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estational Hypertension

검색결과 28건 처리시간 0.035초

산모의 비만정도에 따른 고위험 질환 발생요인 분석 (Analysis on the Occurrence Factors of High-Risk Diseases of Pregnant Women by the Degree of Obesity)

  • 김수민;예수영
    • 융합신호처리학회논문지
    • /
    • 제19권3호
    • /
    • pp.118-124
    • /
    • 2018
  • 임신 중 비만은 다양한 합병증을 증가시키고, 출산 시 여러 가지 문제를 유발한다. 그러나 이러한 비만인 산모가 임신중 부정적인 영향을 받는 요인들에 대한 종합적인 분석은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산모의 신체질량지수를 이용하여 비만 정도에 따른 고위험 질환의 일곱 가지 발생요인들의 영향을 분석하고자 한다. 임신 중 정기검진을 받은 산모 279명을 대상으로 산모의 비만정도를 신체질량지수로 분류하고 산모의 신체질량지수와 임신성 고혈압, 임신성 당뇨, 갑상선자극호르몬과의 유의성을 판단하기 위해 차이분석을 실행하였다. 또한 산모의 나이, 신장기능, 총콜레스테롤, 신생아몸무게와 어떠한 연관성이 있는지 파악하기 위해 회귀분석을 실행하였다. 그 결과, 산모의 비만정도가 높을수록 고혈압 산모, 당뇨산모, 이상갑상선수치를 가진 산모의 비율이 높게 나타났으며 산모의 신체질량지수와 나이, 총콜레스테롤, 신생아몸무게와는 양의 상관관계, 신장기능수치와는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How Well Do U.S. Primary Care and Obstetrics and Gynecology Clinicians Screen for Pregnancy Complications at Well Woman Visits? A Retrospective Cohort Study

  • Eli D. Medvescek;Sorana Raiciulescu;Andrew S. Thagard;Katerina Shvartsman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56권2호
    • /
    • pp.190-195
    • /
    • 2023
  • Objectives: Pregnancy complications, including pre-eclampsia, gestational diabetes (GDM), and perinatal mood and anxiety disorders (PMADs), impact long-term health. We compared the frequency of screening documentation for pregnancy complications versus a general medical history at well woman visits between providers in primary care and obstetrics and gynecology. Methods: We conducted a retrospective cohort study of subjects with at least 1 prior birth who presented for a well woman visit in 2019-2020. Charts were reviewed for documentation of a general medical history (hypertension, diabetes, and mood disorders) versus screening for comparable obstetric complications (pre-eclampsia, GDM, and PMADs). The results were compared using the McNemar and chi-square tests as appropriate. Results: In total, 472 encounters were identified, and 137 met the inclusion criteria. Across specialties, clinicians were significantly more likely to document general medical conditions than pregnancy complications, including hypertensive disorders (odds ratio [OR], 2.45; 95% confidence interval [CI], 1.18 to 5.48), diabetes (OR, 7.67; 95% CI, 3.27 to 22.0), and mood disorders (OR, 10.5; 95% CI, 3.81 to 40.3). Obstetrics and gynecology providers were more likely to document any pregnancy history (OR, 4.50; 95% CI, 1.24 to 16.27); however, they were not significantly more likely to screen for relevant obstetric complications (OR, 2.49; 95% CI, 0.90 to 6.89). Overall, the rate of pregnancy complication documentation was low in primary care and obstetrics and gynecology clinics (8.8 and 19.0%, respectively). Conclusions: Obstetrics and gynecology providers more frequently documented a pregnancy history than those in primary care; however, the rate was low across specialties, and providers reported screening for clinically relevant complications less frequently than for general medical conditions.

