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eologic Map Database

검색결과 23건 처리시간 0.026초

Information Strategy Planning for Digital Infrastructure Building with Geo-based Nonrenewable Resources Information in Korea: Conceptual Modeling Units

  • Chi, Kwang-Hoon;Yeon, Young-Kwang;Park, No-Wook;Lee, Ki-Won
    • 대한원격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원격탐사학회 2002년도 Proceedings of International Symposium on Remote Sensing
    • /
    • pp.191-196
    • /
    • 2002
  • From this year, KIGAM, one of Korean government-supported research institutes, has started new national program for digital geologic/natural resources infrastructure building. The goal of this program is to prepare digitally oriented infrastructure for practical digital database building, management, and public services of numerous types of paper maps related to geo-scientific resources or geologic thematic map sets: hydro-geologic map, applied geologic map, geo-chemical map, airborne radiometric/magnetic map, coal geologic map and off-shelf bathymetry map and so forth. As for digital infrastructure, several research issues in this topic are composed of: ISP (Information Strategy Planning), geo-framework modeling of each map set, pilot database building, cyber geo-mineral directory service system, and web based geologic information retrieval system upgrade which services Korean digital geologic maps scaled 1:50K. In this study, UML (Unified Modeling Language)-based data modeling of geo-data sets by and in KIGAM, among them, is mainly discussed, and its results are also presented in the viewpoint of digital geo-modeling ISP. It is expected this model is further progressed with the purpose of being a guidance or framework modeling for geologic thematic mapping and practical database building, as well as other types of national thematic map database building.

  • PDF

환경 지질도 작성을 위한 GIS 응용연구 (GIS Technology for Environmental Gelolgic Mapping)

  • 김윤종;유일현;김원영;신은선
    • 지질공학
    • /
    • 제4권3호
    • /
    • pp.321-331
    • /
    • 1994
  • GIS를 이용하여 환경지질도의 분야별 목적도 및 종합도 작성 기술이 본 연구를 통하여 국내에서는 처음으로 개발되었다. 환경지질도는 현재 국내외적으로 자연환경 변화에 따른 지질재해 및 환경오염 등을 분석할 수 있는 중요한 자료로써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환경지질도 작성을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연구지역에 대한 환경지질 분석과 야외조사 자료를 토대로 대상 지역의 자연환경 변화를 유발시킬 수 있는 환경지질 요소들이 정량적, 정성적으로 분석되어져야 된다. 환경지질 자료들은 목적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방대하고 다양한 분석 자료들이 포함된다. 국내의 환경지질도 작성기관인 한국자원연구소에서는 이러한 환경지질도 작성기술을 체계적으로 정립시키고져 당연구소 환경지질연구 그룹내에 GIS를 이용한 환경지질 정보시스템을 구현하고 청주지역을 대상으로 환경지질 데이타베이스를 구축한 후 시범연구를 실시하였다. 환경지질도 작성 기술개발에 의하여 생산된 목적별 도면들은 지질공학도, 지질재해도, 지표유출량 분석도, 토공량 및 절취 난이도, 지하수 보호 및 관리 분석도 등이며, 이들에 의한 2차 GIS 지도모형연구를 통하여 토지활용 우선 순위 분석을 위한 종합 환경지질도가 완성되었다. 데이타베이스내에 구축된 일부 환경지질자료들은 타기관에서 제작된 자료들을 활용하였으며, 이로 인한 자료들의 일부 부정확성때문에 금번에 작성된 몇몇 목적도들은 추후 환경자료의 보완 및 갱신에 의하여 수정된 도면들이 재작성 될 것이다. 본 연구결과는 앞으로 국토개발 계획 및 환경영향 평가를 위한 신기술로 활용될 것이며, 당연구그룹에서는 이 기술을 기반으로 환경지질 분석을 위한 GIS전문가 시스템을 구현시킬 예정이다.

  • PDF

지질도 데이터 모델 (Geologic Map Data Model)

  • 연영광;한종규;이홍진;지광훈;류근호
    • 자원환경지질
    • /
    • 제42권3호
    • /
    • pp.273-282
    • /
    • 2009
  • 지리정보분야에서는 수치화된 도면자료에서 고 부가가치 정보로 활용되기 위해 공간데이터베이스 구축이 지속적으로 진행되고 있다. 파일기반의 주제도에서 데이터베이스로의 변환은 다양한 데이터베이스 기능을 활용하기 때문에 대용량의 데이터를 통합하고 다양한 정보검색을 용이하게 한다. 지질도는 지질현상에 대한 조사자의 해석을 도식적으로 표현한 결과이기 때문에, 정량적으로 제작되는 다른 주제도와 차별화 된다. 이러한 특징은 지질학적인 다양한 의미에 대해 해석을 필요로 하는 지질도의 데이터베이스 구축을 쉽지 않게 한다. 이러한 이유로 일부 미국 호주 등에서는 통합적 데이터베이스 구축을 위해 데이터 모델을 제시하고 있으나, 지질현상의 표현이 다르기 때문에 국내환경에 적용 하기가 어렵다. 이 논문에서는 한국 실정에 적합한 지질도 데이터 모델링을 위해 1:50,000 축척의 지질도와 보다 대축척인 1:5,000 광산지질도 요소를 분석하여 데이터 모델을 제시한다. 제시한 데이터 모델은 ArcGIS Geodatabase에 대한 논리모델로, 설계한 모델을 이용하여 1:50,000 축척 지질도에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이 연구에서 구현된 데이터 모델은 국내 지질도의 통합적 활용 및 효율적 관리에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Probabilistic Landslide Susceptibility Analysis and Verification using GIS and Remote Sensing Data at Penang, Malaysia

