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erontology

검색결과 107건 처리시간 0.02초

microRNA-200a-3p enhances mitochondrial elongation by targeting mitochondrial fission factor

  • Lee, Heejin;Tak, Hyosun;Park, So Jung;Jo, Yoon Kyung;Cho, Dong Hyung;Lee, Eun Kyung
    • BMB Reports
    • /
    • 제50권4호
    • /
    • pp.214-219
    • /
    • 2017
  • Mitochondria play pivotal roles in the ATP production, apoptosis and generation of reactive oxygen species. Although dynamic regulation of mitochondria morphology is a critical step to maintain cellular homeostasis, the regulatory mechanisms are not yet fully elucidated. In this study, we identified miR-200a-3p as a novel regulator of mitochondrial dynamics by targeting mitochondrial fission factor (MFF). We demonstrated that the ectopic expression of miR-200a-3p enhanced mitochondrial elongation, mitochondrial ATP synthesis, mitochondrial membrane potential and oxygen consumption rate. These results indicate that miR-200a-3p positively regulates mitochondrial elongation by downregulating MFF expression.

Effects of sleep deprivation on coronary heart disease

  • Wei, Ran;Duan, Xiaoye;Guo, Lixin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and Pharmacology
    • /
    • 제26권5호
    • /
    • pp.297-305
    • /
    • 2022
  • The presence of artificial light enables humans to be active 24 h a day. Many people across the globe live in a social culture that encourages staying up late to meet the demands of various activities, such as work and school. Sleep deprivation (SD) is a severe health problem in modern society. Meanwhile, as with cardiometabolic disease, there was an obvious tendency that coronary heart disease (CHD) to become a global epidemic chronic disease. Specifically, SD can significantly increase the morbidity and mortality of CHD. However, the underlying mechanisms responsible for the effects of SD on CHD are multilayered and complex. Inflammatory response, lipid metabolism, oxidative stress, and endothelial function all contribute to cardiovascular lesions. In this review, the effects of SD on CHD development are summarized, and SD-related pathogenesis of coronary artery lesions is discussed. In general, early assessment of SD played a vital role in preventing the harmful consequences of CHD.

치매 경험, 사회적 지지가 치매 태도에 미치는 영향: 건강정보 이해능력 조절 효과를 중심으로 (The Moderating Effect of Health Literacy on The Association between Dementia Experience, Social Support and Dementia Attitude)

  • 신혜리;김수경;이현주;조시울;맹성호;김영선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11호
    • /
    • pp.701-714
    • /
    • 2020
  • 본 연구는 노인의 치매 경험, 사회적 지지와 치매 태도의 관계를 검증하고 나아가 두 변수 간의 관계에서 건강정보 이해능력의 조절 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K대학교 『2016년 치매이해능력 설문조사』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60-79세의 노인 529명을 최종 분석대상자로 선정하였다. 연구모형 검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치매 경험과 치매 태도의 인지적 영역, 정서 및 행동적 영역 모두 정적인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회적 지지는 치매태도의 인지적 영역과 부적인 연관성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정서 및 행동적 영역은 정적인 연관성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조절변수인 건강정보 이해능력은 치매 태도의 인지적 영역과는 정적인 연관성을 나타내었으며 정서 및 행동적 영역과는 부적인 유의미한 결과를 가졌다. 마지막으로 건강정보 이해능력은 사회적 지지와 치매 태도의 인지적 영역 간의 관계를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치매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를 확립하기 위한 건강정보 이해능력의 주요한 시사점을 제시하고 있다.

