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ermination energy

검색결과 122건 처리시간 0.023초

입묘율 향상을 위한 담배종자의 SMP 처리 (SMP Treatment of Tobacco Seeds to Improved Stand Establishment)

  • 김영신;신주식
    • 한국연초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47-52
    • /
    • 2003
  •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examine effect by Solid Matrix Priming(SMP) ; method far enhanced rapid and uniform seedling emergence in tobacco seed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No enhancement of germination rate was by SMP treatment. In KF114 during 9 days treatment and in KB108 during 7 days treatment, germinative energy was highest, and T50 and mean germination time were the shortest. Cells in embryo and hypocotyl were divided and extended during SMP treatment. The contents of fatty acid were increased in SMP treatment. The changes of glucose content were little.

방사선 조사된 콩류의 선별 검지를 위한 발아특성 확인 (Identification of Germination Properties for the Screening of Gamma-irradiated Beans)

  • 오경남;강은경;박춘란;양재승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4권6호
    • /
    • pp.1002-1006
    • /
    • 2002
  • 본 연구는 콩류의 방사선 조사 여부를 검지하기 위해서 생물학적 방법인 발아법으로 확인하였다. 콩류는 대두, 강남콩, 그리고 팥으로 0.1, 0.3, 0.5, 0.7, 1.0 kGy의 조사선량으로 방사선 조사하고 5일 동안 뿌리의 길이를 측정하여 방사선 조사에 의한 발아 특성을 살펴보았다. 모든 시료는 5일 동안 지속적인 길이 성장을 하였지만, 방사선 조사에 의해서 길이 성장이 억제되어 발아 3일째 부터는 뿌리길이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대두와 팥은 발아 2일째, 강낭콩은 발아 3일째 비조사 시료와 조사 시료간에 1 cm 단위의 길이 차이를 보였다. 발아 5일째는 조사선량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는 경향이었지만 0.5 kGy 이상 조사 시료간에는 유의적인 길이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또한 모든 시료에서 4일부터 길이 성장정도가 현저히 낮아지고 발아 5일 동안 비조사 시료의 성장정도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콩류의 방사선 조사 여부는 발아 5일 동안 뿌리 길이의 유의적인 길이 성장과 비조사 시료와 조사 시료들의 성장정도를 측정함으로써 방사선 조사 여부의 선별검지가 가능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수박의 착과절위가 종자 발아 및 유묘활력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Fruit Set Internode on Seed Germination and Seedling Vigor in Watermelon)

  • 박은지;이규빈;박영길;서정민;강점순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4권12호
    • /
    • pp.1673-1679
    • /
    • 2015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fruit set internode on the germination of watermelon seeds. Generally fruits setted in higher than 20 internode were high percent of germination, fruit setted in low internode(5-10) is low. The higher fruit-set internode, fruit weight was significantly increased, but 1,000 seed weight was decreased the more fruit set internode. However number of seed was about 300 seeds irrespective of fruit-set internode. Investigating viability of seed by BP test, general percent germination was recorded highest at 5 flower cluster above 20 internode of fruit-set internode. In contrast, condition of fruit setted on 3, 4, 6 flower cluster were high percent of germination, regarded as unnormal germination not to be as normal seedling by 2~3%. Seed harvested at 5 flower-cluster had high viability on hypocotyl height and diameter of seedling through early growth test, but were not significant. Therefore 5 flower-cluster was optimum fruit-set internode to obtain high-quality seed.

