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erm cell

검색결과 525건 처리시간 0.027초

Menadione Sodium Bisulfite-Protected Tomato Leaves against Grey Mould via Antifungal Activity and Enhanced Plant Immunity

  • Jo, Youn Sook;Park, Hye Bin;Kim, Ji Yun;Choi, Seong Min;Lee, Da Sol;Kim, Do Hoon;Lee, Young Hee;Park, Chang-Jin;Jeun, Yong-Chull;Hong, Jeum Kyu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36권4호
    • /
    • pp.335-345
    • /
    • 2020
  • Tomato grey mould has been one of the destructive fungal diseases during tomato production. Ten mM of menadione sodium bisulfite (MSB) was applied to tomato plants for eco-friendly control of the grey mould. MSB-reduced tomato grey mould in the 3rd true leaves was prolonged at least 7 days prior to the fungal inoculation of two inoculum densities (2 × 104 and 2 × 105 conidia/ml) of Botrytis cinerea. Protection efficacy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leaves inoculated with the lower disease pressure of conidial suspension compared to the higher one. MSB-pretreatment was not effective to arrest oxalic acid-triggered necrosis on tomato leaves. Plant cell death and hydrogen peroxide accumulation were restricted in necrotic lesions of the B. cinereainoculated leaves by the MSB-pretreatment. Decreased conidia number and germ-tube elongation of B. cinerea were found at 10 h, and mycelial growth was also impeded at 24 h on the MSB-pretreated leaves. MSB-mediated disease suppressions were found in cotyledons and different positions (1st to 5th) of true leaves inoculated with the lower conidial suspension, but only 1st to 3rd true leaves showed decreases in lesion sizes by the higher inoculum density. Increasing MSB-pretreatment times more efficiently decreased the lesion size by the higher disease pressure. MSB led to inducible expressions of defence-related genes SlPR1a, SlPR1b, SlPIN2, SlACO1, SlChi3, and SlChi9 in tomato leaves prior to B. cinerea infect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MSB pretreatment can be a promising alternative to chemical fungicides for environment-friendly management of tomato grey mould.

Identification and gene expression profiling of chicken Pumilio family, Pum1 and Pum2

  • Lee, Jee-Young;Kim, Duk-Kyung;Zheng, Ying-Hui;Kim, Sun-Young;Kim, Hee-Bal;Lim, Jeong-Mook;Han, Jae-Yong
    • 한국가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가금학회 2005년도 제22차 정기총회 및 학술발표회
    • /
    • pp.64-65
    • /
    • 2005
  • Pumilio 유전자는 생식 세포의 발달과 분화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알려져 있다. 우리는 이러한 Pumilio family인 Pum1, Pum2 유전자를 닭에서 클로닝하여 그 Pumilio homology domain의 구조와 단백질 염기서열이 초파리, 생쥐, 인간과 유사하다는 것을 밝혔고 이를 통해 이 유전자가 진화적으로 보존되어 있다는 것을 증명하였다. 또한 닭의 Pum1과 Pum2 genome 구조 역시 생쥐와 인간 Pum 유전자들의 구조와 일치하는 것을 보여주었다. Real-time RT-PCR 결과 닭의 배아의 여러 조직들 중 Pum1과 Pum2 유전자 모두 부화한 암컷 생식선에서의 발현 수준이 유의적으로 높았고, 특히 Pum2 유전자의 경우 부화한 병아리의 생식선뿐만이 아니라 12일령의 생식선에서도 발현 수준이 높았다. 결과적으로, 다른 동물에서 알려진 바와 같이 닭에서도 Pumilio 유전자들이 생식선 발달에 관여할 가능성이 크다는 것을 알수 있다.

