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eoje Island

검색결과 81건 처리시간 0.026초

지속가능한 자원관리를 위한 섬 지역 관광자원의 공간정보와 소셜미디어 빅데이터 분석 결과를 활용한 격차분석 (A Gap Analysis Using Spatial Data and Social Media Big Data Analysis Results of Island Tourism Resources for Sustainable Resource Management)

  • 이성희;이주경;손용훈;김용진
    • 농촌계획
    • /
    • 제30권2호
    • /
    • pp.13-24
    • /
    • 2024
  • This study conducts an analysis of social media big data pertaining to island tourism resources, aiming to discern the diverse forms and categories of island tourism favored by consumers, ascertain predominant resources, and facilitate objective decision-making grounded in scientific methodologies. To achieve this objective, an examination of blog posts published on Naver from 2022 to 2023 was undertaken, utilizing keywords such as 'Island tourism', 'Island travel', and 'Island backpacking' as focal points for analysis. Text mining techniques were applied to sift through the data. Among the resources identified, the port emerged as a significant asset, serving as a pivotal conduit linking the island and mainland and holding substantial importance as a focal point and resource for tourist access to the island. Furthermore, an analysis of the disparity between existing island tourism resources and those acknowledged by tourists who actively engage with and appreciate island destinations led to the identification of 186 newly emerging resources. These nascent resources predominantly clustered within five regions: Incheon Metropolitan City, Tongyeong/Geoje City, Jeju Island, Ulleung-gun, and Shinan-gun. A scrutiny of these resources, categorized according to the tourism resource classification system, revealed a notable presence of new resources, chiefly in the domains of 'rural landscape', 'tourist resort/training facility', 'transportation facility', and 'natural resource'. Notably, many of these emerging resources were previously overlooked in official management targets or resource inventories pertaining to existing island tourism resources. Noteworthy examples include ports, beaches, and mountains, which, despite constituting a substantial proportion of the newly identified tourist resources, were not accorded prominence in spatial information datasets. This study holds significance in its ability to unearth novel tourism resources recognized by island tourism consumers through a gap analysis approach that juxtaposes the existing status of island tourism resource data with techniques utilizing social media big data. Furthermore, the methodology delineated in this research offers a valuable framework for domestic local governments to gauge local tourism demand and embark on initiatives for tourism development or regional revitalization.

거제한산만에 서식하는 대형저서동물의 춘계와 하계의 군집구조 및 건강도 평가 (Community Structure and Health Assessment of Macrobenthic Assemblages at Spring and Summer in Geoje-Hansan Bay, Southern Coast of Korea)

  • 정래홍;서인수;최병미;최민규;윤상필;박상률;나종헌;윤재성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27-41
    • /
    • 2016
  • 본 연구는 거제한산만에 서식하는 대형저서동물의 군집구조와 건강도를 평가하는데 목적이 있다. 대형저서동물의 채집을 위한 현장조사는 2013년 5월(이하 춘계)과 8월(이하 하계)에 실시하였다. 거제한산만에서는 총 300종 $7.6m^{-2}$과 75,760개체(1,994개체 $m^{-2}$)의 대형저서동물이 출현하였고, 다모류가 110종과 49,955개체(1,315개체 $m^{-2}$)의 밀도를 나타내 가장 우점하는 생물이었다. 거제한산만의 주요 우점종은 다모류의 긴자락송곳갯지렁이(Lumbrineris longifolia, $299{\pm}164$개체 $m^{-2}$), Aphelochaeta monilaris($100{\pm}57$개체 $m^{-2}$), 이매패류의 종밋(Musculista senhousia, $91{\pm}96$개체 $m^{-2}$) 및 다모류의 꼬리대나무갯지렁이(Praxillella affinis, $80{\pm}696$개체 $m^{-2}$)등이었다. 출현 종과 개체수의 자료를 근거로 대형저서동물의 군집구조를 파악한 결과, 대형저서동물 군집은 크게 내만역(산달도 인근 양식어장) 정점군과 수로역(한산도에서 추봉도 해역) 정점군으로 대별되었다. 거제한산만의 건강도를 평가한 결과, 수로역의 정점군과 비교해 내만역에 위치한 산달도 인근 양식어장 정점군에서 환경질이 상대적으로 불량하였다. 또한 3개의 생물 평가지수(다양도 지수, M-AMBI 지수 및 환경보전도 지수)는 AMBI 지수와 비교해 상대적으로 효율적인 지수임을 알 수 있었다.

