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eotechnical Survey

검색결과 277건 처리시간 0.035초

사력댐의 안정성평가를 위한 표면파탐사(MASW)의 활용성 (Safety Evaluation of Rock-Fill Dam by Seismic(MASW) Method)

  • 정해상;오영철;방돈석;안상로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03년도 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359-364
    • /
    • 2003
  • For safety evaluation of a rock-fill dim, it is often necessary to investigate spatial distribution of weak zones such as fracture. Both DC-resistivity survey and seismic(SASW) method are usually used for the purpose. Recently, Multichannel analysis of surface waves(MASW) method which makes up for the weak point of SASW method is developed and the site examination which is simple came to be possible comparatively. In order to obtain 2-D shear-wave velocity(Vs) profile along the dam axis that can be associated with dynamic properties of filled materials, MASW method was adapted. Then, DC-resistivity survey and drilling survey were performed to compare with each results. We confirmed that the MASW method and DC-resistivity survey show complementary result that corresspond with drilling result. Therefore, MASW method is an efficient method for dynamic characterization of dam-filling materials and also the combination of related methods such as DC-resistivity can lead to an effective safety evaluation of rock-fill dam.

  • PDF

지표물리탐사 기법을 이용한 FRP보강 그라우팅 공법의 보강효과 확인에 관한 사례연구 (A Study on Verification of the FRP Grouting Effect using 2D Resistivity Survey and Seismic Refraction Methods)

  • 박종호;한현희;채휘영;김익희;조현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00년도 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199-206
    • /
    • 2000
  • The grout-effect evaluation of the ground reinforcement technique, which has been widely applied to civil engineering and construction fields, is not established for the guidelines of choosing the efficient evaluation method, and in fact the experts have little effort to determine the reinforcement effect quantitatively. The evaluation of the grout was carried out by experiments on core specimen and drilling, which is impossible to evaluate grout-reinforcement effect quantitatively. This paper presents an example on verification of FRP grout-effect using geophysical prospecting on ground surface, which is 2D resistivity survey that easily visualize survey results with color graphics and seismic refraction method that interprets the subsurface seismic velocity structure.

  • PDF

터널 건설 예정지구에서의 전기비저항 탐사와 전자탐사의 적용을 통한 연약대 탐지에 대한 사례 연구 (A case histories on the detection of weak zone using electrical resistivity and EM surveys in planned tunnel construction site)

  • 권형석;송윤호;이명종;정호준;오세영;김기석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02년도 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63-70
    • /
    • 2002
  • In tunnel construction, the information on the rock quality and the location of fault or fracture are crucial for economical design of support pattern and for safe construction of the tunnel. The grade of rock is commonly estimated through the observation with the naked eye of recovered cores in drilling or from physical parameters obtained by their laboratory test. Since drilling cost is quite expensive and terrains of planned sites for tunnel construction are rough in many cases, however, only limited information could be provided by core drilling Electrical resistivity and EM surveys may be a clue to get over this difficulty. Thus we have investigated electrical resistivity and EM field data providing regional Information of the rock Quality and delineating fault and fracture over a rough terrain. In this paper, we present some case histories using electrical resistivity and EM survey for the site investigation of tunnel construction. Through electrical resistivity and EM survey, the range and depth of coal seam was clearly estimated, cavities were detected in limestone area, and weak zones such as joint, fault and fracture have been delineated.

  • PDF

물리탐사에 의한 터널구간의 암반등급 산정 (A Case Study for Rock Mass Classification using Geophysical Exploration)

  • 김기석;권형석;김종훈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03년도 암반역학위원회 학술세미나 논문집
    • /
    • pp.119-137
    • /
    • 2003
  • Electrical resistivity is one of physical property of the earth and measured by electrical resistivity survey, electrical resistivity logging and laboratory test. Recently, electrical resistivity Is widely used In determination of rock quality in road and railway tunnel design. To get more reliable rock quality data from electrical resistivity, it needs a lot of test and study on correlation of resistivity and rock quality. Firstly, we did rock property test In laboratory, such as uniaxial compressive strength(UCS), P wave velocity, Young's modulus and electrical resistivity. We correlate each test results and we found out that electrical resistivity has exponentially related to UCS and P wave velocity and linearly related to Young's modulus. And we accomplished electrical resistivity survey in field site and carried out electrical resistivity togging at In-situ area. Also we performed rock classification, such as RQD, RMR and Q-system and we correlate electrical resistivity to rock classification results. We found out that electrical resistivity logging data are highly correlate to RQD, Q and RMR. Also we found out that electrical resistivity survey data are lower than electrical resistivity logging data when there are faults or fractures. And it cause electrical resistivity survey data to lowly correlate to RQD, Q and RMR.

  • PDF

강널말뚝을 이용한 국내.외 시공 사례 (A Case study of steel sheet pile)

  • 여병철;김광일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1994년도 가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111-118
    • /
    • 1994
  • The use of steel sheet pile walls as barrier walls have the temporary for coffer dam, retaining wall in excavation, etc., but also permanent of semi-permanent for harbor construction, containment systems, vertical barrier systems for waste disposal (landfill) or subway in excavarion. In all these applicaions the resistance of the structure to seepage plays an important role. Also the stability and longevity of the construction, the possibility of permanent control and survey make the steel sheet pile wall a nearly perfect vertical barrier from a technical and economical point of view.

