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eometrical Idea

검색결과 49건 처리시간 0.023초

근대의 자연 공간과 인식 공간 (Natural Space and Cognitional Space in Modern)

  • 강동수
    • 철학연구
    • /
    • 제116권
    • /
    • pp.1-31
    • /
    • 2010
  • 본 논문은 근대 공간론들의 기하학적-수학적 이념을 해명하였다. 근대 공간론들은 점, 선, 면, 입방체 등의 연장 개념을 중요한 기반으로 채택하여 공간과 인간의 관계를 해명하면서 공간을 자연적인 실재로 규정하거나 주관적 관념 또는 형식으로 규명하였다. 근대 공간론들의 성과는 공간을 인간에게 근접시켰다는 점이다. 하나는 공간이 경험적으로 눈앞에 펼쳐져 측량될 수 있는 형태를 가지고 있다는 자연 공간의 의미이다. 다른 하나는 공간이 세계를 구성하고 자연을 이해하는 주관의 방식이고 형식이라는 인식 공간의 의미이다. 이런 의미들 속에서 근대 공간론들은 공간의 동질성 및 공간의 기하학적 해석을 고찰하고 체계화하였다. 근대의 공간론은 네 유형들로 구분될 수 있다. 첫째는 공간이 사물에 앞서 존재한다는 뉴턴의 절대 공간론이고, 둘째는 반대의 입장에서 공간을 모나드들의 공존 관계로 파악하는 라이프니츠의 상대 공간론이며, 셋째는 공간과 물질을 동일한 존재로 파악하는 데카르트의 연장 공간론이다. 넷째는 공간을 주관의 인식 형식으로 파악하는 칸트의 선험 공간론이다. 근대 공간론들은 공간의 본질을 수학적-기하학적인 측정 가능한 연장으로 파악한다는 점에서 공통점에도 불구하고 공간의 원천에 대해서 서로 대립된 태도를 보여준다. 이러한 대립 속에서 근대 공간론은 인간과 공간 사이의 관련성을 재조명하고 있다. 본 연구는 상이한 공간개념들을 자연 공간과 인식 공간으로 분류하여 그 차이를 분석하면서, 근대 공간론의 근원적인 의미를 성찰하였다. 근대 공간론들은 한편으로 인간의 공간소외를 초래한 원천이지만 다른 편으로 인간과 공간 사이의 관련성을 일깨운 단서를 제공하고 있다. 자연 공간은 공간이 외적 실재로서 구획되고 정돈될 수 있다는 것을 증시하였다. 이에 반해서 인식 공간은 공간이 자연과 세계를 이해하며 구성하는 인간의 주관적인 관념 또는 주관적 형식임을 제시한다. 전자가 공간이 인간과 무관하게 자연 법칙에 따라 측정되고 활용될 수 있다는 점을 부각하였다면, 후자는 공간이 인간과 분리해서 다루어질 수 없으며, 인간이 없으면 공간도 없다는 공간과 인간의 공속적인 관계를 증시한다. 이러한 근대 공간론들 속에는 인문주의적 이상이 선언되고 있다. 자연에 대한 인간의 주권의 선언이다. 그러나 이러한 주권 선언은 공간으로부터 인간을 소외시키는 계기를 제공하였다.

'그리드'(Grid)의 형성과 해체 -서양회화의 사적맥락과 그 해석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Construction and Deconstruction of the 'Grid' : The Historical Context and Interpretation)

