lateral brow ptosis and lateral hooding, the ROOF-PSF repositioning technique in sub-brow resection could be a good operative option.

Pseudomonas syringae pv. tabaci 에서 식물세포접촉에 의한 병원성 유전자의 조절 (Plant Cell Contact-Dependent Virulence Regulation of hrp Genes in Pseudomonas syringae pv. tabaci 11528)

  • 이준승;차지영;백형석
    • 생명과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227-234
    • /
    • 2011
  • Pseudomonas syringae pv. tabaci는 숙주인 담배에 감염하여 들불병(wild fire)을 일으키는 식물 병원성 세균이다. 이 세균의 pathogenicity island (PAI)는 Type III secretion system 및 병원성 유전자들을 암호화하고 있으며, 병원성 조절에 있어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최근 식물 병원성 세균인 Ralstonia solanacearum에서 식물 세포 접촉을 매개로 하여 hrp gene cluster를 양성조절하는 PrhA (plant regulator of hrp) receptor가 발견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P. syringae에서 식물세포에 의해 hrp 유전자가 유도되는지 확인하기 위해, prhA 유사체를 동정하고 PrhA 결실돌연변이주(BL11)를 구축하였다. BL11은 숙주 감염 실험에서 병원성이 현저히 감소하였고, 식물 세포현탁액에서 hrpA 유전자의 발현수준이 hrp 유도배지에서 보다 3배 더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들을 근거로 PrhA가 식물세포접촉에 의한 조절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hrpA-gfp reporter fusion을 사용하여 이를 다시 검증하였다.

분열효모에서 THO 복합체의 구성요소인 Tex1/THOC3가 생장 및 mRNA 방출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ex1/THOC3, a component of THO complex, on growth and mRNA export in fission yeast)

  • 배수정;고은진;윤진호
    • 미생물학회지
    • /
    • 제53권4호
    • /
    • pp.292-296
    • /
    • 2017
  • 진핵생물에서 THO/TREX 복합체는 전사 신장, pre-mRNA 가공 및 mRNA의 핵에서 방출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이 복합체는 진화적으로 잘 보존되어 있지만, 생명체에 따라 구성성분과 기능에 차이가 존재한다. 이 논문에서는 출아효모보다는 고등생물과 더 유사한 분열효모 Schizosaccharomyces pombe에서 THO/TREX 복합체의 한 구성요소인 spTex1가 생장과 mRNA의 방출에 필수적이지 않다는 것을 보였다. spTex1 유전자의 결실과 과발현 어느 것도 생장의 결함과 $poly(A)^+$ RNA가 핵 안에 축적되는 현상을 거의 보이지 않았다. 또한 spTex1-GFP 단백질은 주로 핵 안에 위치하였다. Yeast two-hybrid와 Co-immunoprecipitation 분석에서 S. pombe Tex1은 THO/TREX 복합체의 주요 구성인자인 spHpr1 (THOC1), spTho2 (THOC2)과 상호작용을 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들은 S. pombe의 Tex1도 THO/TREX 복합체의 구성인자이지만, 생장과 mRNA 방출에는 중요한 역할을 하지 않음을 의미한다.

Ginsenoside Rb2 suppresses cellular senescence of human dermal fibroblasts by inducing autophagy

  • Kyeong Eun Yang;Soo-Bin Nam;Minsu Jang;Junsoo Park;Ga-Eun Lee;Yong-Yeon Cho;Byeong-Churl Jang;Cheol-Jung Lee;Jong-Soon Choi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47권2호
    • /
    • pp.337-346
    • /
    • 2023
  • Background: Ginsenoside Rb2, a major active component of Panax ginseng, has various physiological activities, including anticancer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However, the mechanisms underlying the rejuvenation effect of Rb2 in human skin cells have not been elucidated. Methods: We performed a senescence-associated β-galactosidase staining assay to confirm cellular senescence in human dermal fibroblasts (HDFs). The regulatory effects of Rb2 on autophagy were evaluated by analyzing the expression of autophagy marker proteins, such as microtubule-associated protein 1A/1B-light chain (LC) 3 and p62, using immunoblotting. Autophagosome and autolysosome formation was monitored using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Autophagic flux was analyzed using tandem-labeled GFP-RFP-LC3, and lysosomal function was assessed with Lysotracker. We performed RNA sequencing to identify potential target genes related to HDF rejuvenation mediated by Rb2. To verify the functions of the target genes, we silenced them using shRNAs. Results: Rb2 decreased β-galactosidase activity and altered the expression of cell cycle regulatory proteins in senescent HDFs. Rb2 markedly induced the conversion of LC3-I to LC3-II and LC3 puncta. Moreover, Rb2 increased lysosomal function and red puncta in tandem-labeled GFP-RFP-LC3, which indicate that Rb2 promoted autophagic flux. RNA sequencing data showed that the expression of DNA damage-regulated autophagy modulator 2 (DRAM2) was induced by Rb2. In autophagy signaling, Rb2 activated the AMPK-ULK1 pathway and inactivated mTOR. DRAM2 knockdown inhibited autophagy and Rb2-restored cellular senescence. Conclusion: Rb2 reverses cellular senescence by activating autophagy via the AMPK-mTOR pathway and induction of DRAM2, suggesting that Rb2 might have potential value as an antiaging agent.

