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eospatial Information

검색결과 1,547건 처리시간 0.036초

Integration of Geophysical Properties and Geospatial Information for Telecommunication Modeling

  • Kim, Jeong-Woo;Lee, Dong-Cheon;Pack, Jeong-Ki;Yom, Jae-Hong;Kwon, Jay-Hyon;Jeong, Nam-Ho
    • 대한원격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원격탐사학회 2002년도 Proceedings of International Symposium on Remote Sensing
    • /
    • pp.745-745
    • /
    • 2002
  • Both geophysical and geospatial data provide important information in the establishment of the optimal telecommunication systems especially in the mobile telecommunication environment.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utilize geophysical properties and geospatial information in the analysis of the telecommunication environment through point-to-point wave property modeling. Geophysical properties associated with wave propagation parameters of the earth surface were analyzed based on hierarchical land classification using Landsat ETM+ and IKONOS images. Three-dimensional geospatial information was obtained by processing stereo aerial images. The results show that the accurate geospatial information and reliable geosphysical property of the surface improve the prediction of receiving power of the receivers located near corners of the buildings where diffractions occur. The wave property model developed from accurate telecommunication environment could be applied to optimal cell planning and delay time analysis.

  • PDF

공간정보 기반의 협업지원플랫폼 분석 및 구축 (A Study on Analysis and Development of Geo-Spatial Collaboration Platform)

  • 최원욱;홍상기;안종욱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23권4호
    • /
    • pp.33-46
    • /
    • 2015
  • 일반적으로 공급중심의 공간정보 데이터 구축 및 서비스 개발은 정보의 최신성, 다양성, 활용성의 한계를 수반한다. 최근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공간정보 웹서비스에 사용자 경험과 참여기반의 공간정보(VGI: Volunteered Geographic Information)를 활용하려는 노력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는 선행연구 검토를 통하여 공간정보 기반의 협업지원플랫폼 프로토타입 개발을 위한 개념적 아키텍처와 서비스 시나리오를 제시하였다. 또한 '3D POI 생산모듈', '3D POI 활용모듈', '3D POI/이벤트 관리모듈', '3D POI/이벤트 모니터링 모듈' 총 4개의 모듈로 구성된 프로토타입을 공간정보 협업을 위한 기능으로 제시하였다. 제안된 서비스 시나리오를 바탕으로 개별 모듈들의 프로토타입을 구현하였다.

Design of the Realtime GNSS Surveying Software for Advancement of Geospatial Information Construction Technology

  • Park, Joon Kyu;Jung, Kap Yong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425-430
    • /
    • 2016
  • Currently, start of the operation US GPS, the Russian Glonass, European Galileo, the Chinese Compass satellites for positioning are celebrating a true GNSS (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generation. Korea is building advanced infrastructure such as a national network consisting of CORS (Continuously Operating Reference Station), VRS service for real-time precise positioning and perform continuous upgrading. However, the acquisition of geospatial information using the national infrastructure requires many steps and high dependence on foreign software part in this process. This study contributes to advanced construction technology of geospatial information by design of realtime GNSS surveying system. As a results, it has designed the surveying software that can effectively positioning realtime. Designed realtime surveying software can utilized in various fields.

모바일용 지하공간통합지도 제공 플랫폼 활용을 위한 기반 기술 연구 (Reserch On The Fundamental Technology To Utilization Of Platform To Providing Mobile Underground Geospatial Infomation Map)