  • PDF

Diffusion Weighted Imaging Can Distinguish Benign from Malignant Mediastinal Tumors and Mass Lesions: Comparison with Positron Emission Tomography

  • Usuda, Katsuo;Maeda, Sumiko;Motono, Nozomu;Ueno, Masakatsu;Tanaka, Makoto;Machida, Yuichiro;Matoba, Munetaka;Watanabe, Naoto;Tonami, Hisao;Ueda, Yoshimichi;Sagawa, Motoyasu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6권15호
    • /
    • pp.6469-6475
    • /
    • 2015
  • Background: Diffusion-weighted magnetic resonance imaging (DWI) makes it possible to detect malignant tumors based on the diffusion of water molecules. It is uncertain whether DWI is more useful than positron emission tomography-computed tomography (PET-CT) for distinguishing benign from malignant mediastinal tumors and mass lesions. Materials and Methods: Sixteen malignant mediastinal tumors (thymomas 7, thymic cancers 3, malignant lymphomas 3, malignant germ cell tumors 2, and thymic carcinoid 1) and 12 benign mediastinal tumors or mass lesions were assessed in this study. DWI and PET-CT were performed before biopsy or surgery. Results: The apparent diffusion coefficient (ADC) value ($1.51{\pm}0.46{\times}10^{-3}mm^2/sec$) of malignant mediastinal tumors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2.96{\pm}0.86{\times}10^{-3}mm^2/sec$) of benign mediastinal tumors and mass lesions (P<0.0001). Maximum standardized uptake value (SUVmax) ($11.30{\pm}11.22$) of malignant mediastinal tumor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2.53{\pm}3.92$) of benign mediastinal tumors and mass lesions (P=0.0159). Using the optimal cutoff value (OCV) $2.21{\times}10^{-3}mm^2/sec$ for ADC and 2.93 for SUVmax, the sensitivity (100%) by DWI was not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93.8%) by PET-CT for malignant mediastinal tumors. The specificity (83.3%) by DWI was not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66.7%) for benign mediastinal tumors and mass lesions. The accuracy (92.9%) by DWI was not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82.1%) by PET-CT for mediastinal tumors and mass lesions. Conclusion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diagnostic capability of DWI and that of PET-CT for distinguishing mediastinal tumors and mass lesions. DWI is useful in distinguishing benign from malignant mediastinal tumors and mass lesions.

한국 서해산 수컷 대맛조개, Solen grandis의 정자형성과정의 미세구조적 연구 및 생식주기 (Ultrastructural Study of Spermatogenesis and Reproductive Cycle of Male Razor Clam, Solen grandis on the West coast of Korea)

  • 정의영;박갑만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2권1호
    • /
    • pp.101-109
    • /
    • 1998
  • 1993년 1월부터 12월까지 한국 서해 군산시 오식도 조간대에서 채집한 대맛조개를 대상으로 정자형성과정 및 생식주기를 조직학적 및 투과형전자현미경으로 조사하엿다. 대맛조개(Solen grandis)는 자웅이체이다. 본 종의 완숙정자의 형태 구조는 다른 이매패의 정자들이 갖는 원시형(primitive type)으로 작은 두부와 한 개의 두모첨체를 가지며, 편모축사를 둘러싸고 있는 4개의 미토콘드리아로 이루어진 짧은 중편을 갖는 것이 관찰되었다. 완숙정자 두부의 길이는 대략 2 \mu m정도였고, 정자 미부의 길이는 약 20 \mu m 정도였다. 정자 미부 편모의 axoneme은 중앙의 2개의 미세소관(microtubule)과 주변에 위치한 9쌍의 미세소관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본 종의 방정기는 6월과 7월 사이로써 주된 방정시기는 해수수온이 20 \circ C 이상 상승하는 7월에 일어났다. 생식주기는 초기활성기 (12-1월), 후기 활성기 (1-3월), 완숙기 (3-8월), 부분방정기 (6-7월), 퇴화 및 비활성기 (8-12월)의 연속적인 5단계로 구분할 수 있었다.

