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eosynchronous orbit

검색결과 62건 처리시간 0.025초

무궁화위성 2호의 동서위치유지 박스 설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ast-West Station Keeping Box of Koreasat 2)

  • 이상철;김방엽;박봉규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31권9호
    • /
    • pp.75-81
    • /
    • 2003
  • 정지궤도 위성의 위치는 여러 외부 교란력에 의해서 끊임없이 움직이기 때문에 우주에서 한 점으로 정의할 수 없다. 따라서 정지궤도 위성의 통신방송과 같은 일반적 임무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우주의 한정된 공간인 위치유지박스 내에 운용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남북위치유지 오차보다 상대적으로 큰 동서 위치유지 박스를 설정하기 위해서 여러 오차들을 유도하여 정립하였다. 이를 이용하여 무궁화위성에서 사용하고 있는 7일의 위치유지주기를 검증하고 14일로 위치유지 주기를 늘릴 경우의 문제점을 분석하였다.

Earthward Flow Bursts in the Magnetotail Driven by Solar Wind Pressure Impulse

  • Kim, Khan-Hyuk;Kwak, Young-Sil;Lee, Jae-Jin;Hwang, Jung-A
    • Journal of Astronomy and Space Sciences
    • /
    • 제25권4호
    • /
    • pp.375-382
    • /
    • 2008
  • On August 31, 2001, ${\sim}$ 1705 - 1718 UT, Cluster was located near the midnight magnetotail, GSE (x, y, z) ${\sim}$ (-19, - 2,2) RE, and observed fast earthward flow bursts in the vicinity of the neutral sheet. They occurred while the tail magnetic field suddenly increased. Using simultaneous measurements in the solar wind, at geosynchronous orbit, and on the ground, it is confirmed that tail magnetic field enhancement is due to an increased solar wind pressure. In the neutral sheet region, strongly enhanced earthward flow bursts perpendicular to the local magnetic field $(V_{{\perp}x})$ were observed. Auroral brightenings localized in the pre-midnight sector (${\sim}$ 2200 - 2400 MLT) occurred during the interval of the $V_{{\perp}x}$ enhancements. The $V_{{\perp}x}$ bursts started ${\sim}$ 2 minutes before the onset of auroral brightenings. Our observations suggest that the earthward flow bursts are associated with tail reconnection directly driven by a solar wind pressure impulse and that $V_{{\perp}x}$ caused localized auroral brightenings.

교란 대기하에서 광위성통신용 광헤테로다인 수신기 최적 설계에 관한 연구 (The Optimum Design of Optical Heterodyne Receiver used on Optical Sate Ilite Communication under Turbulent Atmosphere)

  • 한종석;정진호;김영권
    • 전자공학회논문지A
    • /
    • 제30A권4호
    • /
    • pp.28-39
    • /
    • 1993
  • In the international BISDN used satellite, the laser that has large BW has to be used as a carrier for transmitting a lot of visual, vocal, and data information. Interoptical satellite communication has now developed in theoretical and practical aspects. But the optical communication, between satellite and earth station, is hindered by atmospheric absorption, scattering, and turbulence. In this paper, it was supposed that 1Gbps information was transmitted by binary FSK and 50mW AlGaAs semiconductor laser was used as a optical source in the satellite communication link between geosynchronous orbit satellite and earth station. We analyzed the BER and the entire diameter of the noncoherently combined optical heterodyne receiver as el evation angle, and determined the number of the optical heterodyne rece ivers, which is necessary for the BER of the receiver to be less than 10$^{-9}$ by computer simulation under the clear weather condition. It is shown that the BER and the number of the optical heterodyne receivers decrease as the elevation angle increases. In the region used the same number of the optical heterodyne receivers, it is shown that the entire diameter of the receiver increases but the BER decreases as the elevation angle increases.

  • PDF

다중빔 위성 통신 시스템에서 빔간 직교 코드 공유 기법과 동적 무선 자원 할당 (Orthogonal Code Sharing and Radio Resource Allocation in Multibeam Satellite Communication Systems)

  • 임광재;김수영;오덕길;김재명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28권3A호
    • /
    • pp.140-150
    • /
    • 2003
  • 본 논문에서는 다중빔 정지궤도 위성을 이용한 이동 위성 시스템에서, 하향 링크 용량 증대를 위해 빔간 직교 코드를 공유하는 방법과, 제안된 시스템을 위한 무선 자원 및 전력 할당 방법을 제시한다. 또한, 하향 링크 용량에 대한 간단한 이론적 분석과 다중빔 위성 시스템에 대한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제시된 시스템의 용량 증대 효과를 보인다. 기존의 확산 코드 사용 방법을 적용한 다중빔 위성 시스템에 대해 제안된 시스템은 약 2 배 이상의 용량 증대 효과를 보이며, 주파수 선택적 페이딩 채널에 의해 기인하는 직교 코드 사이의 상호 간섭이 적을수록 그 효과는 증대된다.