  • Lee, S.;Choi, J.;Talib, En. Jasmi Ab
    • 대한원격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원격탐사학회 2003년도 Proceedings of ACRS 2003 ISRS
    • /
    • pp.129-131
    • /
    • 2003
  •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hazard of landslides at Penang, Malaysia, using a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GIS) and remote sensing. Landslide locations were identified in the study area from interpretation of aerial photographs and field surveys. The topographic and geologic data and satellite image were collected, processed and constructed into a spatial database using GIS and image processing. The used factors that influence landslide occurrence are topographic slope, topographic aspect topographic curv ature and distance from drainage from topographic database, geology and distance from lineament from the geologic database, land use from TM satellite image and vegetation index value from SPOT satellite image. Landslide hazardous area were analysed and mapped using the landslide-occurrence factors by probability - likelihood ratio - method. The results of the analysis were verified using the landslide location data. The validation results showed satisfactory agreement between the hazard map and the existing data on landslide location.

  • PDF

지반의 지질공학적 특성분석을 위한 GIS 활용 연구 (GIS technology for geotechnical estimation of ground foundation)

  • 김윤종;김원영;유일현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2권1호
    • /
    • pp.39-46
    • /
    • 1994
  • 지반의 지질공학 특성분석을 위하여는 일반적으로 여러 방법들에 의하여 얻어진 다양한 지질공학 자료들이 각각 독립적으로 처리, 분석되며, 그렇게 분산되어 재처리, 가공된 자료들을 기초로 지반 설계가 이루어지고 있다. 금번 연구에서는 이러한 지질공학 자료들을 GIS에 의하여 설계된 환경지질정보시스템(Enviromental Geologic Information System)내에서 하나의 종합적 데이타베이스로 구축하여 지반의 지질공학 특성을 3차원적으로 분석할 수 있게 하였다. 이를 위하여 많은 양의 환경지질, 지질공학 정보들이 수치화 및 분석 과정을 거쳐 본 시스템 내에서 재생산되었다. 최종적으로 작성된 지반의 지질공학 특성 분석도(Geotechnical Estimation Index Map)는 지반의 안정성 및 기초 처리를 위한 1차 분석 도면이며, 개발사업이 수행되는 지역의 토지 이용 계획이나 지질공학적 문제점을 해결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수압파쇄와 오버코어링 자료를 활용한 한국응력지도 2020 (Korea Stress Map 2020 using Hydraulic Fracturing and Overcoring Data)

  • 김한나;신중호;박찬;송원경;박의섭;정용복;천대성;배성호;최성웅;장찬동;민기복
    • 터널과지하공간
    • /
    • 제31권3호
    • /
    • pp.145-166
    • /
    • 2021
  • 지난 40여 년간 국내에서 수압파쇄법 및 오버코어링법을 이용하여 실제로 측정된 전국 1,400여개의 현지응력 실측자료를 통합하여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세계응력지도 프로젝트에서 제안한 가이드라인에 따라 한국응력지도 2020을 제작하였다. 이와 함께 세부 자료로 전국 각 지역별 현지응력 측압계수와 최대수평응력 방향 분포도를 제시하였다. 한반도 전역에서의 최대수평응력 방향은 북동에서 남동 방향으로 나타났고, 현지응력의 크기도 비교적 분산폭이 넓은 분포양상을 보였다. 이는 천부 심도에서 개별 측정 지역의 지형이나 암질 등과 같은 국지적 특성을 크게 반영한 것으로 보이며, 산악지형, 파쇄대의 암질변화, 광산 채굴과 지하공동의 유무, 단층대 지질구조 등이 암반 응력에 영향을 미친 사례들에 대해 조사해 보았다.

