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eospatial data acquisition

검색결과 66건 처리시간 0.024초

Geospatial data Acquisition Using the Google Map API

  • Han, Seung-Hee;Lee, Jin-Duk;Ahn, Hyo-Beom
    • International Journal of Contents
    • /
    • 제8권1호
    • /
    • pp.55-60
    • /
    • 2012
  • Most Korean and overseas major portal sites include map servers to provide map services, and offer open APIs to allow their users to make use of maps or spatial information directly. At the early design stage, geographic spatial data do not tend to require high accuracy, and thus there would be no problem using data which have been obtained and then utilized through map servers provided by portal sites. This study has chosen the shortest route between starting point and destination, using GIS techniques. Moreover, for the chosen route, it also has calculated the elevation for the cross-section, using Google map and GPS measurements. This study aims to create APIs, which can extract vertical profile of routes from the Google Map server, by using JAVA, and to compare centerline profile results obtained by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to explore their utilize abilities. The result demonstrated a height error of 0.5 to 1 m, compared to the GPS results, but they were mutually satisfactory. In short, the data extracted in this study are useful for centerline profile drawings in selecting routes, such as streets, Olle roads, and bike lanes.

대규모 개발지역의 공간정보 구축을 위한 드론 라이다의 특징 비교 (Comparison of Characteristics of Drone LiDAR for Construction of Geospatial Information in Large-scale Development Project Area)

  • 박준규;이근왕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1호
    • /
    • pp.768-773
    • /
    • 2020
  • 국토자원의 합리적 이용과 관리를 위한 대규모 국토개발은 효율적인 사업관리를 위해 공간정보의 활용이 필수적이다. 최근 택지조성이나 노천광산과 같은 대규모 개발지역의 효과적인 공간정보 구축 방안으로 드론 LiDAR(Light Detection And Ranging)가 주목 받고 있다. 드론 LiDAR는 크게 SLAM(Simultaneous Localization And Mapping) 기술이 적용된 방식과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IMU(Inertial Measurement Unit) 방식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드론 LiDAR의 적용이나 각 방식의 특징에 대한 분석적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SLAM 및 GNSS/IMU 방식의 드론 LiDAR를 이용한 데이터 취득, 처리 및 분석을 수행하고, 각각의 특징과 활용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드론 LiDAR의 높이 방향 정확도는 -0.052~0.044m로 지도제작을 위한 공간정보의 허용 정확도를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데이터 취득 및 처리 과정의 비교를 통해 각각의 방법에 대한 특징을 제시하였다. 드론 LiDAR를 통해 구축된 공간정보는 거리, 면적, 경사의 측정 등 다양한 활용이 가능하며, 이러한 정보를 기반으로 대규모 개발지역의 안전도를 평가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향후 국토개발 현장에서 효과적인 공간정보 구축 방안으로 활용이 기대된다.

지상사진 도해법을 이용한 도로시설물 정보추출 (Extraction of Road Facility Information Using Graphic Solution)

  • 손덕재;이혜진;이승환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77-85
    • /
    • 2002
  • 본 연구는 도해법을 이용하여 지형공간정보체계(GIS)에 사용되는 도로시설물의 공간정보와 속성정보를 획득하는 방법에 관한 연구이다. 지상사진은 사진기의 정확한 위치선정과 대상물에 대한 방향의 전환 및 반복적인 촬영이 용이하여 도로시설물 정보취득에 많은 활용가능성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도로시설물에 대한 신속한 정보취득을 요하는 경우나, 비교적 높은 정확도를 요하지 않는 경우를 상정하여 단사진 영상을 위주로 해석하였으며, 엄밀한 사진측량에 의한 공간정보의 취득이 불가능한 경우에 활용할 수 있는 기법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도로시설물의 평면도 작성과 제원 등 공간정보와 속성정보를 효과적으로 추출할 수 있었다.

  • PDF

무인항공 LiDAR 센서에 따른 데이터 특성 분석 (Analysis of Data Characteristics by UAV LiDAR Sensor)