비지상네트워크를 위한 5G 무선통신 기술 (5G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y for Non-Terrestrial Network)

  • 김지형;윤미영;유덕현;이문식
    • 전자통신동향분석
    • /
    • 제34권6호
    • /
    • pp.51-60
    • /
    • 2019
  • As a way to further expand and enable the 5G ecosystem, the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3GPP) is considering the development of a 5G new radio (NR)-based non-terrestrial network (NTN). These NTNs are expected to provide ubiquitous 5G services to user's equipment (especially, in Internet of Things/machine-type communications (IoT/MTC) public safety, and critical communications) by extending service coverage to areas not covered by 5G terrestrial networks. To this end, this NTN is developing scenarios to provide 5G services using spaceborne vehicles, such as geosynchronous and low-Earth orbit satellites, and airborne vehicles, such as unmanned aircraft systems, including high-altitude pseudo-satellites. In addition, various technologies are being studied to satisfy new requirements not considered in 5G NR, such as long propagation delay time, large cell coverage, large Doppler effect, and base station movement. In this paper, we present the scenarios, requirements, technical issues and solutions, and standardization planning for NR-based NTN in 3GPP.

피치 모멘텀 바이어스 위성시스템의 롤/요축 모멘텀 제어방식 (Roll/Yaw Momentum Management Method of Pitch Momentum Biased Spacecraft)

  • 이승우;고현철;장우영;손준원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37권7호
    • /
    • pp.669-677
    • /
    • 2009
  • 일반적으로 롤/요 평면상의 nutation 운동이 있는 피치 모멘텀 바이어스 시스템을 정지궤도 위성인 통신위성에서 주로 사용되어 왔으나 본 논문에서는 저궤도 위성의 경우에 대해 최소 휠 개수인 2개 반작용휠로 구성된 피치 모멘텀 바이어스 시스템을 휠 모멘텀 제어방식으로 피치축과 롤축 자세제어를 수행하는 방안을 살펴보았다. PI-제어기를 사용한 휠 모멘텀 제어 방식의 경우 휠 베어링 마찰 등 반작용휠에 가해지는 외란에 대한 강건성 보장을 해석적으로 분석하였으며, 롤축 자세에러 측정치와 요축 모멘텀 선형 제어기 설계를 위한 전달함수를 제시하였고, 시스템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고, 외란 영향 및 모멘텀 바이어스 크기 등 필요한 설계 인자 선정을 위해 시스템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였다.아울러 요축 모멘텀 PID-제어기를 사용한 모멘텀 바이어스 시스템의 롤/요축 자세제어 설계결과 및 시뮬코타키나발루레이션 결과를 제시하였다.

국내 위성추락 예측 연구 (A Study on the trajectory prediction of the satellite re-entry in Korea)

  • 손주영;최진;최영준;배영호;박장현;문홍규;임홍서;김명진;임여명;현성경;김지혜;조중현
    • 한국위성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8권4호
    • /
    • pp.142-149
    • /
    • 2013
  • 인공위성을 포함한 우주물체가 지구궤도로 재진입하고 대기권에서 소실되거나, 지표면에 추락하는 일들이 날로 증가하고 있다. 최근 국내에서도 위성추락상황실을 운영하여 인공위성의 추락고도 및 추락시기에 대한 예측을 실시하였다. 아직까지 국내에서는 우주물체의 추락 시 현업에 적용할 수 있는, 미전략사령부에서 발표하는 TLE 자료를 활용한 독자적인 추락예측모델이 없으며, 다른 위성 운영국에서 발표하는 추락 예상시기를 참고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TLE 자료에 대기모델을 바탕으로 추락예상시기를 예측하고, 분석한 결과를 종합 분석하였고, 위성추락상황실 운영간 적용했던 RUBBER SHEET SHIFT METHOD(RSSM)의 인공위성 예상추락시기 예측결과를 토대로 새로운 추락모델에 대한 예시를 제안하였다.

