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eospatial

검색결과 1,659건 처리시간 0.032초

Deregulation Necessity for the Invigoration of Drone Utilization in the Geospatial Information Field

  • Heo, Joonghyeok;Park, Joonkyu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351-357
    • /
    • 2022
  • In this study, a direction for deregulation that can increase the use of drones in the field of spatial information is presented. Regulations and administrative procedures for drone operation showed similar procedures in Japan, the United States, and Korea, such as reporting flight equipment, driver's license, and prohibition of flying within a specific flight zone. In the United States, policies to encourage the use of commercial drones have been implemented, and Japan has slightly tightened regulations on drone operation to protect the Olympics and important national facilities. As a result of the study, in the area where drone operation is restricted for geospatial data construction, Korea was setting the largest area, and GIS analysis showed that Korea's drone flight restricted area was more than 19.4% of the country's land area. In order to increase the utilization of drones in the construction and utilization of spatial information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reset the drone flight restriction zone and reduce the area of the drone flight restriction zone.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Korea is the only country that has formal and specific regulations on geospatial information security management. In order to increase the construction of geospatial information using drones, it is necessary to ease GSD (Ground Sample Distance)regulations.

Design of the Realtime GNSS Surveying Software for Advancement of Geospatial Information Construction Technology

  • Park, Joon Kyu;Jung, Kap Yong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425-430
    • /
    • 2016
  • Currently, start of the operation US GPS, the Russian Glonass, European Galileo, the Chinese Compass satellites for positioning are celebrating a true GNSS (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generation. Korea is building advanced infrastructure such as a national network consisting of CORS (Continuously Operating Reference Station), VRS service for real-time precise positioning and perform continuous upgrading. However, the acquisition of geospatial information using the national infrastructure requires many steps and high dependence on foreign software part in this process. This study contributes to advanced construction technology of geospatial information by design of realtime GNSS surveying system. As a results, it has designed the surveying software that can effectively positioning realtime. Designed realtime surveying software can utilized in various fields.

개방형 공공데이터의 공간정보 활용을 위한 Geo-Data Appliance 구현방안 (A Study on Geo-Data Appliance for Using Geospatial Information of Public Open Data)

  • 연성현;김현덕;이인수
    • 지적과 국토정보
    • /
    • 제45권2호
    • /
    • pp.71-85
    • /
    • 2015
  • 최근 국가에서 공공데이터를 적극 개방하여 민간의 활용을 장려하고 있는데, 이는 정부의 국정운영 패러다임인 '정부 3.0'에 근거한다. 이러한 흐름에 따라 공간정보를 활용하여 비즈니스 모델을 수립하고, 사업화하기 위한 데이터 플랫폼이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 텍스트 기반의 공공데이터를 공간정보 분야에서 활용하기 위한 체계 수립이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공간참조유형의 공공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제공하고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하여 텍스트 기반의 공공데이터를 활용한 공간정보데이터 제공 시스템을 구축하였다. 이를 통해 위치정보를 가진 공공데이터에 대한 사용자의 접근성과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었다. 또한 생산기관이 상이한 공공데이터를 연계하여 공간데이터로 가공한 후 완제품 형식으로 제공하는 어플라이언스(Appliance) 시스템의 구성요건을 제시하였다.

수치사진측량시스템을 이용한 3차원 공간데이터 구축 (The Generation of 3D Geospatial Data using Digital Photogrammetry System)

  • 노명종;조우석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 2005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29-34
    • /
    • 2005
  • 지금까지 지도제작 등 공간정보의 구축을 위해 가장 빈번하게 사용되고 있는 기술 분야 중 하나인 항공사진측량은 작업방법이나 정확도 등의 검증이 완료된 상태이므로 신뢰성 높은 정확한 3차원 공간정보의 추출이 가능하다. 항공사진측량은 중첩된 지역을 촬영한 2장 이상의 항공사진과 최소한의 지상 기준점을 이용하여 3차원 입체모델을 구성함으로써 촬영당시의 지표면을 그대로 재현한다. 구성된 항공사진 입체모델을 통하여 해석 도화기나 수치사진측량시스템 등의 전문 장비를 이용하여 도화작업을 수행함으로써 정확한 3차원 정보를 추출할 수 있으며, 수치사진측량시스템을 이용하는 경우 제한적인 범위 내에서 자동화 작업의 수행이 가능하다. 특히 현재는 디지털 카메라를 이용한 방법이 개발됨으로써 그 효용성이 더욱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수치사진측량시스템을 이용하여 3차원 공간데이터를 구축하는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정밀공간정보의 구축 및 활용을 위한 수치지도의 정확도 기준설정 연구 (Study on the Korean Accuracy Standards Setting of Digital Map for the Construction and Utilization of Precise Geospatial Information)