지열자료 정보 D/B 구축 요소 (Geothermal properties for Database)

  • 김형찬;박정민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2006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28-31
    • /
    • 2006
  • It is require to construct geothermal database to develop geothermal energy as renewable energy policy. It must be consist of geologic data, borehole data and geophysical data for geothermal database. In aspect of geology, there are included the distribution of geology, structural geology, geological time, rock name, density of rock, porosity, thermal diffusivity, specific capacity and thermal conductivity In order to calculate the heat general ion, it is needed to analysis the radioactivity elements as U, Th and K of rock. In aspect of borehole data, there are included temperature of depth, surface temperature and geothermal gradient And also there is geotherrnornetry using chemical components of groundwater as Na Ca, K and $SiO_2$. In aspect of geophysical data, there are some thematic map as booger gravity anomaly data and magnetic survey data and etc. In addition, it is important to descript the distribution of hot spring and water temperature.

  • PDF

항공사진과 GIS를 이용한 인제지역 산사태 분석 (Analysis of Landslide in Inje Region Using Aerial Photograph and GIS)

  • 손정우;김경탁;이창헌;최철웅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61-69
    • /
    • 2009
  • 2006년 7월 중순 강원도 전역에 내린 집중호우로 인해 사상자 48명, 가옥 침수 1,248채에 이르는 인명.재산피해와 3조 5,125억 원에 이르는 피해 복구비용이 발생하였다. 강원도는 지역의 대부분이 산지로 산사태 지역에 대한 접근과 정확한 피해규모 추정에 어려움이 있다. 본 연구는 항공영상촬영 기술을 사용하여 보다 신속하고 정확하게 강원도 산사태 발생 지역 확인 및 특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산사태 발생 직후 PKNU 4호 시스템으로 산사태 지역을 촬영하였다. 촬영된 영상은 ERDAS 9.1을 이용하여 정사보정 후 육안판독에 의한 디지타이징(Digitizing)으로 산사태 발생지역 1,054개소를 추출하였고, 이 지역에 대해 GIS 프로그램인 ArcGIS 9.2를 이용하여 수치지도, 임상도, 지질도, 토양도와의 중첩분석을 통해서 산사태발생지역에 대한 수문학적, 지형학적, 임상학적, 지질학적, 토양학적 현황과 특성을 DB로 구축, 산사태의 발생현황 및 특성을 분석하였다.

  • PDF

수자원 관리와 보호를 위한 GIS활용연구 (A GIS Technology for Growndwater Protection)

  • 김윤종;성익환;김원영;유일현;박준동
    • 지질공학
    • /
    • 제3권3호
    • /
    • pp.253-266
    • /
    • 1993
  • 본 연구에서는 수자원 관리와 보호를 위하여 1차적으로 연구지역에 지표유출량과 지역층 진량이 계산되어 물 수지분석이 이루어진 후, 분석된 유출량 및 층진량 계수들은 GIS를 이용하여 설계된 환경지질정보시스템(Environmental Geologic Information System : EGIS)내에서 지하수 자원 보호를 위한 GIS모델의 중요 요소로써 재처리되어 최종적으로 지하수의 광역절 오염 가능성 분석을 가능케 하였다. 이를 위하여 작성된 실 지표유출량 분석도와 광역적 지하수 오염 분석도는 수자원 관리와 보호를 위한 필수 사항들이며, 많은 양의 환경정보들이 시스템내에서 수치화, 분석 및 처리과정을 거쳐 생산되었다. 환경정보 데이타베이스구축은 본 환경지질정보 시스템을 이용하여 체계적, 조직적으로 수행되어졌으며, 금번 연구를 위하여 구현된 환경지질 정보시스템 기술은 국가의 자연 관리를 위한 기초 연구로서 활용될 것이다.

  • PDF

남한지역 지질특성과 지열류량의 상호 관련성 (Geological Characteristics and Heat Flow Relationship in South Korea)

  • 김형찬;이사로;송무영
    • 자원환경지질
    • /
    • 제37권4호
    • /
    • pp.391-400
    • /
    • 2004
  • 이 연구에서는 남한의 지열류량 총 247개 자료와 지질 및 지질시대와의 상관관계를 파악하였다. 이를 위해 지열류량 공간 DB를 구축하였으며, 이를 1:1,000,000지질도 공간 DB와 GIS를 이용하여 교차 분석하였다. 그 결과 남한의 평균 지열류량은 64$\pm$14mW$m^{-2}$의 값을 보였다. 암석의 종류별 비교에서는 퇴적암류 분포지역에서 74mW$m^{-2}$로 가장 높은 지열류량을 보였으며, 변성암류 분포지역에서 약간 낮은 61 mWm$^{-2}$ 의 지열류량을 보였다. 화산퇴적암류나 심성암류 분포지역에서는 각각 62, 63mW$m^{-2}$의 지열류량을 보였다. 지질시대별 지층과 지열류량간에서의 관계에서는 가장 신기에 속하는 신생대 지층이 분포하는 지역에서 가장 높은 91mW$m^{-2}$의 지열류량값을 보였으며, 중생대, 고생대 지층이 분포하는 지역이 65mW$m^{-2}$이며, 고기인 원생대, 시생대 지층이 분포하는 지역이 각각 55, 61mW$m^{-2}$로 가장 낮은 지열류량을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