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eosynthetic-reinforcement

검색결과 106건 처리시간 0.024초

프리스트레스 방법을 적용한 토목섬유 보강토 구조물의 수치해석 (Numerical Analysis of Geosynthetics-Reinforced Soil Structure with Pre-stress)

  • 김은라;김유성
    • 한국지반신소재학회논문집
    • /
    • 제4권3호
    • /
    • pp.21-33
    • /
    • 2005
  • 본 연구는 토목섬유 보강토 구조물의 보강 메카니즘을 규명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실시하였으며, 여기서 보강 메카니즘은 전단에 의한 다짐토의 체적 팽창(부의 다일러턴시)을 토목섬유에 의해 구속 억제하는 과정에서 생성되는 효과로 간주하고 있다. 토목섬유의 보강효과를 높이는 방법으로 프리스트레스(pre-stress) 공법을 도입하여 토목섬유 보강토 구조물의 현장실험을 소개하고, 유한요소해석을 이용하여 프리스트레스에 의한 보강효과를 검토하였다. 또한 다짐토의 탄소성 모델과 이러한 모델에 필요한 초기 입력값의 결정방법들이 제시되었다. 마지막으로, 유한요소(FEM)해석을 통해 얻어진 결과들을 현장실험의 결과와 비교 분석하였다.

  • PDF

토목섬유로 보강된 얕은기초 모래지반의 지지력 (Bearing Capacity of Shallow Foundation on Geosynthetic Reinforced Sand)

  • 원명수;링호;김유성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20권7호
    • /
    • pp.107-117
    • /
    • 2004
  • 느슨한 모래지반에서 보강재 층수 증가와 보강재의 강성과 형태 변화 그리고 얕은 기초 직하에 매설된 연성관의 깊이 등의 변화가 지지력-침하 곡선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일련의 모형실험을 수행하였다. 시험결과, 무보강토 경우는 파괴형태가 국부전단으로 나타났으나 보강재 층수가 2층 이상이 되면 파괴형태는 국부전단에서 전반전단으로 바뀌고, 최적보강재 층수는 2층 이며, 지지력 개선에 있어서는 보강재의 초기강성과 형태가 최대인 장강도보다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무보강토에서 기초 직하에 연성관이 매설된 경우, 연성관의 매설 깊이가 기초 폭보다 얕으면 지지력과 극한지지력은 현저하게 감소하고, 보강토의 경우 연성관의 매설 깊이가 기초 폭보다 얕으면 파괴형태는 전반전단에서 국부전단으로 바뀌는 것으로 나타났다.

축소모형실험에 의한 지속하중하에서의 보강토 옹벽의 거동특성 연구 (Behavior of Geosynthetic Reinforced Modular Block Walls under Sustained Loading using Reduced-Scale Model Test)

  • 유충식;김선빈;변요셉;김영훈;한대희
    • 한국지반신소재학회논문집
    • /
    • 제5권1호
    • /
    • pp.1-7
    • /
    • 2006
  • 보강토 옹벽이 콘크리트 옹벽에 비해 다양한 이점을 가짐에도 불구하고 영구구조물로서 지속하중이 작용하는 경우에 대해 장기변형이 발생할 소지가 있다는 우려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관점에서 축소모형실험을 실시하여 수집된 보강토 옹벽의 장기변형 메카니즘에 대한 내용을 다루었다. 실험결과 지속하중이 작용하는 경우에 있어 장기적으로 잔류변형이 발생할 우려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지속하중의 특성과 보강재 강성에 따라 좌우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띠형 섬유보강재의 설치간격에 따른 인발저항 특성에 관한 연구 (Pullout Resistance by Horizontal Spacing of Geosynthetic Strip)

  • 한중근;윤원일;홍기권;이광우;김주형;조삼덕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10년도 추계 학술발표회
    • /
    • pp.315-324
    • /
    • 2010
  • In this study, the pullout tests are conducted to evaluate the pullout resistance of the geosynthetic strip with or without bearing resistance zone. The test results are indicated that the pullout resistance of the geosynthetic strip without bearing resistance zone is not affected by horizontal spacing. However, the horizontal spacing of reinforcement with bearing resistance zone affects the bearing resistance. In other words, it is indicated that the bearing resistance at spacing of 210mm is larger than that at spacing of 260mm. This means that the pullout strength at spacing of 210mm is larger than that at spacing of 260mm. Therefore.