  • PDF

Feeding Effect of an Anabolic Steroid, Nandrolone, on the Male Rat Testis

  • Lee, Dong-Mok;Min, Tae-Sun;Choi, In-Ho;Cheon, Yong-Pil;Chun, Tae-Hoon;Park, Chang-Sik;Lee, Ki-Ho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3권12호
    • /
    • pp.1566-1577
    • /
    • 2010
  • Nandrolone, 19-nortestosterone, is a synthetic androgenic-anabolic steroid promoting muscle growth. Nandrolone is also present in pig meat and sera at non-negligible levels. A number of scientific reports have suggested a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incidence of infertility and increased meat consumption in humans. The present study was designed to determine out the effect of feeding nandrolone on the testis of the male reproductive tract. Mixtures of food and nandrolone at different concentrations (0.005 ppm and 0.5 ppm) were supplied to pubertal male rats for 6 weeks. Body weight was recorded every week during the entire experimental period. At the end of the treatment, the testis, epididymis, and epididymal fat were collected and weighted. Sperm numbers in the caudal epididymis were counted. Differential gene or protein expression of steroidogenic enzymes in the testes among experimental groups was determined by semi-quantitative real-time PCR or western blotting analysis, respectively. Histological changes of the testis induced by nandrolone treatment were examined by hematoxylin and eosin staining. Immunohistochemical analysis was employed to detect changes in the localization of steroidogenic enzymes in the testes among experimental animals. There were no significant changes on body, testis, epididymis, and epididymal fat weights among experimental groups. A significant increase of caudal sperm number was found in the 0.5 ppm nandrolone-treated group. Histological examination of the testes noted a high frequency of germ cell sloughing in seminiferous tubules of 0.5 ppm nandrolone-treated rats. Even though transcript levels of $3{\beta}$-hydroxysteroid dehydrogenase (HSD) I, $17{\beta}$-HSD4, and $17{\alpha}$-hydroxylase were influenced by nandrolone treatments, protein levels of all molecules examined in the present study were not significantly affected. Immunohistochemical analysis showed no visible changes in the localization of steroidogenic enzymes in the testes among experimental groups. The current study showed that oral intake of nandrolone in male rats for 6 weeks did not cause significant damage to the testis. It is considered that a feeding effect of nandrolone on male fertility would not be remarkable.

Early Gonadogenesis and Sex Differentiation in the Korean Rose Bitterling, Rhodeus uyekii

  • Goo, In Bon;Kim, Jung Eun;Kim, Myung Hun;Choi, Hye-Sung;Kong, Hee Jeong;Lee, Jeong Ho;Park, In-Seok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20권4호
    • /
    • pp.289-296
    • /
    • 2016
  • This report describes the sex differentiation of the Korean rose bitterling, Rhodeus uyekii, from hatching to 170 days post-hatch (DPH) in relation to total length (TL), body weight (BW), and integral water temperature (IWT). The growth curve of TL from just hatching to 83 DPH was $5.144e^{0.045t}$ ($R^2=0.961$; t, time), and that of BW was $2.398e^{0.086t}$ ($R^2=0.725$). Primordial germ cells (PGCs) were observed at 17 DPH (7.9 mm TL, 3.74 mg BW, $374^{\circ}C$ IWT), and thereafter began to protrude into the peritoneal cavity. At 21 DPH ($9.2{\pm}0.14mm$ TL, $4.8{\pm}0.07mg$ BW, $462^{\circ}C$ IWT), some PGCs contained condensed chromatin and oocyte were observed in meiotic prophase. In contrast to the ovaries, which grew gradually after sexual differentiation, testes began multiplying at 25 DPH (10.1 mm TL, 5.42 mg BW, $550^{\circ}C$ IWT), when testicular differentiation was first identified, and multiplied continuously thereafter. At 33 DPH (11.2 mm TL, 10.5 mg BW, $726^{\circ}C$ IWT), the developing testes contained spermatogonia that exhibited mitotic activity. No spermatocyte or sperm cell was observed until 83 DPH (18.9 TL, 48.2 mg BW, $1,826^{\circ}C$ IWT). At 170 DPH (32.5 mm TL, 270.1 mg BW, $3,740^{\circ}C$ IWT), which was the end point of this study, the mature ovaries showed germinal vesicle breakdown, while the mature testes contained observable spermatocytes and sperm cells. These results allow us to identify the sex differentiation type of the Korean rose bitterling as differentiated gonochoristic.

