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Geomun-Do

검색결과 27건 처리시간 0.024초

Four New Species of the Family Tegastidae (Copepoda, Harpacticoida) from Shallow Waters of Korea

  • Jong Guk Kim;Kyuhee Cho;Jimin Lee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39권4호
    • /
    • pp.218-247
    • /
    • 2023
  • In our ongoing efforts to explore the species diversity of the harpacticoid fauna in Korea, we present findings on four newly identified species from family Tegastidae Sars, 1904. Although this family is frequently encountered in phytal communities, the diversity of tegastid copepod species within Korean waters largely remains to be elucidated. Drawing from our collections of tegastid harpacticoids from Chuja-do and Geomun-do Islands, we provide morphological descriptions for Tegastes lobus sp. nov., T. tresetosus sp. nov., T. pilosus sp. nov., and Syngastes acutus sp. nov., and propose their taxonomic relationships in relation to other species within the genus. Finally, we update the list of tegastid harpacticoids found in Korea and provide a key for identifying the six confirmed species from this region.

Prunus glandulosa Thunb.(Rosaceae) and its distribution on the Korean Peninsula

  • Kim, Jung-Hyun;Kim, Sun-Yu;Hyun, Chang Woo;Park, Jeong-Mi;Kim, Jin-Seok
    • Journal of Species Research
    • /
    • 제9권2호
    • /
    • pp.117-121
    • /
    • 2020
  • Prunus glandulosa Thunb. [=Cerasus glandulosa (Thunb.) Sokolov] (Rosaceae) is native to the warmtemperate region of China (Anhui, Fujian, Guangdong, Guangxi, Guizhou, Hebei, Henan, Jiangsu, Shaanxi, Shandong, Sichuan, Yunnan, and Zhejiang Provinces). It is naturalized in the United States (i.e. Alabama, Michigan and North Carolina) and Canada (Ontario). This species, previously only recorded as introduced or cultivated plants on the Korean Peninsula, was confirmed to be naturally distributed in the southwestern coast islands(i.e. Geomun-do, Chuja-do and an uninhabited island in Shinan-gun of Jeollanam-do). Prunus glandulosa Thunb. is distinguished from a related taxon P. japonica var. nakaii (H. Lév.) Rehder by pedicel 8-12 (-16) mm long, linear stipules, glabrous style, and pink petals. The morphological characters and illustration of P. glandulosa Thunb. are provided with line drawings and photographs from the natural habitat. In addition, it is likely that a new habitat will be found by plant biodiversity investigations through the southwestern coast islands. Further research is needed to determine its population size, distribution, and threats, as well as identify appropriate locations for conservation collection of germplasm.

한국에서 출현한 실고기과(실고기목) 미기록종, Hippocampus sindonis (First Record of Hippocampus sindonis (Syngnathiformes: Syngnathidae) from Korea)

  • 김성용;권선만;최승호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42-45
    • /
    • 2013
  • 거문도 연안에서 채집된 해마속의 어류를 근거로 Hippocampus sindonis를 한국에서의 미기록종으로 보고하였다. 본 종은 등지느러미 기조수 15개, 가슴지느러미 기조수 14개이며, 10개의 몸통 체륜과, 37개의 꼬리 체륜 등을 가지는 특징에 의해 국내의 유사종과 구별되며, 국명은 "신도해마"로 명명하였다.

DNA Barcoding of the Marine Protected Species Parasesarma bidens (Decapoda: Sesarmidea) from the Korean Waters

  • Kim, So Yeon;Yi, Chang Ho;Kim, Ji Min;Choi, Woo Yong;Kim, Hyoung Seop;Kim, Min-Seop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36권2호
    • /
    • pp.159-163
    • /
    • 2020
  • Parasesarma bidens(De Haan, 1835) has been designated as a marine protected species by the Act on conservation and management of marine ecosystems. This crab has been recorded only from Jeju-do and Geomun-do, Republic of Korea. In this study, we describe for the first time the mitochondrial cytochrome c oxidase subunit I(COI) sequences of P. bidens. The intra-specific genetic distance among the Korean populations and between the Korean and Chinese populations ranged from 0% to 0.9% and 1.9% to 2.7%, respectively. The inter-specific genetic distances among the four Parasesarma species ranged from 10.9% to 12.8%. The finding of this study will be helpful to better describe P. bidens using COI DNA barcodes and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their restoration and conservation research.