한국노년학회 40년간의 학술활동 분석: 노인정책의 변화와 세계노년학·노인의학회(IAGG) 학술동향을 중심으로 (Academic Activities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for Four Decades: An Analysis Related to Trends in Aging Policy and Activities of the International Association of Gerontology and Geriatrics)

  • 정순둘;한동희;김홍수
    • 한국노년학
    • /
    • 제38권3호
    • /
    • pp.783-799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노년학회의 40년간 주요 학술활동을 한국노인정책의 변화와 세계노년학 노인의학회(IAGG)의 학술동향에 맞춰 분석해 보고, 향후 노년학회의 학술발전 방향을 제시하는 것이다. 연구방법은 먼저 한국노년학회의 주요학술활동을 각 연도별 학술대회자료집과 문헌을 중심으로 개괄적으로 살펴본 후 한국노인정책의 변화를 통한 한국노년학회의 학술활동은 조선일보, 한겨레 신문검색과 한국언론진흥재단의 빅카인즈 검색을 통해 찾은 각 제도별 자료를 연도별로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다음으로 IAGG의 학술활동을 통한 한국노년학회의 학술활동은 학술대회 개최연도를 중심으로 국제기구의 노인관련 주요 아젠다를 포함하여 비교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지난 40년간 한국노년학회는 다양한 학술활동을 국내외의 노인정책 변화에 민감하게 대응하면서 다학제적으로 혹은 국제적으로 활발하게 진행해 온 것으로 나타났다. 그럼에도 노년학회 구성원의 다양성 결여로 다루어지지 못했던 중요한 주제도 있었으며, 하나의 주제를 심도있게 지속적으로 논의하지 못했던 점도 지적될 수 있다. 향후 한국노년학회는 한국의 대표적 노인관련 학회로서 다학제적 학문적 특성을 살려 한국의 노인정책을 선도함은 물론 국제학회 및 기구들과의 연대를 통해 활발한 학술활동을 해 나가야 할 것이다.

스마트폰 이용이 은퇴 노인의 구조적 사회관계망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martphone Use on Structured Social Network Types among Retired Older Adults in South Korea)

  • 엄사랑;최은영;조성은;최인정;김영선
    • 한국노년학
    • /
    • 제38권3호
    • /
    • pp.481-499
    • /
    • 2018
  • 본 연구는 은퇴 이후 노인의 스마트폰 이용이 구조적 사회관계망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14년 노인실태조사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전체 자료 중 은퇴한 노인 4,180명을 대상으로 성향점수매칭(Propensity Score Matching)을 실시한 결과, 최종 분석에는 총 982명(스마트폰 이용자 491명, 피처폰 이용자 491명)이 선정되었다. 이후 t-test와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이용하여 스마트폰 이용과 구조적 사회관계망의 관계를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 스마트폰을 이용하는 은퇴 노인은 일반 피처폰을 이용하는 은퇴 노인에 비해 통계적으로 높은 수준의 구조적 사회관계망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스마트폰을 이용하는 경우, 일반 피처폰을 이용하는 것보다 높은 빈도의 사회접촉과 높은 수준의 사회활동을 보였다. 본 연구는 스마트폰이 구조적 사회적관계망에 주는 긍정적인 효과에 대해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는 학문적 의의를 가지며, 은퇴한 노인들의 구조적 사회관계망을 증진시키고 적극적 사회참여를 장려하는 실천적 개입에 중요한 기초자료로서 활용될 수 있다.

중고령자의 디지털 이용태도가 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온라인 네트워크 활동과 디지털 정보생산·공유활동의 직렬다중매개효과 분석 (Impact of attitude towards digital usage on life satisfaction of middle age and older adults: Sequential Mediation analysis in online networking activity and digital information production·sharing activities)

  • 김수경;윤희정;이대겸;신혜리;김영선
    • 한국노년학
    • /
    • 제40권1호
    • /
    • pp.131-146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중고령자의 디지털 이용태도와 생활 만족도 간의 관계를 살펴보고, 온라인 네트워크 활동과 디지털 정보생산·공유활동의 직렬다중매개효과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주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Hayes(2013)의 PROCESS for SPSS Macro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디지털이용태도와 생활 만족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계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둘째, 중고령자의 디지털 이용태도가 온라인 네트워크 활동을 경유해 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보다 디지털 이용태도가 온라인 네트워크 활동을 거쳐 디지털 정보생산·공유활동을 경유한 후 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이 .0291단위만큼 유의하게 더 크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는 중고령자의 디지털 이용태도와 생활 만족도, 온라인 네트워크 활동, 디지털 정보생산·공유활동 간의 관계를 통합적으로 살펴봄으로써 중고령자의 디지털 이용 및 생활 만족도 제고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는 점에 의의를 가진다.

