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eography National Curriculum

검색결과 60건 처리시간 0.022초

1980년대 이후 美國 地理敎育 復興運動의 展開過程과 그 示唆點: 地理學, 地理敎育, 그리고 敎育政策의 關係 (Renaissance of Geographic Education in the United States since 1980: Its Dynamic Process and Implications to Geographic Education in Korea)

  • 서태열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163-178
    • /
    • 1993
  • HSGP 이후 Social Studies 속에서 거의 사라져 가던 美國의 學校地理가 1990년대에 "中核敎科"로 다시 부상하는 動的 過程은, 地理敎育의 位相이 흔들리고 있는 우리의 실정에 여러 측면에서 他山之石이 될 수 있다. 본교는 1980년대 이후 美國의 地理敎育 復興運動을 主要爭點, 主導的 役割遂行者, 主要 成果에 달라 제 1 기(1980년-1984년), 제 2 기(1985년-1989년), 제 3 기(1990년-현재)의 세시기로 나누어 살펴 보았으며, 이를 통해 地理敎育의 개선을 위한 示唆點들을 추출하였다.

  • PDF

지리교육에서의 도덕적 전환 -도덕적 개념, 기능, 가치/덕목- (Moral Turn in Geography Education: Moral Concepts, Skills, Values/Virtues)

  • 조철기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48권1호
    • /
    • pp.128-150
    • /
    • 2013
  • 이 연구는 지리학에서 전개되어 온 도덕적 전환에 나타난 도덕 및 윤리적 측면을 중심으로 도덕 및 윤리, 지리, 교육 사이의 상호관련성을 검토한 것이다. 1970년대 이후 지리학은 차이의 세계에서 펼쳐지는 공간적 불평등과 인간의 복지와 같은 도덕적 쟁점에 대한 관심, 즉 사회적 적실성과 사회정의 실현을 강조하면서 도덕적 전환을 하게 된다. 이러한 도덕적 전환은 도덕지리라는 영역을 개척하게 되고, 최근 포스트모더니즘의 경향과 함께 차이의 세계를 살아가는 다양한 타자와 자연에 대한 비도덕적 지리를 고발하면서 인간과 환경에 대한 배려와 책임의 윤리를 강조한다. 도덕적으로 부주의하게 지리를 가르치지 않기 위해서는, 이제 지리교육에서도 도덕적 전환을 생각할 볼 시점이다. 지리교육이 보다 나은 세계를 만드는 데 기여하려 한다면, 배려와 책임의 윤리라는 측면에서 지리교육과정 및 수업에 대해 더욱 더 진지하게 도덕적으로 성찰할 필요가 있다.

  • PDF

부분과 전체 : 근대 지역지리 방법론의 고찰 (The Part and the Whole : The Ontological Assumptions of Modern Geographical Thought about the Regional Geography)

  • 권정화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7권4호
    • /
    • pp.81-92
    • /
    • 2001
  • 근대 지리학 방법론 논쟁에서 가장 주요한 쟁점은 지역 지리학의 학문적 성격에 대한 논란이었다. 그러나 대부분의 논의는 지역 연구의 절차를 제시하기보다는 지역 지리학을 형이상학적으로 정당화하는 데 머물렀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견해를 비판적으로 검토하기 위하여 지역 지리학 방법론에 내재하는 전제들 가운데에서도 부분과 전체의 관계에 대한 존재론적 가정을 가장 중요한 준거로서 설정하였다. 대부분의 논의는 유기체론에 근거하여 지역을 복합적 존재로서 인식하고, 생명체와의 비유를 통해 지역의 속성을 파악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그러나, 단위 지역이라는 전제의 한계와 더불어 단순히 요소들을 열거하는 데에 머물렀으며, 지역의 복합성을 포착하지 못하였다. 이러한 한계는 생활양식이라는 전제 위에서 출발한 데에서 오는 당연한 귀결이었다.