한국, 일본에서 수집한 들깨와 차조기의 재배형 및 잡초형들의 종자발아 변이 (Variation of Seed Germination Among Cultivated and Weedy Types of Perilla Crop in Korea and Japan)

  • 정지나;유창연;김종화;이주경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4권3호
    • /
    • pp.270-278
    • /
    • 2009
  • 본 연구는 우리나라와 일본에서 재배 및 이용하고 있는 들깨, 차조기 그리고 이들 잡초형 69 계통들에 대하여 종자 특성 및 종자발아 변이에 대한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재배형 들깨에서 측정된 100립중은 0.177 g에서부터 0.402 g까지의 범위였고, 종자경도는 대부분의 계통들이 잘 부스러지는 부드러운 특성을 지니고 있었으나, 일부 계통들은 잘 부스러지지 않는 딱딱한 특성을 지니고 있었다. 반면에 잡초형 들깨에서 측정된 100립중은 0.045 g에서부터 0.172 g까지의 범위였고, 종자경도는 모든 계통들이 잘 부스러지지 않는 딱딱한 특성을 지니고 있었다. 2. 재배형 차조기에서 측정된 100립중은 0.054 g에서부터 0.101 g까지의 범위였고, 잡초형 차조기에서 측정된 100립중은 0.059 g에서부터 0.135 g까지의 범위였으며, 그리고 이들의 종자경도는 모든 계통들이 잘 부스러지지 않는 딱딱한 특성을 지니고 있었다. 3. 실온 및 $28^{\circ}C$ 항온조건의 발아율 조사에서 수확 후 1개월째에서는 들깨의 잡초형 그리고 차조기의 재배형 및 잡초형 계통들은 대부분이 50% 이하의 낮은 발아율을 나타내었으나, 재배형 들깨의 일부 계통들이 50% 이상의 발아율을 나타내었다. 그리고 2개월 및 3개월이 경과한 상태에서 들깨의 재배형 및 잡초형 그리고 차조기의 재배형 및 잡초형 계통들은 50% 이상의 발아율을 나타내는 계통들이 많이 나타났다. 4. 들깨와 차조기 작물의 재배형 및 잡초형 계통들에서의 평균발아율 및 평균발아세는 수확 후 1개월째에서 가장 낮고 수확 후 3개월째에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또한 실온 및 $28^{\circ}C$ 항온조건에서의 발아율과 발아세는 $28^{\circ}C$ 항온조건 보다는 실온조건에서 비교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저장 및 발아 온도조건에 따른 황기 종자의 발아 특성 (The Germination Characteristics of Seed by Storage and Germination Temperature in Astragalus membranaceus)

  • 최재후;이재근;성은수;유지혜;김철중;이기혜;안영섭;박충범;임정대;유창연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21권6호
    • /
    • pp.461-465
    • /
    • 2013
  • This study was investigated to evaluate germination rate of Astragalus membranaceus B. in Korea as affected by storage temperature, germination temperature and storage period of seed. The highest germination rate was obtained from condition of $25^{\circ}C$ in germination temperature. Seeds were stored at $-20^{\circ}C$ and $5^{\circ}C$ for 8 weeks has showed higher germination rate than one at room temperatures. The germination rates showed significantly difference by harvested year of 2010, 2011 and 2012. The seed of A. membranaceus in harvested year of 2011 and 2012 had germinated well. On the other hand, seeds in harvested year of 2010 were not nearly germinated. Consequently, the longer storage period after seed harvest lower germination rate and seed vigor as well.

Allopathic Effect of Black Locust (Robinia pseudoacacia L.) and Analysis for Its Allelochemicals