거제 주변해역에 출현하는 붕장어(Conger myriaster)의 위내용물 조성 (Diet Composition of Whitespotted Conger, Conger myriaster in the Coastal Waters of Geoje Island, Korea)

  • 김경률;남기문;박경현;김병섭;한명일;곽주원;백근욱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103-109
    • /
    • 2020
  • 붕장어(Conger myriaster)는 2018년 6월부터 2019년 5월까지 거제 구조라, 망치 인근해역에서 장구형통발을 이용하여 매달 1회 채집해 이용하였으며, 항문장(Preanus length)과 습중량을 각각 0.1 cm, 0.1 g까지 측정한 뒤 위를 적출하여 가능한 종 수준까지 분석하였다. 위내용물 분석결과는 각 먹이생물에 대한 출현빈도(%F), 개체수비(%N), 습중량비(%W)를 구하여 상대 중요도지수비(%IRI)로 수치화하여 주 먹이생물과 크기군에 따른 먹이조성 변화를 알아보았다. 붕장어의 가장 중요한 먹이생물은 어류(Pisces)였으며, 그중 멸치(Engraulis japonicus)가 가장 우점한 먹이생물로 확인되었다. 그 외, 새우류(Macrura), 패충류(Ostracoda), 갯지렁이류(Polychaeta), 게류(Brachyura) 등 다양한 먹이생물을 섭식하였지만 그 양은 많지 않았다. 과거 광양만에서 이루어진 연구에서는 붕장어의 주 먹이생물이 날개망둑(Favonigobius gymnauchen)으로 나타나 이번 연구결과와 다소 차이가 있었다. 성장에 따른 위내용물 조성의 변화를 살펴본 결과, 뚜렷한 먹이전환이 나타나지 않았다. 붕장어는 성장함에 따라 개체당 평균 먹이생물의 개체수(mN/ST)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평균 먹이생물의 중량(mW/ST)은 붕장어의 항문장이 증가함에 따라 유의하게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거제-남해간 해저퇴적물의 퇴적환경에 관한 연구 (Depositional Environments of the Continental Shelf Sediments between Geoje and Namhae Islands)

  • 김대철;송시태;유병조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166-174
    • /
    • 1987
  • 본 조사해역 퇴적물의 퇴적양상은 서측의 세립질 퇴적물과 남부의 조립질 퇴적물, 그리고 이 지역외에 세립질과 조립진 퇴적물이 혼합된 지역인 세부분으로 나눌 수 있다. 퇴적물의 분포상태는 서측이 주로 mud이고 남동측은 sandy mud와 muddy sand로 이루어져 있는 반면 최남부에는 사립질의 sand가 분포하는데, 이는 대체로 조류와 해류의 유속 및 유향과 지형적인 특성에 많은 영향을 받는것으로 보인다. 삼천포와 육지도 주변의 왜도가 negative skewness인 것은 강한 조류의 영향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욕지도 안쪽과 섬진강하구 퇴적물을 C-M diagram에 plot해 본 결과 섬진강하구와 육지도 동쪽을 제외하고는 대부분 pelagic suspension의 형태로 운반 되었으나, 창선도와 삼천포 사이의 수로에서는 예외적인 현상이 나타나는데 이는 강한 조류때문에 나타나는 winnowing효과 때문으로 생각된다. 조직 표준치의 상관계수가 $0.76\~0.92$ 로서 매우 양호한 음의 상관관계를 가진다.

  • PDF

Fusarium oxysporum에 의한 황칠나무 묘목 뿌리썩음병 발생 보고 (First Report of Root Rot of Dendropanax trifidus Caused by Fusarium oxysporum in Korea)

  • 마혜린;최선규;상현규;김현준
    • 한국균학회지
    • /
    • 제51권1호
    • /
    • pp.51-56
    • /
    • 2023
  • 황칠나무는 두릅나무과에 속하는 난대성 상록활엽수로 우리나라 제주도, 보길도, 거문도, 거제도, 완도, 해남 등에 분포한다. 2021년 6월 전라남도 나주에서 황칠나무 유묘의 지제부가 갈변하고 잘록해지는 뿌리썩음병을 국내 최초로 발견하였다. 황칠나무 뿌리썩음병균을 분리 및 동정하기 위해, 유묘의 병든 조직에서 3개의 균주를 분리하였고, PDA 배지에서 형태적, 균학적 특성 조사한 결과 Fusarium oxysporum으로 동정되었다. Internal transcribed spacer (ITS) 및 translation elongation factor 1-α (EF1-α) 염기서열을 통한 분자계통학적 분석을 수행하여 한국의 황칠나무 뿌리썩음병균은 F. oxysporum임을 확인하였다. 병원성 테스트를 위해 유묘의 뿌리를 분생포자 현탁액에 침지하여 정식하였고, 접종 20일 후 처리구에서 뿌리썩음 및 지제부의 갈변 증상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한국의 황칠나무 유묘에서 뿌리썩음병균 F. oxysporum의 첫 보고이다.