  • PDF

프랑스의 지리 평가 특성 분석: 바칼로레아 지리 시험을 중심으로 (A Features Analysis of France's Geography Assessment: Focused on the Baccalaur$\acute{e}$at)

  • 이간용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48권5호
    • /
    • pp.786-801
    • /
    • 2013
  • 본 연구는 지리의 교과적 위상이 높은 프랑스의 지리 평가에 대하여 형식적, 내용적 특성을 분석한 것이다. 주요 분석 자료는 최근 15년간(1999-2013) 바칼로레아 역사-지리 시험 중에서 지리 문항이다. 프랑스의 지리 평가에서는 목적 면에서 문화적 소양의 함양과 그래픽 언어력의 배양이 전통적으로 중시되고 있었다. 형식면에서는 전체적으로 간결한 디자인을 취하여 가독성을 높이고 있었고, 논술이나 지도 작성 등 다양한 평가도구를 활용하여 지리 지식의 자기주도적 구성 능력과 공간적 표현 능력, 그리고 자료 탐구 역량 등을 측정하고자 하였다. 내용 면에서는 대륙적 국가 규모 이상의 공간 단위와 정치경제지리적 주제가 결합된 세계지리 내용이 평가의 요체를 이루고 있었다. 결국 프랑스의 지리 평가는 공간조직론적 관점을 바탕으로 세계에 대한 거시적 이해와 조망 능력을 강조하는 특성을 지니고 있었다. 바칼로레아의 역사-지리 시험에서는 역사와 지리 두 영역 간 형평성을 이루려는 여러 장치가 마련되어 있었다.

  • PDF

교육대학교 사회과 심화과정 지리 영역의 현상과 개선 방향 (The Status Quo and New Directions in Geography Education of the Social Studies Curriculum of Universities of Education)

  • 전종한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42권1호
    • /
    • pp.82-95
    • /
    • 2007
  • 전국 교육대학교 학생들의 최소한 과반수는 학부 4년 동안 지리 강좌를 전혀 이수하지 못한 채 학교 현장에 투입되며, 그 수준에서 사회교과서의 1/3을 차지하고 있는 지리 영역을 담당한다. 이 연구는 교육대학교 사회과 심화과정 지리 영역의 현상을 기술하고 그 문제점과 개선 방향을 도출하는 것에 목적을 두었다. 여기에 접근하기 위해 취한 관점은 심화과정의 편제를 교양과정 및 전공과정과의 관계의 측면에서 검토해야 한다는 것이고, 다른 한편으로는 국가 수준의 초등사회과 교육과정을 준거로 삼아야 한다는 것이다. 연구 결과, 전공과정과 심화과정의 사회과교육(공통) 강좌의 중복성, 교양과정과 심화과정 강좌의 비연동성, 심화과정 구성에 있어 특정 영역에 대한 편중성 등이 지리 영역의 취약성과 직결되어 있었다. 연구자는 국가 수준에서 규정한 초등사회과 교육과정, 교과내용학과 교과교육학의 조화, 그리고 지리, 역사, 일반사회 영역간의 형평성을 준거로 삼아 초등 지리 영역의 취약성을 만회할 수 있는 여섯 가지 개선 방향을 제언하였다.

한국의 지리교육 연구 (The Current Status of Geography Education Research in Korea)

  • 서태열;김민성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47권4호
    • /
    • pp.625-640
    • /
    • 2012
  •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의 지리교육 연구 상황을 소개하는 것이다. 이 논문은 크게 두 부분으로 이루어져 있다. 첫째, 한국의 지리교육 관련 연구가 출판되는 주요 저널을 소개하였다. 둘째, 주요 저널에 출판된 연구를 바탕으로 한국 지리교육 연구의 최신 경향을 살펴보았다. 이 논문에서는 Bednarz(2000)가 제안한 프레임워크를 바탕으로 지리교육 연구의 주요 경향을 다음의 세 가지로 나누어 논의하였다. 1) 지리 지식, 학습, 교육과정의 본질, 2) 지리 교사 교육, 3) 지리 수업에서의 효과적인 학습전략.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세 가지 범주에 속하는 주요 지리교육 논문들을 소개하였다. 이 연구가 세계 여러 나라의 지리교육학자들에게 한국의 지리교육 상황을 알리고 상호 협력을 촉진하는 계기가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PDF