  • Lee, Chul;Park, Ju-Yong;Kim, Jung-Hee;Park, Young-Goo
    • 임산에너지
    • /
    • 제22권3호
    • /
    • pp.11-19
    • /
    • 2003
  • 아까시나무에 있어서 알레로파시 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아까시나무를 포함하여 13개 수 종에 대한 종자발아 시험을 실시하였다. 아까시나무의 뿌리와 잎의 침출액을 실험에 사용하였다. 침출액에 대한 종자 발아실험 결과 수종에 따라 실험결과가 크게 다르게 나타났다. 아까시나무 잎 침출액에서 아까시나무 종자 발아는 30%가 억제되었다. 실험한 수종가운데 무궁화와 오리나무는 뿌리 침출액에서 억제되었으나 누운측백나무는 잎의 침출액에서 발아가 억제되었다. 아까시나무의 잎과 뿌리 침출액을 HPLC분석 한 결과 알레로파시 효과를 가지고 있는 8종류의 authentic phenolic compounds를 찾아냈다. 잎에서는 전체 페놀물질 중 40%를 차지하고 있는 gentisic acid를 뿌리에서는 syringic acid와 vanillicacid를 발견하였다. 전체적으로 볼 때 뿌리에서.보다 잎에서 7배가 많은 phenolic acids가 추출되었다 조사된 8개 phenolic acid 중에서 뿌리에서는 vanillin만이 잎에서는 coumaricacid 만이 발견 되었다. 결과적으로 13수종 중에 3개 수종에서 잎과 뿌리의 침출액에서 종자 발아가 억제되었다. 종자발아 시험결과 아까시나무의 화학물질의 상호작용은 수종에 따라 차이가 많이 있음을 밝혀냈다. 아까시나무의 phenolic compound 총량은 알레로파시 역할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이들 물길의 상승효과가 주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추정 하였다.

  • PDF

들깨, 차조기의 재배형 및 잡초형 계통들의 종자발아 특성 (Characteristics of Seed Germination Among Accessions of Cultivated Perilla Crop and Their Weedy Types)

  • 김진아;사규진;김은지;마경호;유창연;이주경
    • 한국육종학회지
    • /
    • 제43권4호
    • /
    • pp.288-296
    • /
    • 2011
  • 본 연구는 우리나라에서 자생 및 재배되고 있는 들깨와 차조기의 재배형 및 잡초형 계통들에 대하여 종자발아에 대한 변이 양상을 구명하기 위해 재배형 들깨 102계통, 잡초형 들깨 41계통 그리고 잡초형 차조기 19계통들에서 측정된 종자발아율 및 발아세는 다음과 같다. 1. 재배형 들깨는 저온처리 조건에서 1%에서 99%의 발아율을 나타내어 평균 $73%{\pm}24$를 나타내었으나, 비저온처리 조건에서는 0%에서 98%의 발아율을 나타내어 평균 $45%{\pm}26$를 나타내었다. 잡초형 들깨는 저온처리 조건에서 0%에서 97%의 발아율을 나타내어 평균 $41%{\pm}38$를 나타내었으나, 비저온처리 조건에서는 0%에서 71%의 발아율을 나타내어 평균 $22%{\pm}26$를 나타내었다. 잡초형 차조기는 저온처리 조건에서 0%에서 51%의 발아율을 나타내어 평균 $9%{\pm}14$를 나타내었으나, 비저온처리 조건에서는 0%에서 9%의 발아율을 나타내어 평균 $1%{\pm}2$를 나타내었다. 2. 재배형 들깨는 저온처리 조건에서 0%에서 97%의 발아세를 나타내어 평균 $63%{\pm}28$를 나타내었으나, 비저온처리조건에서는 0%에서 98%의 발아세를 나타내어 평균 $35%{\pm}25$를 나타내었다. 잡초형 들깨는 저온처리 조건에서 0%에서 93%의 발아세를 나타내어 평균 $33%{\pm}36$를 나타내었으나, 비저온처리 조건에서는 0%에서 62%의 발아세를 나타내어 평균 $17%{\pm}21$를 나타내었다. 잡초형 차조기는 저온처리 조건에서 0%에서 38%의 발아세를 나타내어 평균 $5%{\pm}10$를 나타내었으나, 비저온처리 조건에서는 0%에서 3%의 발아세를 나타내어 평균 $0%{\pm}1$를 나타내었다. 3. 재배형 들깨의 경우 102계통들 중 50% 이상의 발아율을 나타낸 계통들은 저온처리 및 비저온처리 조건에서 각각 86계통(84.3%)과 45계통(44.1%)를 나타내었으며, 50% 이상의 발아세를 나타낸 계통은 저온처리 및 비저온처리조건에서 각각 71계통(69.6%)과 31계통(30.4%)를 나타내었으며, 이들 중에서 저온처리 조건에서 28계통들은 90% 이상의 발아율을, 그리고 13계통들은 90% 이상의 발아세를 나타내었다. 반면에 잡초형 들깨의 경우 41계통들 중 50% 이상의 발아율을 나타낸 계통들은 저온처리 및 비저온처리 조건에서 각각 19계통(46.3%)과 9계통(22%)를 나타내었으며, 50% 이상의 발아세를 나타낸 계통은 저온처리 및 비저온처리 조건에서 각각 14계통(34.1%)과 5계통(12.2%)를 나타내었으며, 이들 중에서 저온처리 조건에서 5계통들은 90% 이상의 발아율을, 그리고 1계통은 90% 이상의 발아세를 나타내었다. 한편 잡초형 차조기의 경우 19계통들 중 저온처리 조건에서 단지 1계통(5.3%)만 50%이상의 발아율을 나타내었으며, 50% 이상의 발아세를 나타낸 계통은 전혀 없었고, 대부분의 계통들은 10% 이하의 발아율과 발아세를 각각 나타내었다. 이상과 같이 본 연구결과는 오늘날 우리나라에서 자생 및 재배되고 있는 들깨와 차조기 작물의 재배형 및 잡초형 계통들에 대하여 수확 직후 이들 작물에서 종자발아 특성을 이해하는데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것으로 생각된다.