Magnetospheric and ionospheric responses to the passage of solar wind discontinuity on 24 November 2008

  • Kim, Khan-Hyuk;Park, Jong-Sun;Lee, Dong-Hun;Park, Young-Deuk;Angelopoulos, V.;Nishitani, N.;Hori, T.;Shiokawa, K.;Yumoto, K.;Baishev, D.
    • 천문학회보
    • /
    • 제36권2호
    • /
    • pp.91-91
    • /
    • 2011
  • The passage of the interplanetary discontinuity (i.e., sudden increases in the solar wind speed, density, and IMF strength) was detected by ACE near GSE (x, y, z) ~ (222, -36, 3) Re upstream of Earth around 22:48 UT on November 24, 2008. About 55 min later, this solar wind discontinuity was observed by Geotail near GSE (x, y, z) ~ (23, 18, -7) Re in front of Earth's bow shock. From the propagation time of the solar wind discontinuity between ACE and Geotail, it is expected that the discontinuity front is aligned with the Parker spiral and strikes the postnoon dayside magnetopause first. Using coordinated multi-point measurements (THEMIS and GOES) at or in geosynchronous orbit, we observed a tailward propagating sudden impulse (SI), excited by the interplanetary discontinuity, around 23:50 UT with its front retaining alignment similar to that of solar wind discontinuity. The SI event appears a negative-then-positive variation in the H component at high latitude Chokurdakh (CHD: MLAT ~ 64.7 deg) in the prenoon sector, which is opposite sense of normal SI event. During the positive deflection at CHD, the SuperDARN Hokkaido radar detected the downward motion of the ionosphere, implying westward electric field enhancement, at subauroral latitudes near CHD meridian. In our study we will discuss magnetospheric and ionospheric responses to the passage of the solar wind discontinuity using multi-point observations in space and on the ground.

  • PDF

정지궤도 위성용 전력공급 모듈의 버스 전압 안정화를 위한 최적동작 제어에 관한 연구 (A Study on Adaptive Operation Control to Stabilize bus Voltage of GEO Satellite Power Supply Module)

  • 안태영;최현수
    • 전자공학회논문지
    • /
    • 제53권2호
    • /
    • pp.123-129
    • /
    • 2016
  • 본 논문에서는 PCU(Power Control Unit)의 성능을 최적화 시킬 수 있는 동작모드를 제안하고 제작하여 그 결과를 보고 하였다. 특히 세 개의 기능별 모듈이 최적의 동작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버스의 전압과 연동되게 제어회로를 구성하여 동작 우선순위를 정하고 필요에 따라 자동적으로 동작하도록 최적 동작 제어 방식을 제안하였다. PCU는 태양광 전력을 부하와 연결된 버스에 정전압으로 변환시키는 S3R(Sequential Switching Shunt Regulator)과 보조 에너지 저장장치인 배터리에 잉여 전력을 저장하는 BCR(Battery Charge Regulator) 및 배터리에 충전되어 있던 전력을 부하에 공급하는 BDR(Battery Discharge Regulator)로 구성되어 있다. 세 개의 전력변환 모듈은 위성용 전원장치의 특성상 높은 신뢰성을 유지하기 위해서 각각의 모듈이 병렬로 동작하며, 특히 각 모듈의 기능이 최적의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서 안정된 버스 전압이 상시 유지되어야 한다.

1m급 인공위성 레이저추적 시스템용 고속·고정밀 추적마운트 개발 및 예비 성능분석 (Development and Preliminary Performance Analysis of a fast and high precision Tracking Mount for 1m Satellite Laser Ranging)

  • 최만수;임형철;이상정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44권11호
    • /
    • pp.1006-1015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국내 최초 개발 예정인 1m급 인공위성 레이저추적 시스템(Satellite Laser Ranging, SLR)의 추적마운트 (Tracking Mount) 모듈 개발을 위한 예비설계 및 성능분석 결과를 제시한다. 인공위성 레이저추적 시스템은 위성까지의 거리를 정밀하게 측정하는 시스템으로 지상의 관측소에서 반사경을 탑재하고 있는 인공위성까지 레이저를 발사하여 되돌아오는 레이저 사이의 시간간격을 측정하는 시스템으로서, 현존하는 인공위성까지의 거리측정 시스템 중 가장 정밀한 측정 시스템이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인공위성 레이저 추적 시스템용 고속 고정밀 추적마운트의 추적범위는 고도 300 km에서 정지궤도(고도 36,000 km)까지 가능하며, 레이저 반사경을 탑재한 인공위성에 대해 주 야간 레이저추적이 가능해야 한다. 이러한 요구사항을 만족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고속 고정밀 추적마운트 기구부 설계 및 구조해석을 수행하였고, 추적마운트의 원활한 제어를 위한 모션 제어 시스템을 설계하여 예비 성능 분석을 실시한 결과를 소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