Maternal and fetal outcomes of pregnancies in kidney donors: A 30-year comparative analysis of matched non-donors in a single center

  • Yoo, Kyung Don;Lee, Hajeong;Kim, Yaerim;Park, Sehoon;Park, Joong Shin;Hong, Joon Seok;Jeong, Chang Wook;Kim, Hyeon Hoe;Lee, Jung Pyo;Kim, Dong Ki;Oh, Kook-Hwan;Joo, Kwon Wook;Kim, Yon Su
    • Kidney Research and Clinical Practice
    • /
    • 제37권4호
    • /
    • pp.356-365
    • /
    • 2018
  • Background: Woman kidney donors face obstetric complication risks after kidney donation, such as gestational hypertension and preeclampsia. Studies on childbirth-related complications among Asian women donors are scarce. Methods: This retrospective cohort study included woman donors aged 45 years or younger at the time of kidney donation in a single tertiary hospital between 1985 and 2014. Pregnancy associated complications were investigated using medical records and telephone questionnaires for 426 pregnancies among 225 donors. Matched non-donor controls were selected by propensity score and the maternal and fetal outcomes were compared with those of donors. Primary outcomes were differences in maternal complications, and secondary outcomes were fetal outcomes in pregnancies of the donor and control groups. Results: A total of 56 cases had post-donation pregnancies. The post-donation pregnancies group was younger at the time of donation and older at the time of delivery than the pre-donation pregnancies group, and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primary outcomes between the groups except the proportion receiving cesarean section. Comparison of the complication risk between post-donation pregnancies and non-donor matched control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gestational hypertension, preeclampsia, or composite outcomes after propensity score matching including age at delivery, era at pregnancy, systolic blood pressure, body weight, and estimated glomerular filtration ratio (odds ratio, 0.63; 95% confidence interval, 0.19-2.14; P = 0.724). Conclusion: This study revealed that maternal and fetal outcomes between woman kidney donors and non-donor matched controls were comparable. Studies with general population pregnancy controls are warranted to compare pregnancy outcomes for donors.

체외수정 후 출산한 쌍태아의 임상적 고잘 (The Clinical Outcome of Twin Pregnancies after IVF)

  • 한명석;박은구슬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34권3호
    • /
    • pp.173-178
    • /
    • 2007
  • 목 적: 체외수정으로 출산한 쌍태아와 자연임신으로 출산한 쌍태아 간의 산과적 결과의 차이를 비교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2000년 1월부터 2005년 6월까지 출산한 146건의 쌍태아에 관한 산과적 기록을 검토한 후, 출생 시 재태연령이 24주 이상이며 체외수정으로 임신한 72건을 연구군 (체외수정군), 자연임신한 51건을 대조군 (자연임신이군)으로 나누어 연구를 시행하였다. 결 과: 두 군 간에 산모 연령, 출산 시 재태 연령, 태아체중 등의 차이는 없었지만, 임신성 고혈압과 임신성 당뇨의 발생 위험도는 체외수정군에서 높았다 (OR 2.59; 95% CI 1.01$\sim$6.66). 20% 이상 태아 체중 차이와 같은 성의 쌍태아 발생의 위험도는 체외수정군에서 낮았다 (OR 0.37; 95% CI 0.14$\sim$0.96, OR 0.45; 95% CI 0.21$\sim$0.99). 결 론: 본 연구의 결과로는 체외수정으로 출생한 쌍태아는 자연임신으로 출생한 경우보다 태아 체중 차이의 빈도 및 같은 성 출생의 빈도가 낮았다.

Adverse pregnancy outcomes with assisted reproductive technology in non-obese women with polycystic ovary syndrome: a case-control study

  • Han, Ae-Ra;Kim, Hye-Ok;Cha, Sun-Wha;Park, Chan-Woo;Kim, Jin-Yeong;Yang, Kwang-Moon;Song, In-Ok;Koong, Mi-Kyoung;Kan, Inn-Soo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38권2호
    • /
    • pp.103-108
    • /
    • 2011
  • Objective: To investigate adverse pregnancy outcomes in non-obese women with polycystic ovary syndrome (PCOS) compared with obese-PCOS and control groups. Methods: Women with PCOS who underwent assisted reproductive technology (ART) from August, 2003 to December, 2007, were considered. A total of 336 women with PCOS were included in the study group and 1,003 infertile women who had tubal factor as an indication for ART were collected as controls. They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a non-obese PCOS group, obese-PCOS group, non-obese tubal factor group, and obese tubal factor group, with obesity defined by a body mass index over 25 kg/$m^2$, and reviewed focusing on the basal characteristics, ART outcomes, and adverse pregnancy outcomes. Results: There was no difference among the groups' the clinical pregnancy rate or live birth rate. Regarding adverse pregnancy outcomes, the miscarriage rate, multiple pregnancy rate, and prevalence of preterm delivery and pregnancy induced hypertension were not different among the four groups. The incidence of small for gestational age infant was higher in the PCOS groups than the tubal factor groups ($p$ <0.02). On the other hand, the morbidity of gestational diabetes mellitus (GDM) was not high in the non-obese PCOS group but was in the obese groups. And in the obese PCOS group, the newborns were heavier than in the other groups ($p$ <0.02). Conclusion: Non-obese PCOS presents many differences compared with obese PCOS, not only in the IVF-parameters but also in the morbidity of adverse pregnancy outcomes, especially in GDM and fetal macrosomia.