  • 박준규;이근왕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5호
    • /
    • pp.1-6
    • /
    • 2020
  • UAV(Unmanned Aerial Vehicle)는 일반 유인 항공기나 위성에 비해 경제성이 크고, 대상물에 접근이 용이하여 군사적인 목적으로 많이 이용되어 왔다. 최근에는 IT 기술의 발전으로 다양한 센서를 탑재한 UAV가 출시되고 있으며 측량, 농업, 기상관측, 통신, 방송, 스포츠 등 광범위한 분야에서 이용이 증가하고 있으며, 공간정보를 제작하고 활용하는 분야에서 UAV를 활용하기 위한 다양한 연구와 시도가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기존의 연구는 사진측량과 관련된 연구가 대부분이며, LiDAR(Light Detection And Ranging)에 대한 분석적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공간정보 분야 활용을 위한 UAV LiDAR 센서의 특징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LiDAR 센서의 취득속도, 반사횟수 등 상용화된 LiDAR 센서의 성능을 조사하고, 비슷한 정확도와 데이터 취득 가능 거리를 가지는 Surveyor Ultra와 VX15 모델을 선정하여 데이터 취득 및 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를 통해 각 센서별로 연구대상지의 DSM(Digital Surface Model)을 생성하고, 비교를 통해 데이터의 밀도, 정밀도, 식생지역에서 지면 데이터의 취득 등 특징을 제시하였다. UAV LiDAR 센서는 0.03m~0.05m의 정확도를 나타내었으며, 효과적인 활용을 위해서는 데이터의 특징들을 고려한 장비의 선정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향후, 추가적인 연구를 통해 도심지역, 산림지역 등 다양한 지역에 대한 데이터 취득 및 분석이 이루어 진다면 UAV LiDAR의 활용성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3D 레이저 스캐너와 토털스테이션 통합에 의한 공간정보 구축의 효율성 분석 (Analysis of Geospatial Information Construction Efficiency by 3D Laser Scanner Integrated with Total Station)

  • 박준규;이근왕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12호
    • /
    • pp.638-643
    • /
    • 2017
  • 3D 레이저 스캐너는 센서로부터 목표물까지 거리를 측정하는 방식으로 작동되며, 광파거리 측정기와 동일한 원리로 작동된다. 최근 3차원 데이터의 수요 및 활용이 급격히 증가함에 따라 레이저 스캔 관련 기술이 빠르게 발달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과거에 비해 공간상의 대상물에 대한 위치 정보를 쉽게 취득할 수 있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3D 레이저 스캐너와 토털스테이션을 통합한 새로운 장비를 활용하여 공간정보를 구축하고, 기존 작업방법과 비교 분석을 통해 공간정보 구축을 위한 새로운 기술의 활용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3D 레이저 스캐너와 토털스테이션 통합에 의한 공간정보 구축의 효율성을 제시할 수 있었다. 제안한 방법은 기존의 토털스테이션을 이용하는 방법보다 데이터 취득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며, 취득된 데이터를 이용한 단면도 생성, 체적산출 등 다양한 활용이 가능하였다. 향후 3D 레이저 스캐너와 토털스테이션 통합에 의한 공간정보 구축 방법은 관련분야의 작업 효율성 향상에 크게 기여할 것이다.

근거리 수치사진측량시스템을 위한 저가격 자료획득방법의 개발 (Development of Low-Cost Data Acquisition Method for Close-range Digital Photogrammetric System)

  • 박홍기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143-153
    • /
    • 1999
  • 지형공간정보체계는 사용이 용이하여 널리 대중화되어가고 있다. 최근 수치사진측량은 GIS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거나 갱신하기 위한 경제적인 방법으로 인정받아 가고 있다. 지형공간정보의 획득을 위한 근거리사진측량은 좌표해석을 위해 이용되고 있는 번들조정이 요구된다 번들조정은 외부표정요소를 결정하기 위해서 초기 근사 값과 기준점들을 필요로 한다. 본 연구에서는 번들조정을 수행하기 전에 초기근사값을 추정하기 위한 종래의 방법들을 비교분석하고, 이들 외부표정요소의 결정을 위한 새로운 알고리즘을 개발하여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우선 효과적이고 경제적이며 보다 정확한 사진측량 관측값처리 기법을 제공하고자, 기존의 DLT 알고리즘에 관측값에서의 모든 종류의 과대오차들을 자동적으로 검출하고 제거하기 위한 robust 방법과 해를 위해 필요한 기준점의 수를 줄이기 위해 GPS를 도입하였다. 또한 본 논문에서는 단사진으로 처리하는 새로운 후방교회법(space resection)유도하였다. 제안한 방법의 주된 장점은 외부표정요소의 초기근사값을 요구하지 않고 계산과정에서 반복계산을 요구하지 않는다는 점이다.