  • 이태형;김현우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173-183
    • /
    • 2020
  • 도심지 지하시설물 노후화가 진행되고, 도로 굴착 안전사고에 불안이 형성되고 있는 가운데, 국토교통부에서는 「지반침하 예방대책」과 지하공간의 효율적 활용방안의 일환으로 2015년부터 지하공간통합지도를 구축하기 시작하여 그 범위를 매년 확산하고 있다. 현행 지하공간통합지도 정보는 웹기반으로 데스크탑 환경에서 운용되고 있는 바, 굴착 공사장과 같은 현장 환경에서의 활용에는 제한되는 부분이 있는 것이 사실이다. 웹기반 환경에서 구축 운영되고 있는 지하공간통합지도는 대용량 3차원 데이터이다. 따라서 데이터를 현장으로 지체 없이 전송하여 서비스하기 위해서는 지하공간통합지도 데이터를 가볍게 할 방안이 필요하다. 또한 현재 지하공간통합지도는 3DS, COLLADA등 데이터포맷이 일원화 되어있지 않으며, 좌표체계 방식도 상대좌표, 절대좌표 등으로 상이하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 선행연구와 기술적용 사례를 분석하여 모바일용 지하공간통합지도 데이터포맷 및 경량화 방법을 제시하고, 제시된 포맷의 모바일용 지하공간통합지도를 생성할 수 있는 기술 개발을 실시하였다. 또한 현장에서 빠르게 데이터를 전송받을 수 있도록 3차원 데이터 압축기술을 적용하여 경량화율을 테스트해 보았으며, 현장에서 압축된 3D 데이터를 해제하여 활용할 수 있는 기술개발을 하였다. 아울러 향후 본 연구에서 실험적으로 개발한 기술을 보완하고 추가 연구실시하여 굴착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로 제작하여 활용에 쓰이는 것을 목표로 한다.

공간정보 구축 분야의 모바일 매핑 시스템 활용을 위한 상용 시스템의 특징 및 현황 조사 (Characteristics and Status of Commercial System for Utilizing MMS in Geospatial Information Construction)

  • 박준규;엄대용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10호
    • /
    • pp.36-41
    • /
    • 2017
  • 1991년 미국 오하이오 주립대학에서 처음 소개한 모바일 매핑 시스템은 센서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개발되고 있다. 모바일 매핑 시스템은 이동체의 위치와 자세정보, 다양한 센서들의 취득 데이터를 통해 이동체 주변의 공간정보를 빠르게 취득할 수 있는 시스템으로 기존의 GNSS나 토털스테이션과 같은 측량 방법보다 생산성을 극대화 시키고 있다. 현재 해외 기업을 중심으로 다양한 시스템이 출시되고, 공간정보 구축분야에 적용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지만 국내에서의 관련 기술개발이나 실질적 활용은 아직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지상기반 모바일 매핑 시스템을 중심으로 상용화된 시스템의 현황 조사 및 특징 분석을 수행하여 공간정보 관련 업무에 시스템 도입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구를 통해 다양한 형태의 모바일 매핑 시스템의 현황 및 특징을 파악하였으며, 최근 시스템 개발 동향이 도입단가를 낮추기 위한 방향으로 진행되고 있음을 제시하였다. 현재 자동 정합 등 자료처리 기술의 발달, 저가형 모델 출시 등 공간정보 구축 분야의 모바일 매핑 시스템 적용을 위한 기반이 조성되고 있어 향후 관련분야의 도입 활성화와 작업 효율성 향상이 기대된다.

HTML5/WebGL 기반 3D 공간정보 오픈플랫폼 소프트웨어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3D Geospatial Open Platform Based on HTML5/WebGL Technology)