  • PDF

핵석지반의 사면안정성 연구 (A Study on Slope Stability of Corestone)

  • 이수곤;금동헌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00년도 가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551-558
    • /
    • 2000
  • When cut slope is excavated, corestone in cut slope exists 20∼30%. In case of soil and soft rock mixing, people lay out gradient of 1 : 0.5, because of soft rock slope. In a case, slope that exists corestone between soil happens to large landslide. So, As a study performs geological survey, Analysis of slope stability reinforcement measures, etc, A study presents example meaures and analysis on slope stability of corestone.

  • PDF

단층파쇄대의 사면안정성 연구 (A Study on Slope Stability of Faultzone)

  • 이수곤;금동헌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01년도 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183-190
    • /
    • 2001
  • There are complicated and big shear zone which is about several tens meter in the middle of the cutting slope in this study area. And slope stability analysis is very hard because many fault zones are gathered in the shear zone. This study furnish imformations of scrutinized geological survey, numerical stability analysis, reinforcement work analysis and computation of ground mass properties. Then this offer rational slope stability analysis, rock mass decision and counterplan.

  • PDF

GIS 기반 지반공간정보 추정을 통한 부지고유 지진응답 매개변수 기반 인천 지역의 부지분류 (Site Classification for Incheon According to Site-Specific Seismic Response Parameters by Estimating Geotechnical Spatial Information Based on GIS)

  • 선창국;김한샘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17-35
    • /
    • 2016
  • 지진으로 인한 재난은 지반운동의 증폭과 관련된 부지효과의 차이로 인해 흔히 견고한 토사나 암반에 비해 연약한 토사 지역에서 심하게 나타나고 있다. 지역적 관점에서 이러한 차이는 대상 영역 전체의 토사 지층 분포의 예측을 통해 우선 파악할 수 있다. 토사는 대개 내륙에 비해 강이나 해안 주변에서 두껍게 발달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해안 대도시 인천을 대상으로 부지효과를 평가하고 지진재해 정보를 제공하고자, 연구 영역 전체의 지반지층에 대해 GIS 기반의 공간예측을 수행하였다. 약 7,000 여공의 기존 시추조사 자료를 수집하여 GIS DB로 구축하였으며, 추가적으로 현장답사를 통해 지표지반 자료들을 확보하였다. 구축된 지반 DB를 토대로 부지고유 지진응답 매개변수들에 관한 공간구역화 지도들을 지역 지진대책에서의 활용을 위해 제시하였다. 지반지진공학 매개변수별 공간 구역화 수행을 통해 인천 확장영역의 지진위험도를 평가하고, 부지분류 구역정보를 도출함으로써 내진설계의 부지증폭계수를 결정하였다. 이 때 대상 영역 전체에 걸쳐 부지분류에 관한 공간구역화를 부지응답 매개변수별로 수행하고 각 매개변수별 공간분포를 비교하였다. 이에 따라 인천 행정 단위별로 부지주기의 공간구역화를 수행하였으며, 지반지진공학적 취약부지를 평가함으로써 해안 대도시에서의 지진재해 저감을 위한 의사결정 지원의 활용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전기비저항 탐사의 다양한 배열 방법에 대한 해석 기법 (The Technical Solution for Various Array Methods in Resistivity Survey)

  • 박충화
    • 지질공학
    • /
    • 제17권1호
    • /
    • pp.49-55
    • /
    • 2007
  • 전기비저항 탐사에 있어서 지하에 분포하는 이상대를 정확하게 파악하기 위하여 다양한 배열 방법들이 요구되어 진다. 탐사 방법들은 험난한 산악지형에서 지형기복에 따른 장비와 인력의 이동에 대한 불편함을 줄이기 위하여 일정한 고도에서의 곡선적 측선에 대한 탐사, 시추공이 경사 곡선 수평적으로 되어 있을 경우 지표의 임의적 위치에서의 탐사, 여러 개의 전류원에 대하여 임의 위치에서 포텐셜을 측정하는 탐사 등으로 분류된다. 본 연구는 이러한 다양한 배열 방법으로 얻어진 복합적 자료들에 대하여 3차원 역산 방법을 사용하여 보다 신속하고 정확한 영상들로 나타내고자 한다. 또한 단층지역에서 곡선적 배열 방법으로 얻어진 측정 자료에 대한 3차원 역산 결과로부터 단층의 경사, 방향 및 폭 등에 관하여 정확한 전기비저항 영상들의 비교 결과도를 제시하였다.

한국의 전자탐사 현황 (Electromagnetic Survey in Korea)

  • 조동행
    • 자원환경지질
    • /
    • 제39권4호
    • /
    • pp.427-440
    • /
    • 2006
  • 다른 물리탐사법과는 달리, 전자탐사의 실질적인 국내 활용과 연구는 1980년대부터이다. 이렇게 늦게나마 시작하게 된 것은 1970년대 미국 유학한 네 명의 연구자들의 영향이고, 이 들과의 공동연구와 유대는 현재까지 지속되고 있다. 그 동안 국내 연구진이 이룬 성과는 괄목할 만 하다. 이제 우리는 MT와 CSAMT탐사, 지자기수직탐사, 소형루프탐사, VLF탐사, GPR탐사, 시간영역 전자탐사 등 전 분야에 걸쳐 국제 수준의 기술력을 확보하게 되었고 신기술인 고주파수 전자탐사, 시간영역 전자탐사, 역산기법 분야에서 창의 있는 연구 성과를 내고 있다. 활용 분야도 지하자원탐사에서 지반조사, 환경조사, 고고학조사, 구조물 결함조사, 땅굴조사 등으로 엄청나게 확장되었다. 아직도 자료해석이 난삽하기 이를 데 없는 전자탐사법을 한 단계 높일 결정적인 돌파구가 국내 연구진에 의해서 나올 날이 멀지 않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