  • PDF

계단식 보강토옹벽의 파괴 메카니즘 연구 (Failure Mechanism of Geosynthetic-Reinforced Segmental Retaining Wall in a Tiered Configuration)

  • 유충식;정혁상;이봉원
    • 한국지반신소재학회논문집
    • /
    • 제3권4호
    • /
    • pp.13-19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계단식 보강토 옹벽의 파괴메카니즘 연구를 위해 모형실험을 실시한 내용을 다루었다. 보강토옹벽의 모형실험은 성균관대학교 내의 지반시험장에 시험 시공한 계단식보강토옹벽의 원형을 축소하여 모사하였으며, 상사법칙을 이용하여 보강통옹벽에 사용된 재료의 크기 및 물성치를 원형에 가깝도록 축소하여 파괴메카니즘 분석에 신뢰성을 높였다. 또한 파괴메카니즘 분석을 위해 종전의 재하실험 방식과는 달리 자중에 의한 파괴가 가능해짐으로써 원형에 가까운 파괴 형상을 모사 할 수 있었다. 모형 실험의 내용으로는 보강토옹벽의 영향인자라고 할 수 있는 이격거리의 변화 및 보강재 길이변화에 따른 파괴 양상을 분석하였다.

  • PDF

지오그리드와 말뚝으로 보강된 성토지반의 보강 및 아칭효과 연구 (Reinforcement and Arching Effect of Geogrid-reinforced and Pile-supported Embankments)

  • 오영인;신은철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21권10호
    • /
    • pp.5-16
    • /
    • 2005
  • 토목섬유로 보강된 성토지지말뚝공법은 기존 성토지지말뚝공법의 말뚝간격처리 및 말뚝캡 면적문제를 개선하며 효과적으로 지지력을 보강하고 특히 전체침하 및 부등침하 감소시킬 수 있는 공법으로 최근 활용이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지오그리드로 보강된 성토지지말뚝공법의 보강 및 아칭효과에 대하여 연구하기 위하여 지오그리드 보강유무, 말뚝간격변화에 따른 현장모형실험과 2차원 수치해석을 수행하였다. 수치해석적 연구는 범용 유한차분해석 프로그램인 FLAC 2-D를 사용하였으며, 지반-말뚝-지오그리드의 하중전달 메카니즘에 대하며 분석하였다. 지오그리드로 보강된 성토지지말뚝의 하중전달은 성토제체 내의 아칭효과, 지오그리드의 인장, 말뚝으로의 응력전이 등의 과정이 복합적으로 발생한다. 현장모형실험 및 수치해석연구 결과에 따르면 지오그리드의 보강에 따라 아칭효과는 미소하게 감소하지만, 부등침하는 급격히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D/b=3(D: 말뚝캡 간격, b: 말뚝직경)일때 무보강 지반에 비하여 $40\%$의 침하가 감소하며, D/b=6이상일 경우는 지오그리드에 의한 하중전이가 발생하지 않아 보강효과가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Numerical investigation of geocell reinforced slopes behavior by considering geocell geometry effect

  • Ardakani, Alireza;Namaei, Ali
    • Geomechanics and Engineering
    • /
    • 제24권6호
    • /
    • pp.589-597
    • /
    • 2021
  • The present study evaluates geocell reinforced slope behavior. A three dimensional analysis is carried out to simulate soil and geocell elastoplastic behavior using the finite difference software FLAC3D. In order to investigate the geocell reinforcement effect, the geocell aperture size, thickness, geocell placement condition and soil compaction had been considered as variable parameters. Moreover, a comparison is evaluated between geocell reinforcing system and conventional planar reinforcement. The obtained results showed that the pocket size, thickness and soil compaction have considerable influence on the geocell reinforcement slope performance. Moreover, it was found that the critical sliding surface was bounded by the first geocell reinforcement and the slope stability increases, by increasing the vertical space between geocell layers. In addition, the comparison between geocell and geogrid reinforcement indicates the efficiency of using cellular honeycomb geosynthetic reinforcement.