  • 김민수;장인성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23권6호
    • /
    • pp.57-66
    • /
    • 2015
  • 최근 공간정보 오픈플랫폼의 활용도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지형, 건물, 쇼핑몰 등과 같이 3차원 공간정보에 대한 관심이 크게 증가하고 있다. 특히, 단순화된 3차원 공간정보가 아니라 실세계와 유사한 고정밀 공간정보에 대한 관심이 크게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3차원 공간정보에 대한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다양한 3차원 공간정보 오픈플랫폼들이 개발되어 서비스를 제공하여 왔다. 그러나, 대부분의 3차원 공간정보 오픈플랫폼들은 빠른 렌더링 성능을 제공하기 위하여 설치 과정의 어려움, 크로스 웹 브라우저/운영체제 지원 불가, 보안 약화 등의 많은 문제점에도 불구하고, 플러그인 모듈을 부득이하게 이용하고 있다. 더구나, 최근 크롬, 파이어폭스 등의 웹 브라우저에서 플러그인 모듈의 동작을 지원하였던 NPAPI 서비스에 대한 중단을 선언함으로써, 기존 플러그인 기반 3차원 공간정보 오픈플랫폼의 동작에 큰 문제가 발생하게 되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플러그인을 사용하지 않고 3차원 공간정보를 빠른 성능으로 서비스할 수 있는 방법으로 HTML5/WebGL의 차세대 웹 표준 기술을 활용한 새로운 3차원 공간정보 오픈플랫폼의 설계 및 구현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이러한 HTML5/WebGL 기반의 차세대 공간정보 오픈플랫폼은 Windows, Linux, Mac 등의 크로스 운영체제와 IE, Chrome, Firefox, Safari 등의 크로스 브라우저, 그리고 모바일 플랫폼에서 동작이 가능하다.

국방지리공간정보 거버넌스에 대한 연구 - 미(美) 정보공동체와 육군 랜드워넷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Defense Geospatial Intelligence Governance - Focusing on the Intelligence Community and LandWarNet)

  • 김동환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22권1호
    • /
    • pp.19-26
    • /
    • 2014
  • 최근 ICT 환경이 급격하게 발전하면서 전쟁의 양상도 네트워크중심전(NCW)으로 바뀌어가고 있다. 우리나라도 그 중요성을 인식하고 C4I체계, 전술데이터링크 등 정보통신분야의 발전은 비약적인 발전을 거듭했다. 그러나 네트워크 체계의 기본바탕이고, 임무수행체계의 기반이 되는 것은 지리공간정보이며, 그 동안 지리공간정보에 대한 관심 및 발전은 상대적으로 미흡했다. 이 논문은 미국 정보공동체에 대한 연구와 미 육군 범지구격자체계인 랜드워넷에 대한 연구를 통해 미국이 공유하고 있는 정보와 지리공간정보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하고, 우리나라에서 지리공간정보의 역할과 위상을 재조명하여, 향후 국방지리공간정보 거버넌스를 발전시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미국 정보공동체는 정책결정자들의 정보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다양한 정보출처에 대해 독립된 정보과정을 통해 정보를 생산해왔으며, NCW 전장환경에 부합한 범지구격자체계를 발전시키기 위해 미 육군은 랜드워넷 체계를 도입하였다. 랜드워넷 체계의 기반인 지리공간정보 데이터 구축을 위해 설립한 기구가 공병사령부 예하의 육군지리정보센터(AGC)이며, AGC는 육군 지리공간정보 사업(AGE)을 추진하고 있다. 우리나라도 NCW구현을 위해 지리공간정보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하고 국방지리공간정보의 중심점을 확립해야 한다. 현재 지리공간정보의 생산에 중점을 두고 있는 국방지형정보단의 임무 및 위상을 격상시키고, 육군에는 이에 걸맞는 공병지리공간연구소 설립이 요구되며, 지리정보 생산을 전담할 수 있는 한 개의 지리공간정보대대를 창설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지능형 공간정보 서비스 분류 매트릭스 (Developing a Classification Matrix of Intelligent Geospatial Information Services)