  • 박홍기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31권6_1호
    • /
    • pp.493-502
    • /
    • 2013
  • GIS에서 필요로 하는 다양한 공간정보의 요구 정확도는 활용목적에 따라 다르게 정의될 수 있으며, 공간정보에 대한 정확도는 측량 원자료의 품질과 관계된다. 따라서 정밀한 공간정보를 유용하게 활용하기 위해서는 기본도인 수치지도가 정확하게 제작될 수 있도록 정확도 기준이 적절하게 설정되어야 할 것이다. 컴퓨터 매핑 및 GIS 기술이 존재하기 전에는 종이지도가 수작업으로 그려졌기 때문에 지도의 축척은 지도의 정확도를 바로 의미하는 것이었다. 이렇듯 과거에는 지도의 정확도가 지도가 그려질 축척을 결정하였지만, 최근 디지털시대의 경향에서는 정확도가 지도 제작사양이라기 보다는 오히려 수치지도에 포함되는 품질요소 중 하나로 취급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은 오늘날 정밀한 공간정보의 구축 및 활용에 적합한 수치지도의 정확도 기준으로서 현재 우리나라 수치지도의 표현방식을 대신하는 새로운 기준설정 방안을 제시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사용자 참여형 공간정보 웹서비스의 가치사슬분석 (Value Chain Analysis of Geospatial Web Service for VGI Application)

  • 최원욱;홍상기;안종욱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22권2호
    • /
    • pp.73-87
    • /
    • 2014
  • 일반적으로 공급중심의 공간정보 데이터 구축 및 서비스 개발은 정보의 최신성, 다양성, 활용성의 한계를 수반한다. 최근 이러한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공간정보 웹서비스에 사용자 경험과 참여기반의 공간정보(VGI: Volunteered Geographic Information)를 활용하려는 노력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는 선행연구를 검토하여 VGI를 지원하는 공간정보 웹서비스의 10C 프레임워크를 제안하였다. 또한 10C 프레임워크를 기반으로, 사용자 참여를 통하여 VGI를 생산하는 23개 공간정보 웹서비스의 가치사슬체계를 분석하였다. 가치사슬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VGI의 생산, 수집, 전달, 이용 측면에서 공공 공간정보의 가치증진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공간정보 기반의 협업지원플랫폼 분석 및 구축 (A Study on Analysis and Development of Geo-Spatial Collaboration Platform)

  • 최원욱;홍상기;안종욱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23권4호
    • /
    • pp.33-46
    • /
    • 2015
  • 일반적으로 공급중심의 공간정보 데이터 구축 및 서비스 개발은 정보의 최신성, 다양성, 활용성의 한계를 수반한다. 최근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공간정보 웹서비스에 사용자 경험과 참여기반의 공간정보(VGI: Volunteered Geographic Information)를 활용하려는 노력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는 선행연구 검토를 통하여 공간정보 기반의 협업지원플랫폼 프로토타입 개발을 위한 개념적 아키텍처와 서비스 시나리오를 제시하였다. 또한 '3D POI 생산모듈', '3D POI 활용모듈', '3D POI/이벤트 관리모듈', '3D POI/이벤트 모니터링 모듈' 총 4개의 모듈로 구성된 프로토타입을 공간정보 협업을 위한 기능으로 제시하였다. 제안된 서비스 시나리오를 바탕으로 개별 모듈들의 프로토타입을 구현하였다.