Effect of Pre-sowing Treatments on Seed Germination and Seedling Growth of Canarium resiniferum, A Rare Native Tree of Bangladesh

  • Hasnat, G.N. Tanjina;Hossain, Mohammed Kamal;Alam, Mohammed Shafiul;Hossain, Md. Akhter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33권3호
    • /
    • pp.226-232
    • /
    • 2017
  • Dhup (Canarium resiniferum) is an economically and aesthetically important rare native tree species of Bangladesh. In natural condition 78.5-98.7% seeds do not germinate due to inhibition by hard seed coat, seed predation and unfavorable environmental conditions. A study was conducted in the Seed Research Laboratory and nursery of Institute of Forestry and Environmental Sciences, Chittagong University, Bangladesh in 2013 to find out appropriate pre-sowing treatments for maximizing germination and initial seedling growth. Eleven pre-sowing treatments were provided in both the seeds sown in polybags and seeds sown in propagator house. Results revealed that, germination started at first (after 20 days of seed sown) in seeds immersed in water at room temperature for 24 hours and germination completed within 38 days. Significantly higher (p<0.05) germination percentage (33%), germination energy (16.7%), plant percent (33%) and germination value (0.4) was found with seeds immersed in water at room temperature for 24 hours. Seedling height measured at three, four and five months after the seed germination in case of seeds treated by immersion in water for 24 hours was also greater than others. Therefore, pre-sowing treatment by immersion in water at room temperature for 24 hours was more effective in germination and production of quality vigor seedlings of Dhup.

피복재료 및 종자의 크기가 겉뿌림 목초의 생육특성에 미치는 영향 (Seed Coating Material and Seed Size Effects on Agronomic Characteristics of Over Sown Pasture Species)