  • 김정엽;이용익;박수홍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 논문지
    • /
    • 제11권1호
    • /
    • pp.157-168
    • /
    • 2009
  • 우리가 살아가는 삶속에 깊숙이 파고든 공간정보는 유비쿼터스 시대에 맞춰 지능형 공간정보로 진화하고 있다. 또한 이를 이용한 다양한 서비스 모델이 소개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서비스에 대하여 사용자와 제공자에게 동시에 설명할 수 있는 분류체계는 존재하지 않는다. 이에 다양한 지능형 공간정보 서비스들을 체계적으로 분류할 수 있는 체계가 필요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지능형 공간정보의 개념을 소개하고 공간정보 서비스들의 특성을 고려한 서비스 분류 체계를 개발하였다. 개발된 지능형 공간정보 서비스분류 매트릭스는 지능수준 척도, 공간정보 정확도, 서비스 영역을 기준으로 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서비스 분류 매트릭스는 두 가지 관점에서 활용될 수 있다. 첫째, 지능형 공간정보의 수요가 늘어나면서 유사한 기능만을 가진 채 실수요를 반영하지 못하고 중복된 서비스들이 나타나는 현실을 개선시킬 수 있다. 둘째, 공간정보 산업의 현황을 들여다보고 새로 진입하게 되는 서비스의 목표 선정이나 미래의 발전 방향을 제시할 수 있다. 이러한 활용을 토대로 서비스 분류 매트릭스는 새로운 블루오션 창출과 같이 공간정보 사업 활성화를 이루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하지만, 서비스 분류 매트릭스는 향후 개발될 다양한 서비스를 적용하는데 있어 문제점이 없도록 수정과 보완이 필요하다. 그리고 분류 매트릭스는 궁극적으로 서비스 로드맵을 작성하기 위한 자료로 활용되거나 참조모델로서 활용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하여 U-City의 미래를 더욱 밝게 할 것이다.

  • PDF

정밀공간정보의 구축 및 활용을 위한 수치지도의 정확도 기준설정 연구 (Study on the Korean Accuracy Standards Setting of Digital Map for the Construction and Utilization of Precise Geospatial Information)

  • 박홍기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31권6_1호
    • /
    • pp.493-502
    • /
    • 2013
  • GIS에서 필요로 하는 다양한 공간정보의 요구 정확도는 활용목적에 따라 다르게 정의될 수 있으며, 공간정보에 대한 정확도는 측량 원자료의 품질과 관계된다. 따라서 정밀한 공간정보를 유용하게 활용하기 위해서는 기본도인 수치지도가 정확하게 제작될 수 있도록 정확도 기준이 적절하게 설정되어야 할 것이다. 컴퓨터 매핑 및 GIS 기술이 존재하기 전에는 종이지도가 수작업으로 그려졌기 때문에 지도의 축척은 지도의 정확도를 바로 의미하는 것이었다. 이렇듯 과거에는 지도의 정확도가 지도가 그려질 축척을 결정하였지만, 최근 디지털시대의 경향에서는 정확도가 지도 제작사양이라기 보다는 오히려 수치지도에 포함되는 품질요소 중 하나로 취급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은 오늘날 정밀한 공간정보의 구축 및 활용에 적합한 수치지도의 정확도 기준으로서 현재 우리나라 수치지도의 표현방식을 대신하는 새로운 기준설정 방안을 제시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3차원 국토공간정보 품질관리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Improvement Plan of Quality Control for 3D Geospatial Database)

  • 서창완;최윤수;김재명;김영학;김영길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17권2호
    • /
    • pp.231-241
    • /
    • 2009
  • 현재 21세기 지식정보화사회와 유비쿼터스국토의 기반을 조성하는 3차원 국토공간정보의 구축을 위한 품질 관리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통합품질관리를 통한 3차원 국토공간정보 품질관리의 향상은 공급자가 효과적으로 데이터를 갱신하고, 사용자가 최상의 자료를 취득할 수 있게 해준다. 본 연구는 기존 3차원 품질관리와 사례분석를 통하여 3차원 국토공간정보 품질관리개선안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첫째, 3차원 국토공간정보 품질관리의 개념을 수립하였고 둘째, 3차원 국토공간정보 품질관리의 범위와 내용 및 절차는 구체적인 세부 항목으로 분류하여 설정하였으며, 마지막으로 구축지침 개선안에 따라 3차원 국토공간정보의 구축 공정과정별로 품질관리표 등 품질과 관련된 개선사항을 도출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