공간정보 플랫폼 구축을 위한 전자지도와 POI 정보의 매칭 방법 (Matching Method of Digital Map and POI for Geospatial Web Platform)

  • 김정옥;허용;이원희;유기윤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23-29
    • /
    • 2009
  • 최근 포털사이트 및 여러 분야에서 제공하는 지도서비스로 쉽게 공간정보를 이용할 수 있어 다양한 기관에서 제공하는 공간정보의 통합에 대한 연구가 주목을 받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이종의 공간정보를 통합하는 연구를 진행하였다. 공간정보의 통합과정은 다른 제공기관에서의 공간정보 추출과 동일좌표계로의 변환 그리고 대응되는 공간객체쌍을 찾는 단계로 구성되며, 본 연구에서는 마지막 단계인 실세계의 대응되는 공간객체를 매칭하는 연구를 중심으로, 전자지도와 POI와 같은 이종의 공간정보를 효율적으로 통합하는 방법을 개발하였다. 이를 위해 네 개의 매칭 종류와 그에 따른 기준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된 목적은 이종의 공간객체에 대한 매칭을 위해 공간정보 및 부가적인 속성정보를 이용하는 구체적인 방법과 절차를 제시하는 것이다.

  • PDF

지리공간 웹 서비스 기반의 기준점 자동추출 기법 연구 (Automatic Extraction Method of Control Point Based on Geospatial Web Service)

  • 이영림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17-24
    • /
    • 2014
  • 본 논문에서는 지리공간 웹 서비스 기반의 기준점 자동 추출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기법은 3단계로 구성된다. 1) 첫 번째 단계에서는 지리공간 웹 서비스를 통해 대상영상의 촬영지역에 해당하는 기준자료를 자동으로 획득하고, 2) 두 번째 단계에서는 획득된 기준자료와 대상영상에 SURF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후보 기준점을 찾는다. 3) 마지막 단계에서는 RANSAC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추출된 후보 기준점 중 정 정합점을 최종 기준점으로 산출한다. 제안하는 기법은 기준자료를 획득하기 위해 지리공간 웹 서비스를 활용하였다. 이를 통하여 제안하는 기법은 기준영상과 고도자료의 관리 및 획득 시 사용자 편의성을 증대 시켰고, 표준을 따르기 때문에 높은 확장성을 가진다. 본 논문에서는 제안하는 기법을 SPOT-1, SPOT-5, IKONOS 위성영상에 적용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지역에 적용한 결과, 제안하는 기법은 대상영상의 촬영센서, 촬영일자, 해상도 변화에도 RMSE 5화소 미만의 일관된 정확도를 산출하였고, 대상영상의 해상도가 좋아짐에 따라 정확도의 지속적인 향상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또한 기준영상과 고도자료로 군 표준 자료를 사용함으로써 제안하는 기법의 군사적 활용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유비쿼터스 기술을 이용한 다중집합장소의 시민서비스 고도화 방안 : 지리공간 웹 기반 서비스 제공을 중심으로 (Strategic Plan for Improvement of Citizen Service using Ubiquitous Technology on Public Area: Geospatial Web based Service)

  • 강영옥;김희원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16권1호
    • /
    • pp.79-99
    • /
    • 2008
  • 유비쿼터스 기술을 실생활에 활용하고자 하는 노력은 기업은 물론 중앙정부와 지자체를 중심으로 다양한 사업 형태로 추진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많은 사람들이 모이는 다중집합장소를 중심으로 유비쿼터스 기술을 이용하여 시민서비스를 고도화하기 위한 전략적 추진방안을 제시하였다.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네트워크 접속이 가능해 지면서, 유비쿼터스 서비스 모델은 보편적 지도위에 참여와 협업을 전제로 하는 모델이 구상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이를 구현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보편적으로 이용 가능한 디지털 지도의 구축, 디지털 지도기반의 컨텐츠 제작, 이와 관련된 유비쿼터스 시설 설치, 그리고 컨텐츠 확보를 위한 기존 홈페이지의 웹 표준화 및 자료정비, 기존자료를 인터넷지도와 연계하여 지리정보 및 속성정보 표출할 수 있도록 하는 등의 인터넷고도화 사업을 제안하였다. 향후의 유비쿼터스 서비스는 기술적 관점 뿐 아니라 그 장소를 활용하는 시민, 기업, 공공부분의 특성과 이들이 요구하는 수요에 기반 하는 서비스 모델이 개발되어야 할 것이며, 이 기반에는 지리공간 웹이 핵심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