기관지 폐 이형성증을 가진 극소 저체중 출생아에서 폐고혈압증 (Pulmonary Hypertension Secondary to Bronchopulmonary Dysplasia in Very Low Birth Weight Infants (<1,500 g))

  • 유혜수;김묘징;강지만;이차곤;김진규;안소윤;김은선;허준;장윤실;강이석;박원순;이흥재
    • Neonatal Medicine
    • /
    • 제18권1호
    • /
    • pp.96-103
    • /
    • 2011
  • 목적: 극소 저체중 출생아에서 폐고혈압증은 기관지 폐 이형성증의 대표적인 심폐관련 합병증으로 높은 사망률과 합병증과 연관되어 있으나, 이에 대한 연구는 드문 실정이다. 이에 본 저자들은 기관지 폐 이형성증을 가진 극소 저체중 출생아에서 폐고혈압증의 유병률, 경과 및 치료뿐 아니라 예후 및 이와 관련된 인자들에 대해 확인해 보고자 하였다. 방법: 2000년 1월부터 2007년 7월까지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삼성서울병원 신생아 집중치료실에 입원한 출생 체중 1,500g 미만 환아 865명 중 28일 이상 산소 치료를 필요로 하였던22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심장 초음파 검사상 삼첨판 역류 속도 3 m/s 이상이 확인되면서, 우심실 비대 혹은 심실 중격이 평형함이 관찰되는 경우를 폐고혈압으로 진단하였으며, 이들을 대조군과 비교하였다. 환아들의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여, 인구학적, 주산기 인자, 합병증, 사망률을 비교하였으며, 폐고혈압증을 가진 환아 중 사망군과 생존군으로 나누어 이들의 특성 및 관련인자를 분석하였다. 결과: 기관지 폐 이형성증을 가진 VLBWI 218명 중 14명(6%)에서 폐고혈압증이 발생하였으며, 모두 중등도 이상의 기관지 폐 이형성증에서 발생하였다. 폐고혈압증은 평균 생후 133일(40-224일)에 진단 받았으며, 중증 기관지 폐 이형성증, 부당 경량아, 외부 환아는 폐고혈압증 발생과 관련된 인자이다. 기관지 폐 이형성증에서 발생한 폐고혈압증의 사망률은 57%이며, 중증 기관지 폐 이형성증은 사망의 중요한 원인이다. 생존한 환아에서 회복되는데 까지 걸리는 시간은 평균 3개월이었다 결론: 극소 저체중 출생아에서 기관지 폐 이형성증과 관련된 폐고혈압증은 높은 사망률 및 합병증을 보이며, 이들의 발생 및 예후는 기관지 폐 이형성증 정도와 연관성이 있다. 이들의 조기진단을 위해 중등도 이상의 기관지 폐 이형성증 환아에서 정기적인 선별검사 및 퇴원 이후에도 장기간 지속적인 추적 관찰이 필요하다.