  • 김종관;권찬호;김동암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67-76
    • /
    • 2000
  • 본 시험은 1997년 연암축산원예대학 부속실험목 장에서 석회, zeolite 및 rock phosphate의 조합비율과 피복 종자의 크기를 달리 하였을 때 목초의 발아 및 초기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피복한 tall fescue 및 orchardgrass의 발아세 및 발아율은 피복하지 않은 종자에 비하여 낮았다. Tall fescue 피복종자의 발아율은 석 회 70 %와 rock phosphate 15% 처리구에서 가장 높았다. 그리고 피복종자의 크기는 소형 (직경 2 mm 이하)이 중형 (직경 2~3 mm)과 대형 (직경 3 mm 이상)에 비하여 발아율이 높게 나타났다. 한편 orchardgrass 피복종자의 발아율에 서는 석회 55%와 rock phosphate 30% 처리구가 다른 피복 처리구에 비하여 높았다. 한편 피복종자의 크기는 소형이 대형과 중형보다는 발아울이 높았다 (p<0.05). 피복한 alfalfa 및 bridsfoot trefoil 종자의 말아세 및 발아율은 피복하지 않은 종자에 비하여 낮았다 Alfalfa의 피복종자 중에서는 석회 70%와 rock phosphate 15% 및 석회 45%와 rock phosphate 55% 처리구가 다른 피복 종자보다 발아율이 높았다. 피복종자의 크기간에는 중형이 소형과 대형보 다 발아율이 높았다 (p<0.05). 한편 birdsfoot trefoil의 피복종자 중에서는 석회 45%와 rock phosphate 40% 처리구가 다른 피복종자에 비하여 발아세와 발아율이 높았다. 피복한 tall fescue 및 orchard grass의 정착률과 초기생 육은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으나 피복처리구 중에서는 두 초종 모두 석회 45%와 rock phosphate 40% 처리구가 가장 높았다 (p<0.05). Alfalfa의 경우도 정착률과 초기생 육은 처리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나 피복처리구 중에서는 석회 75%와 rock phosphate 10% 처리구의 정착률과 초기생육이 각각 46.4% 및 $72.6\;g/\textrm{m}^2$으로 가장 높았다(p<0.05). Birdsfoot trefoil은 피복 처리구 중에서는 석회 55%와 rock phosphate 30% 처리구의 정착률과 초기생육이 각각 46.4% 및 $44.6\;g/\textrm{m}^2$으로 가장 높았다 (p<0.05) 이상의 연구결과를 종합해 볼 때 피복종자의 발아율은 초종 마다 약간의 차이가 있으나 rock phosphate를 증가 시키고 석회를 감소시킬 때 증가하며, 종자의 크기는 alfalfa를 제외하고는 소형종자 (직경 2 mm 이하)가 발아율이 높은 것으로 생각된다. 한편 정착률과 초기생육은 화본과 목초에서는 rock p phosphate를 중가 시키고 석회를 감소시킬 때 증가 할수 있다.

  • PDF

저선량 감마선 조사가 파종자의 발아에 비치는 영향 (The Acceleration of Germination in Welsh Onion Seed Irradiated with the Low Dose ${\gamma}-ray$ Radiation)

  • 이은경;김재성;이영근;이영복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346-351
    • /
    • 1998
  • 방사선 hormesis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저선량의 방사선을 조사한 후 파종자의 발아양상을 비교하였다. 흥농종묘(주)에서 분양받은 1997년산 '온천'파종자는 대조구에 비해 저선량의 방사선이 조사구에서 약 10%정도 증가된 발아율 양상을 보였으며, 기내배양에서도 마찬가지로 8 Gy 조사구에서 약 10%정도 증가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중앙종묘(주)로부터 분양받은 1992년산 '석창외대'파종자의 경우 대조구에서는 약 42.7%의 발아율을 보인 반면 4Gy가 조사된 처리구에서는 약 78.0%까지 발아율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반적으로 최적의 비옥토양에서 보다는 비경작지에서 방사선 유익효과가 증가되는 양상을 보였다. 흡습지에서의 발아율 양상은 대조구의 발아율이 22%로 매우 저조한 반면, 1 Gy 조사구에서는 38%까지 발아율이 증가되어 약 16%정도 증가율을 보였다. Paper towel을 이용한 발아율 실험에서 역시 1Gy 조사구에서 발아율이 증가되는 경향을 보였는데 역시 대조구에 비해 1 Gy 조사구에서 약 10% 정도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 발아율이 증가되었던 저선량 방사선 조사구의 전기전도도를 조사해 본 결과 대조구에 비해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결론적으로 1Gy에서 10Gy정도의 저선량 방사선 수준에서 파종자의 발아율 증가효과가 나타나는 것으로 사료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