  • 김재관
    • 조형예술학연구
    • /
    • 제1권
    • /
    • pp.125-164
    • /
    • 1999
  • The Grid, a lattice structure adapted in paintings, is one of thesimplest plastic structures based on the intersection of horizontal and perpendicular lines. Though mankind has, from the pre-history to the present day, put it to good use in everyday life as a traditional practice or a magical, esoteric, religious emblem in the case of the teciform of primitve art, it was in the paintings of Piet Mondrian that the Grid showed its modern, artistic transformation. As we suggest in the title, before I state the Grid as a plastic construction of modern painting, this dissertation inquires the Grid structure that extends over paintings through the ages as a painterly conept, especially focused on their formation and deconstruction. To begin with, my dissertation investigates, as a historical background, a general idea of the geometrical structure and phases of its transition in art, prior to dealing with the Grids as plastic strures in modern painting. the core of my study on formal Grids is permeated through the third chapter. The first chapter concentrates on, firstly, difining the notion of the Grid and geometrical structure, secondly, searching for a historical backgrounb with whict the so- called modern Grid-paintings come in, inquiring into the formation of the illusion-Grid as aresult of discovering the linear perpective and the situation of the conflict and reconciliaton between reality and illusion. Based on these considerations, the second cecond chapter will examine the various sitations of formation and adaptation of the paintery Grids in the Literalism-Grid, as we have already seen in the chapter one. And the cardinal third chapter devotes itself to the process of the formation of the so-called Object-Grid and Literal-Grid in the Literalism or Minimalism as its logical extension of the Painterly Grid. With it we can get to an interpretation and understanding of the meaning and qualites of Grid dwelt in Modernism thst transformed the structure of Painterly Grid originally as a plane concept to the third dimentionl structure. And then, the fourth chapter, we try to draw a new meaning andre-interpretation of the Formal-Grid as a representatuinnal structure appeared in the post-modernist paintings, going with its deconstructional situation. Therefore, we can, in our study on Grids, see the various points of view in the interpretation of them as illusion-structure, as plane-structure, and as cubic-structure; its concept differs form times, oscillating between its formation and deconstruction. The Grid, as we have seen in my dissertation, contains various problems and significations in art that deserve to investigate throughly, including some important plastic problem such as space and plane, and, in the case of do-grid, time. We may expect new concepts of it that will have difference meanings. 1 hope my study makes some contributions to understanding the coordination of the abstruse modern and contemporary art.

  • PDF

프랭크 로이드 라이트 건축에 나타난 프뢰벨 시스템의 적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the Froebel Systems in the F. L. Wright's Architecture)

  • 김민정;오장환;이강업;류재호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9권6호
    • /
    • pp.47-58
    • /
    • 2010
  • Frank Lloyd Wright(1867-1959) was regarded as the pioneer of the modern architecture in the beginning and transition period of 20th century. His works have the pure shape form which have the deep relationship with the organic architecture. Wright told himself that the Froebel System had an influence on his works a lot. This study have researched about the three dimensional application of the Froebel System in his works with assembling and disassembling. Also the two dimensional application in the diagonal and circular plans are the one of the subjects here. The following conclusions are reached. First, The similar of the Wright's works and the Froebel System was the application of the similar principles rather than the copy of the method, which are the accent of the center, the composition of the part and whole, the understanding of the composition principle through the unit system and the unfolding of the crystal by rotation. Even thought the Wright's works have the triangle, square, hexagonal shape, the way of the expansion from the centered space was same. Also the space formed by the division of the center space, unfolds making the part and whole by overlap and continuation. The 2nd Froebel make space decided by the Net and Crystal Lattices which have the crystal characteristics by the rotation. The new geometric architecture, pinwheel, was created by this method. The application of the Froebel in the Wright's works have the several sets which are the 3th, 4th, 5th, 6th Froebels, 2nd, 7th Froebels and the 3th, 5th, 9th Froebels. The geometrical analysis of the square shape and the diagonal shape of the Wright's works was possible. The unfolding of the centered space can be found in the Guggenheim Museum using the analysis of the circular geometric of the 9th Froebel. The above study proves that the Froebel was not a mere tool for the basic shape training but also the main body of Wright's works which consists of the organic idea and philosophy of the space.

기능적 체계의 극복에 관한 두 가지 사례연구 - 스기모토 타카시와 쿠라마타 시로의 작품비교를 통해 - (Two Case Studies on the Overcoming of the Functional System - By the comparison between Takashi Sugimoto's and Shiro Kuramata's works -)

  • 서정연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1권4호
    • /
    • pp.21-30
    • /
    • 2012
  • Interior space of modern society has a request for non-functional considerations as well as a need for function. French sociologist Jean Baudrillard defined this phenomenon as a dialectical relationship between the functional system and the non-functional system in his book "The System of Objects". The main goal of interior design is the pursuit of non-functional aspects which can satisfy emotional needs of human being without ignoring functional side. This means that designer should exceed the limitation of the functional system and overcome it by his own idea and method. Under this recognition, this paper tried to understand how Shiro Kuramata and Takashi Sugimoto accomplished the overcoming successfully. Sugimoto breaks through mechanical monotony introducing the non-functional objects into the functional system. His objects have power and form of the nature. They also shows traces of manufacture and labor. They works as media transferring old life and values. Sugimoto sometimes adopts the non-functional system such as collection, so it reveals time of collecting and arrangement of various objects. In contrast to Sugimoto, Kuramata erased the form of functional object and turned over the everydayness of the functional system. Instead, aesthetical phenomena substitutes form. Having doubts about the geometrical order of functional system, he opened a discourse for its meaning and limitation. However they have something in common which works as a blueprint for establishing subject's discourse. This discourse is comprised of their own memories of scenes. These subjects' discourse institute worlds through their design works based on each methodology. From the Heideggerian point of view, the worlds offer a foundation which allows the establishment of art in interior design.

