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Geo-Data Appliance for Using Geospatial Information of Public Open Data

개방형 공공데이터의 공간정보 활용을 위한 Geo-Data Appliance 구현방안

  • 연성현 (한국국토정보공사 공간정보연구원 국토정보연구실) ;
  • 김현덕 (한국국토정보공사 공간정보연구원 국토정보연구실) ;
  • 이인수 (한국국토정보공사 공간정보연구원 국토정보연구실)
  • Received : 2015.10.23
  • Accepted : 2015.11.27
  • Published : 2015.12.10

Abstract

Recently, the South Korean government actively opens the public data to encourage people to use it in private sector. It is based on 'Government 3.0' that is the paradigm for government operation. According to this trend, a data platform is required for establishing and commercializing business models that utilizing geospatial data. However, it is currently insufficient to establish the geospatial data system using the text-based public open data. This study constructs a geospatial data supply system using the public data for the purpose of providing and using the public data of spatial reference type efficiently. It improves the accessibility of user and the usability to the public data having location information. Besides,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components of the appliance system that connects the public data from different public institutions for different purposes with producing the geospatial data in the type of a finished product.

최근 국가에서 공공데이터를 적극 개방하여 민간의 활용을 장려하고 있는데, 이는 정부의 국정운영 패러다임인 '정부 3.0'에 근거한다. 이러한 흐름에 따라 공간정보를 활용하여 비즈니스 모델을 수립하고, 사업화하기 위한 데이터 플랫폼이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 텍스트 기반의 공공데이터를 공간정보 분야에서 활용하기 위한 체계 수립이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공간참조유형의 공공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제공하고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하여 텍스트 기반의 공공데이터를 활용한 공간정보데이터 제공 시스템을 구축하였다. 이를 통해 위치정보를 가진 공공데이터에 대한 사용자의 접근성과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었다. 또한 생산기관이 상이한 공공데이터를 연계하여 공간데이터로 가공한 후 완제품 형식으로 제공하는 어플라이언스(Appliance) 시스템의 구성요건을 제시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영옥.김현덕(2014), 구글 API를 활용한 공공 데이터의 지리적 시각화 연구, 한국지도학회지, 14권, 1호, pp.1-15.
  2. 강희종(2014), 공공데이터의 효율적 활용을 위한 정책 과제, STEPI Insight, (156), pp.1-30.
  3. 김단비(2015), 정부 3.0시대의 개방형 공공데이터포털의 효과적인 접근을 위한 사례 연구, 석사학위논문, 서울시립대학교, pp.14-33.
  4. 김정옥.김지영.차득기(2014), 공공데이터의 위치정보를 이용한 지오태깅 방법론 분석, 한국지적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pp.119-129.
  5. 김청림.권용진.박재휘.이상구(2010). 시맨틱 데이터 클라우드 : 시맨틱 기술 기반 공공정보 배포 프레임워크,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27(2C), pp.20-24.
  6. 박원준(2014), 창조경제 기반조성을 위한 공공 데이터 개방과 활용 사례, 동향과 전망 : 방송.통신.전파, 제72호, pp.30-43.
  7. 백인수(2013), 오픈데이터 플랫폼과 국가 데이터 전략방향, 한국정보화진흥원, IT & Future Strategy, 제16호. pp.1-23.
  8. 서형준.명승환(2014), 수요자 중심의 공공 데이터 민간 활용 방안, 한국지역정보화학회지, 17(3), pp.61-86.
  9. 송인국(2015), 인터넷기반 공공데이터 활용방안 연구,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16(4), pp.131-139. https://doi.org/10.7472/jksii.2015.16.4.131
  10. 송효진(2013), 정보속으로 : 특집 ; 공공데이터 개방 및 활용지원을 위한 지방자치단체의 조례 제정의 필요성, 지역정보화, pp.18-21.
  11. 연성현.이인수.차득기(2014), 공공데이터와 오픈플랫폼의 효율적 자료연계를 위한 연계서버 모형, 지적, 제44권, 제1호, pp.113-125.
  12. 유현경.육혜인.한희정.김용(2015), LOD기반의 문화콘텐츠 정보서비스 확장에 관한 연구, 정보관리학회지, 31(4), pp.109-134.
  13. 윤소영(2013), 공공데이터 활용을 위한 링크드 데이터 국가 연계체계 구축에 관한 연구, 정보관리학회지, 30(1), pp.259-284. https://doi.org/10.3743/KOSIM.2013.30.1.259
  14. 이만재(2011), 빅 데이터와 공공 데이터 활용, Internet&information security, 2(2), pp.47-64.
  15. 이현정.남영준(2014), 우리나라 공공데이터의 이용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 링크드 오픈 데이터화 전략을 중심으로, 정보관리학회지 31(4), pp.249-266. https://doi.org/10.3743/KOSIM.2014.31.4.249
  16. 전보애(2012), 지리교육에서 GeoCloud의 활용, 한국사진지리학회지, 제22권, 제4호, pp.75-88.
  17. 정용완(2012), 데이터웨어하우스(DW) 어플라이언스 기술 동향 분석, 한국정보기술학회지, 제10권, 제2호 pp.107-111.
  18. Data.go.uk(2015), http://www.data.go.uk/ (접속일 : 2015.9.12.).
  19. Data.go.kr(2015), http://www.data.go.kr/ (접속일 : 2015.8.20.).
  20. Data.gov(2015), http://www.data.gov/ (접속일 : 2015.9.12.).
  21. Data.gov.au(2015), http://data.gov.au/ (접속일 : 2015.9.13.).
  22. Data Appliance for ArcGIS(2015), http://www.esri.com/software/arcgis/data-appliance (접속일 : 2015.1.9.).
  23. Data.seoul.go.kr(2015), http://data.seoul.go.kr/ (접속일 : 2015.7.10.).
  24. IT Glossary(2015), http://www.gartner.com/it-glossary/ (접속일 : 2015.1.9.)
  25. Google Fusion Tables(2014), https://www.google.com/fusiontables/data?dsrcid=implicit (접속일: 2014.8.19.).
  26. India.gov.in(2015), http://india.gov.in/ (접속일 : 2015.9.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