  • PDF

지형공간정보취득기술과 토목BIM을 활용한 부지선정 연구 (The Application of Geospatial Information Acquisition Technique and Civil-BIM for Site Selection)

  • 문수정;편무욱;박홍기;지장훈;조준호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28권6호
    • /
    • pp.579-586
    • /
    • 2010
  • 최근 측량기술과 3D프로그램의 개발로 인하여 다양한 공간정보 자료를 획득할 수 있게 되었다. 본 연구는 기존의 경험적, 통계적 DB를 활용한 2차원 정보와 3차원 공간정보 취득기술을 활용하였다. 공간정보 취득기술로 얻어진 데이터를 토목 BIM과 연계하여 대상지역 지형에 대해 모델링하고 절 성토량을 이용하여 부지 선정시 최적의 입지 조건을 선정 하는 연구이다. 대상지는 전라도 장흥군 탐진강 일대이며 이 지형에 대하여 항공사진을 이용한 시갛화 한다. 연구 대상지를 Civil3D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대지에 관한 지형분석을 시각적으로 표현하고 관련 데이터를 얻어 분석한다. 토목 BIM을 활용한 방식은 기존의 방법에서 극복하지 못했던 부지선정시 문제점에 대하여 객체의 다양하고 정확한 정보를 얻어 대응방향을 모색하고 향후 그 활용방향에 대한 제안에 그 목적이 있다.

LiDAR자료와 항공영상을 이용한 수치지형도 건물레이어 갱신 (Update for Building Layers of Digital Map Using LiDAR Data and Aerial Images)

  • 유환희;구신회;김성삼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43-53
    • /
    • 2006
  • 1995년부터 국가GIS사업의 일환으로 지형공간정보의 효용성이 증대되고 있으며, 수치지형도는 행정, 실생활 그리고 산업전반에 걸쳐 다양한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실세계정보와 수치지형도 간에 차이가 발생되고 이를 갱신하기 위해서 많은 비용과 시간이 소요되기 때문에 도시 시설물 관리에 활용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3차원 정보를 직접 취득할 수 있고 정확도가 높은 LiDAR 자료와 디지털 항공영상을 연계하여 추출된 건물정보의 진위를 판단하고 기존의 수치지형도와 비교하여 건물정보를 추가 및 삭제함으로서 도시지역의 수치지형도 건물레이어를 갱신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향 후 LiDAR 자료를 이용한 건물레이어생성 및 갱신의 자동화를 위해서 미소 및 수목폴리곤의 제거 및 건물진위판단 등에 대한 자동화기술이 추가적으로 연구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다종 공간정보로부터 취득한 지상기준점을 활용한 UAV 영상의 3차원 위치 정확도 비교 분석 (Three-Dimensional Positional Accuracy Analysis of UAV Imagery Using Ground Control Points Acquired from Multisource Geospatial Data)

  • 박소연;최윤조;배준수;홍승환;손홍규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36권5_3호
    • /
    • pp.1013-1025
    • /
    • 2020
  • UAV (Unmanned Aerial Vehicle) 플랫폼은 소규모 지역의 영상을 저비용으로 신속하게 취득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어 재난모니터링과 스마트시티 분야에 널리 활용되고 있다. UAV 기반 정사영상 및 DSM (Digital Surface Model) 제작 시 cm 급 정확도를 확보하기 위하여 UAV 영상의 위치보정을 위한 지상기준점(Ground Control Points, GCP)이 필수적이다. 하지만, 현장 GCP 취득을 위한 현장방문, 대공표지 설치에는 상당한 인력과 시간이 소요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GCP 현장 취득을 대체하기 위한 방법으로 사전에 구축되어 활용가능한 세 가지 공간정보를 GCP로 이용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연구에 사용한 세 가지 공간정보는 첫째, 25 cm 급 정사영상과 1:1000 수치지형도 기반 DEM (Digital Elevation Model), 둘째, 모바일매핑시스템(Mobile Mapping System, MMS)으로 취득한 점군 데이터, 셋째, MMS 데이터와 UAV 데이터를 융합하여 만든 하이브리드 점군 데이터이다. 세 가지 공간정보로부터 취득한 GCP를 이용하여 각각에 대하여 UAV 정사영상과 DSM (Digital Surface Model, DSM)을 생성하였다. 생성된 3가지 결과를 현장 RTK-GNSS 측량으로 취득한 검사점과 비교하여 3차원 위치 정확도평가를 진행하였다. 실험결과, 세 번째 경우인 MMS와 UAV를 융합한 하이브리드 점군 데이터를 GCP로 사용하였을 때, UAV 정사영상과 DSM의 최종 정확도가 수평방향의 RMSE는 8.9 cm, 수직방향의 RMSE는 24.5 cm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또한, 현장 측량을 대체하기 위해 활용한 공간정보로부터 취득한 GCP의 분포는 수평 위치 정확도 보다 수직 위치 정확도에 더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