납과 아연이 말똥성게(Hemicentrotus pulcherrimus)의 수정 및 배아 발생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Lead and Zinc on the Fertilization and Embryo Development of the Sea Urchin (Hemicentrotus pulcherrimus))

  • 황운기;허승;박종수;강한승
    • 환경생물
    • /
    • 제30권2호
    • /
    • pp.128-135
    • /
    • 2012
  • 본 연구는 말똥성게(Hemicentrotus pulcherrimus)의 생식세포 및 pluteus 유생을 이용하여 중금속인 납(lead, Pb)과 아연(zinc, Zn)의 독성을 조사였다. H. pulcherrimus 배우자 및 배아에 미치는 Pb과 Zn의 독성은 각각 31, 63, 125, 250, 500 ppb 및 16, 31, 63, 125, 250 ppb의 농도에서 조사하였다. 0.5 M KCl 용액을 이용하여 방란 및 방정을 유도하였고, 수정률 및 정상 배아발생률의 조사는 수정 후 각각 10분 및 64시간째 관찰하여 시행하였다. Pb 노출 시 수정률은 대조군과 비교하여 유의적인 변화가 없었다. 그러나 정상 배아발생률은 농도가 높을수록 농도의존적으로 유의적인 감소를 보였다. Zn을 노출시켰을 경우 수정률과 정상 배아발생률은 농도가 높을수록 농도의존적인 유의적 감소를 나타냈다. H. pulcherrimus의 정상 배아 발생에 대한 독성치는 각각 Pb (반수 영향농도 ($EC_{50}$) 45.13 ppb, 95% Cl 40.12~50.05 ppb), Zn (반수영향농도 ($EC_{50}$) 19.82 ppb, 95% Cl 18.26~21.31 ppb)로 나타났다. 또한 Pb과 Zn의 무영향농도(NOEC)는 각각 <31.25 ppb 및 <15.63 ppb로 나타났고, 최소영향농도(LOEC)는 31.25 및 15.63 ppb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 H. pulcherrimus의 초기 배아발생 과정은 Pb과 Zn 등의 중금속에 높은 민감성을 보인다. 따라서 H. pulcherrimus는 해양생태계 위해 평가를 위한 시험생물로서 사용이 가능하다고 사료된다.

한우의 생식세포 보존에 관한 연구 I. 한우 정액의 일반성상 및 동결후 생존성에 미치는 영향 (Studies on Preservation of Germ Cells in Hanwoo I. Effects of Frozen Thawed Viability and Characteristics in Bovine Semen)

  • 이명식;박정준;전기준;정영훈;우제석;박수봉;임석기;연성흠;손동수
    •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43-149
    • /
    • 2003
  • 한우의 유전자원을 보존하기 위하여 정액동결 시험을 수행하였으며 고급육계통은 육질에 대한 육종가 상위 10% 이내의 자손에서 선발하였고 다 유계통은 어미의 이유시 체중에 대한 육종가 상위 10%이내의 자손에서 선발하였으며 2개 계통에서 종모우 총 13두를 선발하여 공시하였다. 정액채취는 인공질법으로 실시하였고 의빈대에 수소를 계류하고 채정대상우를 승가시켰으며, 3회 가승가후에 채정하였다. 채정후 10분 이내에 실험실로 옮겨와 검사항목을 조사하고 37$^{\circ}C$에서 1차 희석을 하고 5$^{\circ}C$까지 하강한 후 2차 희석을 하였으며, 액체 질소 5cm 위에서 5분간 평형후 침지하여 동결하였다. 이들 종모우 정액의 일반적 성상에 있어서 채정된 정액량은 1차와 2차를 합하였을 때 평균 채정량이 5.7 ml였고 정자농도는 975${\times}$$10^{6}$개였으며 정액의 색상은 유백색이었고 pH는 6.8이었다. 채취시 생존성은 90.2% 그리고 동결 융해후에는 65.7 %가 생존하였으며 총 6,870스트로우의 동결 정액을 생산하여 보존하였다.