Construction of a Novel Recombinant Bombyx mori Nuclear Polyhedrosis Virus Producing the Fluorescent Polyhedra

  • Kang, Seok-Woo;Yun, Eun-Young;Woo, Soo-Dong;Goo, Tae-Won;Hwang, Jae-Sam
    • International Journal of Industrial Entomology and Biomaterials
    • /
    • 제3권1호
    • /
    • pp.75-81
    • /
    • 2001
  • We have constructed a novel recombinant Bombyx mori nuclear polyhedrosis virus (BmNPV) producing the green fluorescent polyhedra. For the production of the fluorescent polyhedra, partial polyhedrin gene containing KRKK as nuclear localization site from the BmNPV polyhedrin gene and the green fluorescent protein (gfp) gene were introduced under the control of p10 promoter of BmNPV. The recombinant BmNPV was stably produced fluorescent polyhedra in the infected Bm5 cells and the morphology of the fluorescent polyhedra was similar to that of wild-type BmNPV. The fluorescent polyhedra had 32 kDa native polyhedrin and 41 kDa fusion protein. From these data, we have further developed a novel BmNPV p10-based transfer vector producing recombinant polyhedra with foreign gene Product. The novel BmNPV P10-based transfer vector is composed of partial polyhedrin gene, factor Xa, and multiple cloning sites.

  • PDF

Screening of Promoters from Metagenomic DNA and Their Use for the Construction of Expression Vectors

  • Han, Sang-Soo;Lee, Jin-Young;Kim, Won-Ho;Shin, Hyun-Jae;Kim, Geun-Joong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8권10호
    • /
    • pp.1634-1640
    • /
    • 2008
  • This study was focused on the screening of valuable genetic resources, such as promoters from metagenome, and describes a promoter trapping system with a bidirectional probe concept, which can select promoters or operons from various biological resources including metagenomic DNA. A pair of reporters, GFP and DsRed, facing the opposite direction without promoters, is an effective system that can function regardless of the direction of inserted promoters. The feasibility of this system was tested for the isolation of constitutively expressed promoters in E. coli from a soil metagenome, resulting in a potential pool of various promoters for practical application. The analyses of structural organization of the trapped genes demonstrated that constitutively expressible promoters in E. coli were broadly distributed within the metagenome, and suggested that some promoters were useful for the construction of expression vectors. Based on these observations, three constitutive promoters were employed in the expression vector system and their potentials for practical application were evaluated in terms of expression level, protein solubility, and effects on host growth.

Thermostable ${\beta}$-Glycosidase-CBD Fusion Protein for Biochemical Analysis of Cotton Scouring Efficiency

  • Ha, Jae-Seok;Lee, Young-Mi;Choi, Su-Lim;Song, Jae-Jun;Shin, Chul-Soo;Kim, Ju-Hea;Lee, Seung-Goo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8권3호
    • /
    • pp.443-448
    • /
    • 2008
  • Multidomain proteins for the biochemical analysis of the scouring efficiency of cotton fabrics were constructed by the fusion of a reporter moiety in the N-terminal and the cellulose binding domain (CBD) in the C-terminal. Based on the specific binding of the CBD of Cellulomonas fimi exoglucanase (Cex) to crystalline cellulose (Avicel), the reporter protein is guided to the cellulose fibers that are increasingly exposed as the scouring process proceeds. Among the tested reporter proteins, a thermostable ${\beta}$-glycosidase (BglA) from Thermus caldophilus was found to be most appropriate, showing a higher applicability and stability than GFP, DsRed2, or a tetrameric ${\beta}$-glycosidase (GUS) from Escherichia coli, which were precipitated more seriously during the expression and purification steps. When cotton fabrics with different scouring levels were treated with the BglA-CBD and incubated with X-Gal as the chromogenic substrate, an indigo color became visible within 2 h, and the color depth changed according to the conditions and extent of the scour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