한국.미국 대학 지리학과의 학부과정 교과목에 대한 비교 연구 (A Comparative Research on the Undergraduate Geography Curriculums of Korean and American Universities)

  • 이전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48권2호
    • /
    • pp.288-302
    • /
    • 2013
  • 이 논문은 한국 미국 대학의 지리학과 학부과정 교과목을 비교하고 분석하는 연구이다. <지리학 개론>은 학부과정 교과목으로 개설하는 경우가 매우 드문데, 이는 지리학의 네 분야(인문지리 분야, 자연지리 분야, 지역지리학 분야, 기타 분야)를 한 과목으로 통합하여 개설하기 어렵기 때문일 것이다. 한국 대학 지리학과에서는 인문지리학 분야의 교과목 비율(39.4%)이 자연지리학 분야의 교과목 비율(24.5%)보다 크지만, 미국 대학 지리학과에서는 자연지리학 분야의 교과목 비율(32.8%)이 인문지리학 분야의 교과목 비율(29.4%)보다 조금 더 큰 것으로 나타난다. 지역지리학 분야의 교과목 비율을 비교하면, 미국의 비율(18.1%)이 한국의 비율(13.8%)보다 크다. 이는 미국 대학 지리학과에서 지역지리학 분야가 보다 더 강조되고 있다는 사실을 말해준다. 한국 대학 지리학과 교과과정은 미국 대학 지리학과 교과과정을 수용하여 정착시킨 것이기 때문에 양자는 매우 유사한 면을 많이 갖고 있다. 그렇지만 지리학의 네 분야가 차지하는 몫에서는 약간의 상이성이 나타나는데, 이러한 상이성은 지난 반세기 동안에 한국 지리학과가 놓여있던 역사적 맥락으로 설명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사회적 자연의 지리환경교육적 함의 (Social Nature and Its Implications for Geography and Environment Education)

  • 조철기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912-930
    • /
    • 2016
  • 이 연구는 지리환경교육에서 있어서 전통적인 인간(또는 사회)과 자연의 이분법을 타파하기 위한 방법으로 최근 지리학을 비롯한 사회과학에서 논의되고 있는 자연의 사회적 구성, 즉 사회적 자연 개념의 수용을 주장한다. 이를 위해 영국과 오스트레일리아 그리고 우리나라 지리 교육과정 및 교과서 분석을 통해 인간과 자연과의 관계, 환경의 의미, 사회적 자연 개념의 수용 정도를 파악하였다. 최근 학문과 교육의 키워드가 통합 및 융합에 초점을 두고 있다는 점에서, 사회적 자연은 지리환경교육에도 꽤 설득력을 지닐 수 있다. 실제로 자본주의가 고도화되면서 자연은 인간의 정치, 경제, 사회, 문화적 실천에 의해 사회적으로 구성되고 있다. 따라서 지리교육은 자연과 인문이라는 영역의 간극 을 좁히면서, 단순한 인간과 자연과의 관계 탐색을 넘어 자연이 어떻게 사회적으로 구성되는지를 탐색하는데 초점을 맞출 필요가 있다. 이러한 사회적 자연이 지리환경교육적 측면에 가지는 또 하나의 의의는 학생들에게 인간과 자연, 인간과 장소의 관계에 대한 관계적 감수성을 길러 줄 수 있다.