DNA Barcoding of the Marine Proteced Species Pseudohelice subquadrata (Decapoda, Varunidae, Pseudohelice) from the Korean Waters

  • Kim, Ji Min;Kim, Jong-Gwan;Kim, So Yeon;Choi, Woo Yong;Kim, Hyung Seop;Kim, Min-Seop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36권3호
    • /
    • pp.228-231
    • /
    • 2020
  • Pseudohelice subquadrata (Dana, 1851) is endangered due to its restricted habitat; hence, it has been designated as a marine protected species and endangered species by law in Korea. It has been recorded only Jeju-do and Geomun-do, Republic of Korea. The present study, is the first report on a cytochrome c oxidase subunit I DNA barcode for P. subquadrata. The maximum intra-specific genetic distance among all P. subquadrata individuals was found to be 0.5%, whereas inter-genetic distance within the same genus was 17.2-21.5% compared with Helice tientsinensis (Rathbun, 1931), H. tridens (De Haan, 1835), H. epicure (Ng et al., 2018), and Helicana wuana (Rathbun, 1931). Our barcoding data can thus be used as reference for restoration and conservation studies on P. subquadrata, which are designated as marine protected species.

한국 거문도 인근해역의 만새우, Parapenaeopsis tenella의 개체군 동태 (Population Dynamics of Smoothshell Shrimp, Parapenaeopsis tenella from the Coastal Area of Geomun-do, Korea)

  • 오택윤;차형기;최정화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40권1호
    • /
    • pp.9-16
    • /
    • 2004
  • 우리나라의 서해와 남해 연안에 분포하는 민새우는 서해 북쪽으로는 영광에서 남쪽으로 거제도까지 널리 분포한다. 거문도 인근해역에서 채집된 민새우의 암 ${\cdot}$ 수 성비는 암컷이 48.6% 로 나타났고, 이 개체군은 7월과 8월에 성숙하고, 년 1 회 신생 가입군이 발생되었다. 교미한 개체는 7월과 8월에 출현하기 시작하였고, 갑각정 13mm 이상의 전 출현 암컷의 50% 이상이 교미한 것으로 나타났고, 성숙도지수는 7-8월에 최고치를 나타내었다. 암컷의 최소 성숙개체는 갑각장 11mm이고, 성 성숙과 교미율에 의한 군성숙도 ($CL_{50}$) 는 각각 갑각장 12.53mm와 12.28mm로 나타났다. 체장 빈도 자료에 의해 추정된 민새우의 수명은 암컷이 14-15개월로 나타났다. 변형된 von Bertalanffy 성장식에 의해 추정된 성장계수(K)는 암 ${\cdot}$ 수 각각 1.22/년과 2.00/년이고, 최대 갑각장 ($L_{\infty}$)은 암 ${\cdot}$ 수 각각 21.99mm와 15.00mm이였으며, 암컷이 수컷보다 성장이 빠르고, 큰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거문도 연안에 시설된 세라믹 어초 인접 어장에서의 어획량과 어획종 변동 (Variations of Catch and Fish Species in the Adjacent Fishing Ground of Ceramic Artificial Reefs Constructed on the Coastal Area of Geomun-do, Korea)