임부의 염분 기호도와 식이섭취, 소디움 섭취 실태 (Salt Preference and Sodium Intake among Pregnant Women)

  • 임미정;조동숙
    • 여성건강간호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297-307
    • /
    • 2016
  • Purpose: This study was to estimate salt preference and sodium intake of pregnant women, and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salt preference and sodium intake. Methods: Research design was a cross sectional correlational survey with 197 pregnant women who visited outpatient clinics for antenatal care. The sodium intake levels were estimated by the amounts of sodium intake using the 24-hour recall method and sodium concentration in spot urine.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and Pearson's correlation. Results: Sodium intake using 24-hour recall method was $3,504{\pm}1,359mg$. Sodium intake levels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depending on income. The average amount of sodium in spot urine was $2,882{\pm}878mg/day$. Sodium excretion levels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depending on whether participants had preexisting hypertension in their family history and Body Mass Index (BMI) pre-conception. Salt preference was $62.61{\pm}20.96$ out of 180 points. Salt preference had significant differences depending on income, parity, gestational age, BMI pre-conception and showed negative correlation with sodium quantity in spot urine. Conclusion: Sodium intake in pregnant women recommended by World Health Organization recommended is 175%. Salt preference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sodium intake levels, however it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sodium quantity in spot urine among pregnant women.

What is body underweight?

  • Beeram, Eswari;Eshita, Ishrat Rafique
    • 식품보건융합연구
    • /
    • 제5권5호
    • /
    • pp.33-36
    • /
    • 2019
  • Arginine is one of the basic aminoacid found to be associated with histones and also one of the essential aminoacids now. Arginine is provided by diet, and also found to be synthesised in the body through intestinal-renal axis. Justification---BMI---Associated Risks-How to gain body weight---Healthy. Foods to Gain Weight Fast---High-Protein Vegetables and Fruits(with Image)-Recipes---Physical exercises-List of fruits and vegetables grown in Bangladesh with local names, English names and Botanical names-taxonomic family names. Arginine as drug was first approved by FDA and has recognised as a excellent dietary supplement for curing diseases like preeclampsia during gestation, diabetes and insulin resistance in obese patients. Preeclampsia is characterised by high blood pressure and proteinuria in gestational period of after 20 weeks. Severe preeclampsia is characterised by headaches, blurred vision, and inability to have high photovision, nausea and vomiting. L-Arginine along with Vit C and E are given as medical food to the patients and decrease in condition symptoms is the project now under phase II clinical trial. However the role of arginine in ameolirating preeclampsia symptoms is uncertain except with that of hypertension. Arginine is used to treat pain in sickle cell anaemia, lung damage, reperfusion injury, Trauma and shock but should be excluded during sepsis.

자궁 내 성장지연으로 인한 부당 경량아의 혈액학적 특징 (Hematologic Characteristics of Intrauterine Growth Restricted Small for Gestational Age Infants)

  • 김순주;조일현;조연수;윤영아;이주영;이현승;이정현;성인경;김소영
    • Neonatal Medicine
    • /
    • 제18권2호
    • /
    • pp.248-256
    • /
    • 2011
  • 목적: 부당 경량아와 자궁 내 성장 지연을 혼동하여 사용하고 있다. 실제 부당 경량아 중 약 70% 정도는 기질적으로 작게 태어난 경우로 자궁 내 성장 지연으로 인한 부당 경량아에 비해 주산기 합병증의 위험이 거의 없다. 그러나 자궁 내 성장 지연으로 인한 부당 경량아를 구별할 수 있는 뚜렷한 방법은 아직 없다. 저자들은 자궁 내 성장 지연의 위험 인자 중 모체의 고혈압, 당뇨병에 초점을 맞춰 고혈압 및 당뇨병 산모의 부당 경량아와 자궁내 성장 지연의 위험 요인을 발견할 수 없었던 부당 경량아를 대상으로 모체의 질환에 따른 임상적 특징과 혈액학적 특징을 비교해 보고 부당 경량아의 출생 시 자궁 내 성장 지연의 정도 및 예후를 예측하는 데 도움이 되고자 본 연구를 계획하였다. 방법: 2007년 1월부터 2010년 7월까지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과 여의도 성모병원에서 출생한 부당 경량아 중 모체의 고혈압, 당뇨 이외의 자궁 내 성장 지연의 위험 인자를 가진 환아를 모두 제외한 163명을 대상으로 의무 기록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여 임상적 소견, 혈액학적 소견을 기록하였다. 대상군을 모체의 질환에 따라, 재태 연령에 따라, 재태 연령과 모체의 질환을 함께 고려하여 세가지 방법으로 분류하여 비교하였다. 결과: 모체의 질환별로 전체 부당 경량아를 분류하였을 때 예후, 임상적 특징은 큰 차이가 없었으나 고혈압 산모에서 출생한 부당 경량아에서 백혈구와 혈소판이 유의하게 낮았으며 (P=0.004, P=0.003) 혈소판 수치는 재원 기간과 관련성이 있었다. 미숙아 부당 경량아와 만삭아 부당 경량아를 재태 연령과 출생 체중을 보정하여 비교하였을 때에도 미숙아 부당 경량아에서 백혈구와 혈소판이 유의하게 낮았다(P <0.001, P <0.001). 그러나 미숙아 부당 경량아를 모체의 질환에 따라 비교하였을 때에는 이러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결론: 백혈구와 혈소판 수의 감소와 자궁 내 성장 지연의 발생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자궁 내 성장 지연아의 이학적 소견과 이러한 혈액학적 특징을 함께 고려한다면 자궁 내 성장 지연을 진단하는 데에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분당 차병원에서 출생한 신생아 혈압치 비교 (Blood Pressure of Healthy Newborns in the First Week of Life)