생활과학대학 중심의 노인생활복지 연계전공 프로그램 개발 (Developing an Interdisciplinary Program for the Aged Living Welfare in College of Home Economics)

  • 김영희;박경옥;이희숙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419-435
    • /
    • 1999
  • The purpose of this article was to develop an interdisciplinary program for the aged living welfare in College of Home Economics. This program was developed through the analysis of gerontology curriculum in Korea, Japan, and America, and survey research with social workers who were working in the welfare institutes for the elderly in Korea. Moreover, an interdisciplinary program for the aged living welfare was designed based on the professional role of elderly care and the scope of educational context which were identified. Particular note was that this program could be most effectively implemented in the College of Home Economics. Recommendations for the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the program were highlighted.

  • PDF

노인에 대한 지식과 경험 증가가 대학생의 노인지각에 미치는 영향 (Changing University Students Perceptions Toward the Aged: Effects of Knowledge and Experience of the Elderly)

  • 박경란;이영숙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37-51
    • /
    • 200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university students′ perceptions about the elderly before and after an introductory course for gerontology. Sixty-two male and female undergraduate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study as a part of the course requirement. Throughout the semester, theme students received a series of classroom lectures on gerontology, as well as participated in diverse activities to experience elderly lives. A survey was administered with the students at the beginning of the first day of class and at the end of the semester. By the end of the unit university students were more likely to have accurate conceptions of and positive attitudes toward aging and the aged. More specifically, they were more likely to (1) perceive "old" and "getting old" as a positive one, (2) seem older adults spend their time on active self-development and social activities, (3) view older adults are important, (4) change opinions about what an old person and young person do together, and (5) have a positive outlook on their own future lives as older adults.

노인의 성격특성이 자아존중감 및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Personality Traits on Self-Esteem and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 정종현;최수일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9권8호
    • /
    • pp.47-61
    • /
    • 2011
  •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influential relation among personality traits, self-esteem and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and to analyze the differences in the conceptual variables according to demographic factors. The survey was conducted from January 10 to February 20 in 2011, and the participants were 282 seniors over the age of 60 in Gangwon province areas. As a result, the personality traits of the elderly were classified into openness, agreeableness, conscientiousness, neuroticism, and extraversion. There were parti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personality traits, self-esteem and life satisfaction according to demographic factors. The personality traits such as openness, agreeableness, conscientiousness, and extraversion had a positive impact on self-esteem and satisfaction of positive life. The neuroticism of personality traits had a negative impact on satisfaction of positive life, while it had a positive impact on satisfaction of negative life.

Effect of Different Kinds of Ginseng Saponin on the Immunity of Young and Old Mice

  • Huo, Yu-Shu;Liu, Ping;Masanori Utsuyama;Hirokawa Katuoku
    • 고려인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고려인삼학회 1998년도 Advances in Ginseng Research - Proceedings of the 7th International Symposium on Ginseng -
    • /
    • pp.281-288
    • /
    • 1998
  • Ginseng saponin from different part of Ginseng and 7 kinds of ginsenosides effect on immnotuncition of young and old mice. There have up-regulation effect in vivo and in vitro experiments for low function of old mice, but not up-regulation effect at normal immuno-function of young mice. That means "Adaptogens" of Ginseng saponin. Not appositions effect at Pg1 and Rb1 and have find, that effect relations with molecular weight of ginsenosides.senoside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