  • 박성욱;김대권;이정우;안희춘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40권4호
    • /
    • pp.295-303
    • /
    • 2004
  • 한국 거문도 연안에서 시설된 세라믹 어초의 시설 효과를 구명하기 위하여 2001년부터 2003년까지 어초 시설구, 자연초구 및 비시설구 어장에서 삼중자망에 의한 어획량과 어획종을 조사하였다. 어초 시설구에서의 폭당 어획량은 1,621.9g으로 자연초구와 비시설구에 비해 각각 67.9%, 333.3%많았는데, 이를 Tukey test로 검정한 결과, 어초 시설구와 자연초구에서는 유의차가 없었으며, 어초 시설구와 비시설구와는 유의차가 인정되었다.(p<0.05). 어초 시설구에서 어획된 월 평균 종수는 7.2종으로 자연초구에 비해 7.1% 적었던 반면 비시설구보다 97% 많았는데, ANOVA 분석결과 유의차가 없었다. 어초 시설구의 어획률은 11월에 최대, 5월에 최소치를 보였으며, 이러한 현상은 자연초구, 비시설구에서도 나타났다. 어초 시설구의 우점종은 참동, 말쥐치, 쥐치, 도다리, 거북복 등 암초성이 강한 저서어종이었고, 자연구와 비시설구에서는 저서성 및 회유성 어종이 혼재하였다.

우리나라 서·남해안에서 출현하는 다모류를 통한 해역의 생태등급 산정 (Assessment of Ecological Grade Based on Polychaete Fauna in the Western and Southern Coast of Korea)

  • 백상규;박흥식;윤성규;제종길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89-104
    • /
    • 2005
  • 우리나라 서 남해안에 위치한 59개 갯벌의 다모류 출현 양상을 바탕으로 갯벌의 생태등급을 평가하였다. 갯벌의 생태등급 평가는 다모류의 분포밀도, 다양성, 풍부성, 자원적 가치, 종 위험도 등의 생물학적인 자료와 해안선의 자연성, 훼손 가능성, 지형경관 등의 인문지리학적인 면을 평가기준으로 하였다. 조사지역에서 출현한 다모류는 총 14목 37과 181종이었으며, 각 조사지역의 생태등급은 다음과 같다. I 등급 4개 지역(충남 학암포, 전남 우이도와 거문도, 경남 비진도와 매물도), II 등급 30개 지역, III 등급 19개 지역, IV 등급 4개 지역이었다. 이번 조사 결과 생태등급 기준에 대한 보다 면밀한 검토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되며, 선정된 각 해역의 생태등급에 따른 정기적인 생물 조사 및 생태계 위협요인의 제거와 같은 실질적인 관리 방안을 마련하여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특히 생물상 및 자연성이 높은 생태등급 지역의 경우 보다 적극적인 보전 노력이 요구된다.

  • PDF

한국산 천남성속 두루미천남성절의 1 신아종(천남성과), 거문천남성 (Arisaema thunbergii supsp. geomundoense S.C.Ko (Araceae), a new subspecies from Korea)

  • 고성철;이두범;신영화;태경환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209-216
    • /
    • 2006
  • 다도해해상국립공원에 속한 거문도에서 천남성속, 두루미천남성절, 무늬천남성아절에 해당되는 1 신아종인 거문천남성(Arisaema thunbergii subsp. geomundoense S.C. Ko)을 기재 및 도해하였다. 화수부속체 기부의 비후부의 색깔이 진한 자색 또는 적자색인 것이 기본종인 무늬천남성(A. thunbergii supsp. thunbergii)과 다르고, 비후부에 주름이 있는 것이 일본에 자생하고 있는 비후부가 평활한 A. thunbergii supsp. urashima와 다르다.

거문도 연안 잘피밭과 주변해역의 어류 종조성 및 양적변동 (Variation in abundance and species composition of fishes in eelgrass (Zostera marina) bed and around Geomundo)

  • 신경수;한경호;백정익;이성훈;이원교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51권4호
    • /
    • pp.484-492
    • /
    • 2015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ichthyofauna between the eelgrass bed waters located in the open sea and the nearby sea free of eelgrass, and this study collected a total of 26 species. Comparing the fish collected on the eelgrass bed (St.2) of Geomun-do coast with the fish collected on the coastal waters (St.1) void of the nearby eelgrass bed, the fish collected from the eelgrass bed included 19 species, 413 individual with 16,110.6g in weight while the fish collected from the coastal waters void of the eelgrass bed included 19 species, 290 individuals with 12,961.5g in weight. Accordingly, it was found that the population size and biomass of the fish collected from the eelgrass bed were higher than the coastal waters void of the eelgrass. This study could identify that diversity, richness, evenness index except dominance were also much higher even in the result of cluster analys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