  • PDF

형태론적 손짓 인식 알고리즘 (Morphological Hand-Gesture Recognition Algorithm)

  • 최종호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8권8호
    • /
    • pp.1725-1731
    • /
    • 2004
  • 최근 들어 인간의 의지를 컴퓨터에 전달하기 위한 수단으로 컴퓨터 시각기반 방식으로 제스처를 인식하고자 하는 연구가 널리 진행되고 있다. 제스처 인식에서 가장 중요한 이슈는 알고리즘의 단순화와 처리시간의 감소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기하학적 집합론에 근거하고 있는 수학적 형태론을 적용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알고리즘의 중요한 아이디어는 형태론적 형상 분해를 적용하여 제스처를 인식하는 것이다. 손짓 형상으로부터 얻은 원시형상요소들의 방향성은 손짓에 관한 중요한 정보를 내포하고 있다. 이러한 특징에 근거하여 본 연구에서는 주 원시형상요소와 부 원시형상요소의 중심점을 연결하는 직선으로부터 특징벡터를 이용한 형태론적 손짓 인식 알고리즘을 제안하고 실험을 통하여 그 유용성을 증명하였다. 자연스러운 손짓을 이용한 인터페이스 설계는 TV 스위치 조정이나 비디오 컨텐츠 검색용 시스템으로 널리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수학영재들의 아르키메데스 다면체 탐구 과정 - 정당화 과정과 표현 과정을 중심으로 - (Mathematically Gifted Students' Justification Patterns and Mathematical Representation on a Task of Spatial Geometry)

  • 이경화;최남광;송상헌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9권4호
    • /
    • pp.487-506
    • /
    • 2007
  • 본 연구는 14명의 중학교 2학년 수학영재들이 아르키메데스 다면체를 소재로 한 공간기하과제를 해결하면서 보여주는 정당화 유형과 수학적 표현에 대한 연구이다. 문헌 연구를 통해 정당화 유형과 수학적 표현 분석을 위한 분석틀을 마련하고 이들의 다양한 반응들을 분석하였다. 정당화 유형에서는 부분적인 분석을 통해 형식화를 추구하는 학생과 비형식적이며 경험적인 정당화이지만 모든 구성요소를 고려하여 전체적 정당화를 시도하는 두 반응간의 비교를 통해 비형식적 정당화의 유용성에 분명한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있었다. 수학적 표현에서 시각적 표현은 문제해결을 위한 아이디어를 찾고, 구조를 파악하는데 유용한 역할을 하고 있었으며, 기호적 표현을 점진적으로 발전시키는 과정에서 수학적 개념을 표현 속에 함축시키고 정제시켜 정교한 기호(Harel & Paput. 1994)를 창출하려는 욕구를 발견할 수 있었다.

  • PDF

넓이 개념의 SMSG 교수-학습 방식에 대한 비판적 고찰 (A Critical Study on the Teaching-Learning Approach of the SMSG Focusing on the Area Concept)

  • 박선용;최지선;박교식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0권1호
    • /
    • pp.123-138
    • /
    • 2008
  • 이 연구의 목적은 새수학의 전형이라 할 수 있는 SMSG의 넓이 교수-학습 방식에 대한 비판적 고찰을 통해 새수학 실패의 원인을 교수학적 측면에서 밝히는 것이다. SMSG의 계량도식에 따른 넓이 도입 방식의 독특성에 대해 파악하기 위해 Euclid의 $\ll$원론$\gg$, De Morgan의 $\ll$Elements of arithmetic$\gg$, 그리고 Legendre의 (Elements of geometry and trigonometry) 를 살펴보았다. 또, SMSG의 넓이 교수-학습 방식에 대한 Wittenberg(1963)과 Moise(1963)의 논쟁에 대해 고찰함으로써 초등성과 넓이개념에 대한 심상 형성이 SMSG의 넓이 교수-학습 방식의 성패의 중요한 관건이었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더 나아가 SMSG 넓이 교수-학습 방식이 닮음, 같은 넓이, 통약불가능성등과 같은 수학 내용과의 단절을 초래한다는 점에서 초등성과 기하적 심상의 부재를 낳을 수밖에 없었고, 그것이 SMSG 교수-학습 실패의 원인이라는 것을 보였다.