보강토옹벽의 최적 보강길이비 산정을 위한 수치해석적 연구 (Numerical Analysis for Optimum Reinforcement Length Ratio of Reinforced Earth Retaining Wall)

  • 박춘식;안우종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19권12호
    • /
    • pp.5-14
    • /
    • 2018
  • 최근 국내에 사용되고 있는 보강토옹벽 공법은 전면체의 재질, 보강재, 축조방법, 축조경사에 따라 수많은 종류가 제안되었으나 각 공법에 따른 설계방법이나 상세검토항목 등의 규정이 명확하지 않으며 집중호우에 따른 붕괴도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보강토옹벽의 설계에 있어서 좀 더 안정된 기술적 접근을 위해 설치높이별 단면을 가정하고 단일 강도의 보강재를 사용한 보강토옹벽의 인발파괴와 높이별 최적의 보강재 조합을 산정하고 산정된 각 단면에 대해서 보강길이비(L/H)에 따른 안전율 변화를 통하여 보강재의 최적 설계와 다단식 보강토옹벽의 최적 설계 그리고 보강재인 토목섬유의 재질에 따른 최적 길이비를 산정하여 제시하였다.

계단식 보강토 옹벽의 거동에 관한 수치 해석적 연구 (Numerical Investigation on the Behavior of Geosynthetic Reinforced Modular Block Wells in a Tiered Arrangement)

  • 유충식;정혜영;송아란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21권10호
    • /
    • pp.49-60
    • /
    • 2005
  • 본 논문에서는 중요 설계변수에 따른 계단식 보강토 옹벽의 거동 특성에 관한 연구내용을 다루었다. 이를 위해 기본적인 설계단면을 설정하고, 검증된 유한요소모델을 이용하여 상단의 이격거리 및 상${\cdot}$하단 보강재의 포설길이에 대한 매개변수연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이격거리가 증가함에 따라 하단의 벽체 변위와 유발 인장력은 감소하는 양상을 나타냈으나, 현 설계기준에 근거한 상단옹벽 처리기준의 차이에도 불구하고 감소폭이 적어 상단옹벽의 등가상 재하중 선정 시 주의를 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보강재 포설조건의 영향에 대한 고찰 결과 상${\cdot}$하단 포설길이가 증가함에 따라 각각 벽체변위는 감소하였으나 하단의 유발인장력의 경우 상${\cdot}$하단의 상호작용으로 인해 오히려 증가하는 양상을 보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 결과를 토대로 상${\cdot}$하단 보강재의 임계 길이를 산정한 결과 $D=0.25{\sim}0.5H$의 이격거리 조건에 있어 상단은 $0.6{\sim}0.7H$, 하단은 0.6H 정도로 나타났다. 또한 해석결과에 의한 유발인장력과 현 설계기준에 근거하여 산정한 유발인장력을 비교한 결과 현 설계기준은 하단 보강재 하부에서의 유발인장력을 과대평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현 설계기준의 타당성을 검토하였다.

계단식 블록식 보강토 옹벽의 전체 안전성 (Global Stability of Geosynthetic Reinforced Segmental Retaining Walls in Tiered Configuration)

  • 유충식;김선빈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24권9호
    • /
    • pp.23-32
    • /
    • 2008
  • 본 논문에서는 계단식 형태로 시공되는 블록식 보강토 옹벽의 전체 안정성이 고려된 설계에 관한 내용을 다루었다. 다양한 계원과 이격거리로 설계된 네 가지 설계사례에 대해 현재 통용되고 있는 FHWA 및 NCMA 설계기준에 근거하여 내 외적 안정해석을 수행하고 그 결과를 토대로 두 설계기준의 차이점을 검토하였다. 아울러 대상옹벽에 대해 한계평형해석에 근거한 사면안정해석과 연속체역학 기반의 강도감소기법 해석을 수행하여 계단식 옹벽의 설계를 지배하는 파괴 메카니즘을 고찰하였다. 그 결과 내 외적 안정성 공히 FHWA에서 채택하고 있는 설계기준이 NCMA 보다 보수적인 결과(낮은 안전율)를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계단식 옹벽의 보강재의 소요 포설 길이는 전반적으로 전체 안정성에 좌우되는 것으로 검토되었으며 상부 옹벽의 보강재의 길이는 현 설계기준 보다 현저히 증가시켜야 하는 것으로 검토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