까나리의 생물학적 기초조사 (Variation in the Vertebral Number of Sand-eel, Ammodytes personatus GIRARD)

  • 전찬일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15권1호
    • /
    • pp.1-3
    • /
    • 1979
  • 1. 거제도, 주문진, 백령도지역의 주요어장산 까나리 표본의 척추골수의 변이를 검정하였다. 2. 척추골수의 평균치(m)와 표준편차($\sigma$)ms 거제도산: m=60.537, $\sigma$=1.314, 주문진산: m=63.614, $\sigma$=1.354, 백령도산: m=61.580, $\sigma$=1.302 이었다. 3. 척추골수의 평균치의 차를 t 검정한 결과 세지역산 까나리 척추골수는 서로 높은 유의도에서 차가있었다. 4. 전(1977)이 1977년 주문진산 까나리 72미의 척추골수(미부골을 포함한 수)를 측정한 것을 미부골을 제외한 수로 고치면 평균 63.57, 표준편차 1.30이 된다. 1977년 표본과 1978년 (본문) 표본과의 척추골 평균수의 차를 t 검정하면 t=0.09로 되어 주문진산 까나리의 척추골수 연교차는 유의차가 없었다.

  • PDF

정치망어장의 어도형성에 관한 기초연구 ( 3 ) - 어획자료의 통계적 분석 - (Fundamental Studies on the Migrating Course of Fish Around the Set Net ( 3 ) - Statistic Analysis for the Catch of Set Net -)

  • 이주희;염말구;박병수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24권2호
    • /
    • pp.71-77
    • /
    • 1988
  • The authors analyzed the daily catch data which were obtained from two different regions at the Southern Sea in Korea, Neungpo, Geoje island and Yangwhagum, Namhae island, during three or four years in 1978, 1981-1985, in order to know the fishing characteristics of the set net fisheries. The favorable fishing season was summer in the southern sea. The total catches during one year were greatly affected by those several day when the dominant species of fish were caught in large quantities. The dominant species of fish at Neungpo were little horse mackerel, sand lance, sardine, hair tail, spanish mackerel and common mackerel, and those at Yangwhagun were anchovy, little horse mackerel, sardine, spanish mackerel and gizzard shad, in order of catch. Especially, the little horse mackerel and the sardine appeared to make up very big schools at both Neungpo and Yangwhagum. The occurrence seasons of the dominant species were different by the region, but generally those were earlier at western part than at eastern part of the Southern Sea in Korea.

  • PDF

진도의 나비목 곤충상 (A Faunistic Study of Lepidoptera (Insecta) in Is. Jin-do, Korea)

  • 손재천;한영은;임은지;조수원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nspc5호
    • /
    • pp.81-104
    • /
    • 2005
  • Based on our insect collecting trip to the Is. Jin-do, Jeollanam-do Province from June 29 to July 1, 2005, a total of 573 lepidopterous species belonging to 37 families are reported, with adding 122 species new to the locality During our survey, the most dominant species was Cryptolechia malacobyrsa Meyrick (Oecophoridae), followed by Sandrabatis crassiella Ragonot (Pyralidae) and Yponomeuta tokyonellus Matsumura(Yponomeutidae), and the family Noctuidae (165 spp.) was the most diverse taxon in species number. We here also discuss the species representing the climatic feature in the island and compare the species diversity with those of other two major islands in Korea, Is. Geoje-do and Is. Jeju-do. Among the species recognized in this study, two species, Epilepia dentata (Matsumura and Shibata) and Meganola costalis (Staudinger) are recorded in Korea for the first time, in spite of the presence of previous notes on the species which is invalid. The adults and genitalia of the two species are illustrated and described briefly.

암반-지보 거동분석에 의거한 지하굴착 지보설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upport Design for Underground Excavation Based on the Rock-Support Interaction Analysis)

  • 김혁진;조태진;김남연
    • 터널과지하공간
    • /
    • 제7권1호
    • /
    • pp.1-12
    • /
    • 1997
  • Engineering rock mass classification is extensively used to determine the reasonable support system throughout the tunneling process in the field. Selection of support system based on the results of engineering rock mass classification is simple and straight-forward. However, this method cannot consider the effect of in-situ stresses, mechanical properties of support material, and support installation time on the behavior or rock-support system To handle the various conditions encountered in the underground excavation sites rock-support system. To handle the various conditions encountered in th eunderground excavation sites rock-support interaction program has been developed. This program can analyze the interaction between rock mass and support materials and also can simulate the tunnel excavation-support insstallation process by controlling the support installation time and the stiffness of support system. Practical applicability of this program was verfied by comparing the results of support design to those from rock mass classification for virtual underground excavation at the drilling site KD-06 in Geoje island.

  • PDF

정치망어장의 어도 형성에 관한 기초연구 ( 1 ) - 어장환경 요인 - (Fundamental Studies on the Migrating Course of Fish Around the Set Net - Enviremental Conditions of fishing Ground -)

  • 이주희;염말구;이병기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22권3호
    • /
    • pp.1-7
    • /
    • 1986
  • This is a basic study of further investigating the effect of oceanographic conditons, such as bottom profile, currents, and temperature, to the fish migrating course around the set-net. The survey was held at Dojang Po, southern part of Geoje Island, from July to October in 1985. There was a sea valley of which depth was 20 to 40 meters around the set-net. Near the bottom of that sea valley, there was different current pattern to the upper layer. In the sea calm condition of July and October, the vertical profiles of current and water temperature were simple. But in rough condition of September, they were complicated because of wind tuburanc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