  • PDF

후보영역의 밝기 분산과 얼굴특징의 삼각형 배치구조를 결합한 얼굴의 자동 검출 (Automatic Face Extraction with Unification of Brightness Distribution in Candidate Region and Triangle Structure among Facial Features)

  • 이칠우;최정주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3권1호
    • /
    • pp.23-33
    • /
    • 2000
  • 본 논문에서는 복잡한 배경으로부터 자연스런 상태로 촬영된 얼굴들을 검출하는 알고리듬에 대해 기술한다. 이 방법은 얼굴영역이 적당한 크기의 블록내에서는 비교적 비슷한 밝기는 지닌다는 점에 착안하였다. 이 사실을 근거로, 먼저 영상을 계층적으로 블록화하고, 블록들의 밝기가 서로 비슷한 영역을 신속히 얼굴후보로 선택하여, 후보영역내에서 구체적인 얼굴특징을 찾는 단계적 처리방법을 도입하였다. 후보영역내의 구체적인 특징추출을 위해서 어둡고 좁은 영역을 강조하는 국소 휘도치 변환법을 사용하였으며 최종 판단을 위해서는 얼굴의 각 기관이 갖는 삼각형의 배치구조를 제약으로 사용하였다. 매우 간단한 방법으로 얼굴영역을 처리하였기 때문에 특징점들을 추출할 때 생기는 파라메터 설정문제를 피할수 있고 그 결과 파라메터값에 크게 의존하지 않는 안정된 시스템 구현이 가능하다.

  • PDF

러시아 텍스타일 디자인에 관한 연구 -혁명기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Russian Textile Design)

  • 이혜주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25-38
    • /
    • 2000
  • This study focuses on the Russian Constructivist Textile Design in the post-revolutionary period, of the early 20th century. Russian textile of the time is highly valued in the west in terms of innovative changes in aesthetic directions, which has become one of the most important centers for the development of new textiles, or the origin of industrial design. Most of brilliant mass-production patterns were produced specially by the pioneers of constructivists such as Stepanova and Popova who were influenced by 'Maxism' through the Revolution regarded themselves as productivists for the proletariat. They were inspired by the avant-garde movements, which were involved with traditionalism, futuristic mechanism, stylization of nature, pure geometrical and abstract form. Early textile design was bas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graphic methods of design and the technology because they regarded art as physical, intellectual and technical production. They created all the excitement made from the primary simplest forms of precise mathmatical shapes, such as the circle, the triangle, the rectangle and horizontle and vertical lines. These geometric design can be interpreted as the mechanization of the artists'labor, or methods in line with the technology of mass production, however partly roots in the rich tradition of Russian decorative art. On the other hand, stable crystalline construction on the surface reflect urban architectural complex, and the world of industry in graphic form. They were interested in illusion of movement, cinematic movement of vertical linear rhythms, optical formations and vibrations, by composing a multi-leveled constructions by several spatial planes, or color-field, and combining structures of several intersecting matrices, and superimposing parts of the forms on each other. All these characteristics of the Russian textile designs reflect the complex interactions between 'art and society' of Constructivist's idea and represent the traits of the epoch.

  • PDF

히스토그램 기반의 강인한 계층적 GLOCAL 해쉬 생성 방법 (Robust Hierarchical GLOCAL Hash Generation based on Image Histogram)

  • 최용수;김형중;이달호
    • 전자공학회논문지CI
    • /
    • 제48권1호
    • /
    • pp.133-140
    • /
    • 2011
  • 최근 들어, 웹 응용의 하나로 이미지를 통합 관리하는 이미지 거래소(Image Stock), 이미지 도서관(Image Library)과 같은 응용들이 많이 만들어 지고 있다. 이미지의 등록, 관리, 검색에는 주로 이미지 해쉬라는 기술이 구분자(Identifier)로서 쓰이며 해쉬의 분별력을 높이기 위한 연구들이 많이 진행되어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계층적 히스토그램을 이용한 GLOCAL(Global to Local) 이미지 해쉬 생성 방법을 제안하였다. 많은 연구들이 이미지 처리 및 기하학적 공격에 강한 히스토그램 기반의 이미지 해쉬 기법들을 제안하였으며 제안된 논문에서는 GLOCAL 해쉬 생성과 가중치(Weighting Factor)를 적용하여 해쉬의 안정성을 높이는데 기여하였다. GLOCAL 해쉬 생성 방법에 의해 기존의 알고리즘들은 좀더 풍부한 길이의 이미지 해쉬를 생성하였다. 즉, 이미지 해쉬의 근본 목적인 Identification과 Discrimination 이라는 두 가지 목적을 잘 달성하였으며 그 결과는 통계학적 가설 검정 (Statistical Hypothesis Testing)을 통해 기존의 알고리즘과 비교하였으며 대부분의 공격종류에 대해 제안된 알고리즘이 향상된 성능을 보여줌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