  • 이정선;박신이;박혜원;김세현;하태선;이준호
    • Childhood Kidney Diseases
    • /
    • 제9권1호
    • /
    • pp.8-14
    • /
    • 2005
  • 목 적 : 정상 만삭아의 혈압을 측정하여 우리나라 신생아의 평균혈압을 알고 기존의 참고치로 사용되고 있는 외국 자료와 비교하고 신생아 고혈압 선별에 도움이 되고자 이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 : 2003년 5월부터 2004년 1월까지 포천 중문의과대학교 분당차병원에서 출생한 건강한 신생아 중 남아(194명), 여아(189명) 총 383명을 대상으로 진동식 자동 혈압계로 1-3회 측정하여 총 773회를 혈압치를 수집하였다. 전체 대상아의 평균 혈압과 성별 간, 분만 방법 간, 이상 병력의 유무(산모 질환, 주산기 과거력이나 단일제대 동맥 중 하나라도 있는 경우)에 따른 혈압의 차이를 구하고 출생체중과 재태기간에 따른 수축기 혈압의 변화를 알아보았다. 결 과 : 전체 대상아 383명의 수축기 혈압은 70.8$\pm$10.9 mmHg, 이완기 혈압은 43.4$\pm$8.0mmHg 이었다. 성별 간 비교에서는 남아의 수축기 혈압은 71.1$\pm$11.4 mmHg, 이완기 혈압은 43.6$\pm$8.2 mmHg, 여아의 수축기 혈압은 70.5$\pm$10.3 mmHg, 이완기 혈압은 43.2$\pm$7.7 mmHg로 성별 간 혈압의 통계학적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05). 분만 방법의 차이에 따른 혈압의 비교에서는 혈압 측정한 날을 수정하여 비교한 결과 제왕절개를 한 군과 질식분만을 한 군 간의 혈압은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05).이상 병력의 유무에 따른 혈압의 비교로는 이상 병력이 있는 군은 72명으로 수축기 혈압이 71.5$\pm$12.3 mmHg, 이완기 혈압이 43.4$\pm$8.5 mmHg이었으며, 이상 병력이 없는 311명의 신생아는 수축기 혈압이 70.6$\pm$10.5 mmHg, 이완기 혈압이 43.4$\pm$7.9 mmHg로 두 군 간 통계학적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05). 또한 출생체중과 재태기간이 증가할수록 수축기 혈압은 상승하였다.(r=0.1420, 0.0360)결 론 : 본 연구에서 건강한 신생아 383명을 대상으로 혈압을 측정한 결과 기존의 외국 데이터와 유사하였고, 이를 토대로 신생아 고혈압의 조기선별하고 치료를 시작하여 그 주요 원인이 되는 신질환 합병증의 예방과 신기능의 유지에도움이 되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