원발성 종격동종양 및 낭종의 외과적 치료 (Surgical Treatment of the Primary Mediastinal Tumors and Cysts)

  • 김병구;오태윤;장운하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9권6호
    • /
    • pp.632-638
    • /
    • 1996
  • 저자는 1985년 1월부터 1995년 12월까지 강북 삼성병원 흉부외과에서 수술치험한 42례의 원발성 종 격동 종양 및 낭종을 대상으로 후향적 임상분석을 실시하였다. 환자는27례의 남자와 15례의 여자로 구성되었다. 10개월의 영아부터 76세의 노인에 이르기까지 평균 연령은 40세 였다. 환자는 흉선종 12례 (28.6 %), 생식세포종 8례 (19.0 %), 원발성 낭종 7례 (16.7 %), 신경 종양 6례 (14.3 %)와 기타 종격동 종양 9례로 구성되었다. 종양의 3)례 (78.6 %)는 조직학적으로 양성이 었고, 9례 (21.4 %)는 악성 이 었다. 임상증세는 흉통, 호흡곤란, 기 침과 같은 호흡기증세로 주로 나타났다. 악성 종양을 지닌 환자는 전례 에서, 양성 환자는 55 %에서 입원당시에 증세가 나타났다. 환자 모두는 조직학적 진단과 절제를 위해 수술을 시행하였다. 2례의 유육종을 제외한 모든 양성의 종격동종양은 완전절제가 가능하였고 경과양호하였다. 그리고 일부 악성종양은 완전절제가 불가능하여 부분절제 및 항암 화학요법 혹은 방사선치료를 병용하였다. 술후 합병증은 7례(18%)였고 사망례는 없다. 결론적으로, 종격동종양은 개흥을 하기전에 다양하고 예측하기 어려운 愎昺㏏\ulcorner\ulcorner오랫동안 흉부외 과 의사에게는 관심의 대상이 되어왔으며, 적극적인 수술 및 다양한 병합요법으로 좋은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고 여겨진다.

  • PDF

황점볼락, Sebastes oblongus 초기 생식소 형성 및 성분화 (Early Gonadogenesis and Sex Differentiation of the Oblong Rockfish, Sebastes oblongus)

  • 윤성종;황형규;박경현;한석중;이윤호;김대현;김재원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47-50
    • /
    • 2007
  • 황점볼락, Sebastes oblongus은 다른 양식 품종보다 저수온에 대해 내성이 강하고 고가의 남해안 특산품종으로 알려져 있다. 이들의 효율적인 종묘생산과 육종학적인 연구를 위하여 인위적인 성성숙 조절의 기초자료로서 성분화에 대해 먼저 조사하였다. 시원생식세포는 출산 후 2일, 전장 3.0 mm 개체에서 장관과 중신 사이의 섬유성 간충직에 묻혀 식별되었다. 출산 후 71일의 치어에서, 생식소의 주변 부위에 강(cavity)을 형성하고 다수의 생식원세포로 구성된 생식소는 난소로 발달한다. 이 시기에 체세포들이 곡정세관을 형성하는 생식소는 정소로 분화된다. 초기 난모세포를 가지는 소형의 황점볼락은 출산 후 141일째의 치어들에서 나타났고, 정원세포 역시 이 시기에 관찰되었다. 따라서 황점볼락은 초기 성분화 단계에 자상을 거치지 않고 난소와 정소로 바로 분화되었다. 이들 종은 분화형의 자웅이체에 속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