  • PDF

한국 군사지리학의 발전방향에 관한 연구 (A Study for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Korean Military Geography)

  • 황성한;김만규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176-191
    • /
    • 2015
  • 군사지리학은 지리적인 요소를 군사적 행위에 활용하는 것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는 학문이다. 지형 등을 포함하는 군사지리학 요소는 군대의 용병술과 군사이론 형성에 큰 영향을 미친다. 삼국시대 이후 한반도에서 활용된 용병술은 지형적 특징을 반영한 일관된 흐름을 유지하면서 발전해왔다. 이처럼 역사적으로 이어온 용병술 형성과 군사지리학 요소의 밀접한 관계에도 불구하고 한국의 군사지리학 연구는 침체된 가운데 학문적 담론은 미흡한 상태이다. 반면에 영미권의 군사지리학 연구에서는 군대의 평화유지 인도주의 활동과 관련한 군사지리학 연구를 통한 연구 활성화 노력이 진행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이러한 영미권의 연구경향과 한국의 기존 연구에 대한 실태 분석을 바탕으로 한국 군사지리학의 연구 및 교육에 대한 발전방안을 세 가지로 구분하여 제시하였다. 주요 내용은 군사지리학 연구의 활성화와 교육수준 향상을 위한 커리큘럼 개선, 관련 기관간의 협의체 구성, 지리학회 내의 군사지리학 관련 소분과 설치 등이다. 한국의 군사지리학이 전쟁기여 면의 용병술 분야와 함께 군대의 평화유지 인도주의 활동으로 연구 범위를 확대함으로써 학문으로서의 정체성을 보다 더 구체화할 수 있는 가능성은 커질 수 있을 것이다.

  • PDF

오스트레일리아 NSW 주 지리 교육과정 및 교과서의 개발교육 특징 (Aspects of Development Education Described in the Geography Syllabus and Textbooks in the State of NSW, Australia)

  • 조철기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551-565
    • /
    • 2013
  • 이 연구는 오스트레일리아 NSW 주 지리 교육과정과 이에 근거하여 개발된 지리교과서에 나타난 개발교육을 분석한 것이다. 지리 교육과정 및 교과서에 나타난 개발교육의 특징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지리 교육과정에서 Stage 4와 Stage 5의 필수 지리는 개발교육을 구체적으로 명시화하지 않고 삶의 질의 차이와 원조 연계를 통해 개발교육에 접근하고 있는 반면, 심화 과목인 선택 지리의 경우 개발교육을 명시화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Stage 6에서도 개발지리를 구체적으로 명시하여 보다 심화하여 학습하도록 하고 있다. 다음으로, 지리 교과서에서는 개발교육이 개발에 대한 학습에서 바로 시작하는 것이 아니라 일상생활에서의 삶의 질의 차이를 선행하여 학습한 후 개발 및 개발 척도를 다양한 관점에서 균형있게 이해하도록 하고, 이러한 글로벌 불평등 해소를 위해 개인 또는 조직으로서 어떻게 행동하고 실천해야 할 것인가에 대한 학습으로 계열화되어 있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통해 얻을 수 있는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등학교 저학년에서는 개발을 직접적으로 다루기보다는 이와 관련한 삶의 질의 차이를 중심으로 내용을 구성하고, 중등학교 고학년에서는 개발지리에 대해 직접 학습하도록 할 필요가 있다. 둘째, 개발교육에서 등장하는 주요 개념인 개발, 개발 척도, 원조 등의 의미를 다양한 관점에서 균형 있게 다룰 필요가 있다. 셋째, 개발교육은 우리나라와 다른 국가와의 구체적인 개발 연계 사례를 통해 추상적인 상호의존성이라는 개념과 글로벌 시민성이라는 가치를 학습하고 실천할 수 있도록 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글로벌 불평등을 줄이기 위한 노력을 당위적인 측면에서 기술하거나 정부 및 비정부기구 등과 같은 조직의 차원에 한정하지 않고, 개인적인 실천 사례를 통해 그들의 가치와 행위를 감정이입하도록 할 필요가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