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eographic locations

검색결과 229건 처리시간 0.021초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서 위치 기반 라우팅을 위한 원형 경로 기반 싱크 위치 서비스 (Sink Location Service via Circle Path for Geographic Routing in Wireless Sensor Networks)

  • 박호성;이정철;오승민;임용빈;김상하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5권6A호
    • /
    • pp.585-593
    • /
    • 2010
  • 위치 기반 라우팅은 데이터 패킷을 전송하기 위해 네트워크 전역의 토폴로지 정보 대신 순수하게 위치 정보만을 사용하기 때문에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서 효과적이고 간단하며 확장성 있는 라우팅 프로토콜로 인식되어 왔다. 위치 기반 라우팅에서 소스 노드는 싱크의 위치 정보를 알고 있어야 한다. 대부분의 기존 위치 기반 라우팅 프로토콜들은 단순히 소스 노드가 싱크의 위치를 알고 있다고 가정하여 싱크 위치 획득 과정을 자세히 다루지 않았다. 본 논문에서는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서 위치 기반 라우팅을 위한 원형 경로 기반 싱크 위치 서비스를 제안한다. 이 방안에서, 싱크는 원형 경로를 따라 싱크 위치 알림 메시지를 전송하고 소스는 그 원형 경로를 반드시 지나는 직선 경로를 따라 싱크 위치 질의 메시지를 전송함으로써 두 메시지의 교차점을 보장한다. 교차점에 위치한 노드는 소스 노드에게 싱크의 위치를 알린다. 제안 방안은 간단한 규칙을 통해 일정하지 않은 외곽 혹은 홀과 같은 불규칙성을 갖는 센서 네트워크에서도 문제없이 동작할 수 있다. 시뮬레이션 결과는 제안 방안이 에너지 소비와 제어 부하 측면에서 다른 방안들에 비해 우수함을 보여준다.

노인 의료급여 수급권자의 지역별 사례관리 효과에 관한 연구 - 대도시, 중소도시, 농촌 지역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Case Management in Elderly Medicaid Beneficiaries by Geographic Location)

  • 조정현;김순옥;송명경;임은실
    • 한국보건간호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289-302
    • /
    • 2012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effectiveness of case management in elderly medicaid beneficiaries according to geographic location. Methods: Data were collected from 23,633 elderly medicaid beneficiaries assigned from over users of medicaid. We used the need assessment tool developed by the government, which consists of 19 items with four subscales. Results: Among elderly medicaid beneficiarie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effectiveness of case management were observed for quality of life, self-care competency, medical care utility, and support system. Differences in case management effectiveness were higher in urban areas than in metropolitan or rural areas. Conclusion: The differentiated and tailored intervention model based on characteristics of participants, resource distribution, and geographic location may be needed for effective case management for elderly medicaid beneficiaries.

지리정보시스템을 이용한 고속국도에서의 수소충전소 구축 방안 (A Construction Plan of Hydrogen Fueling Stations on Express Highways Using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 김봉진;국지훈;조상민
    • 한국수소및신에너지학회논문집
    • /
    • 제25권3호
    • /
    • pp.255-263
    • /
    • 2014
  • This paper deals with a construction plan of hydrogen fueling stations on express highways using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We analyzed the existing hydrogen fueling stations and production facilities to construct the hydrogen supply system to satisfy the hydrogen demands. Also, we suggested the necessary number and locations of hydrogen fueling stations on express highways for operating fuel cell vehicles. As a result, we need to construct at least 6 hydrogen stations on express highways in 2020 and 14 hydrogen stations in 2025. In 2030, when fuel cell vehicles are expected to spread over the whole nation, 114 hydrogen stations are needed to construct on express highways. This study mainly utilized the information of distances between hydrogen production facilities and fueling stations. However, we need to analyze the other factors such as traffic and income data. Also, it is necessary to make a suitable construction plan of hydrogen fueling stations that should be constructed on each district using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문헌정보학 분야에서의 지리정보시스템의 활용 (Applications of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s in LIS)

  • 박성재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163-178
    • /
    • 2011
  • 본 연구는 문헌정보학 분야에서 지리정보시스템을 어떻게 활용할 수 있는지에 대해 미국 플로리다주 Lake 카운티 도서관 이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논의하였다. GIS의 다양한 기능 중에서 지오코딩, Thiessen 다각형, 밀집도, 버퍼, 이동거리의 측정 등의 툴들을 이용하여 도서관 이용자 정보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도서관 이용자의 위치나 분포형태에 대한 이해를 얻을 수 있었고 도서관 서비스 지역을 설정함으로써 도서관 서비스 계획수립을 위한 토대를 마련할 수 있었다. 또한 Thiessen 다각형이나 버퍼를 통해 이동거리가 도서관 이용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함과 동시에 보다 현실적인 도서관 이용자의 이동거리를 측정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무선 센서 망을 위한 위치 기반 라우팅에서 싱크 위치 전달 방안 (Sink Location Dissemination Scheme in Geographic Routing for Wireless Sensor Networks)

  • 이의신;박수창;이정철;김상하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4권9B호
    • /
    • pp.847-856
    • /
    • 2009
  • 무선 센서 망을 위한 위치 기반 라우팅에서 소스 노드가 데이터 패킷을 전달하기 위해서는 목적지인 싱크의 위치 정보가 필요하다. 기존의 대부분의 위치 기반 라우팅 방법들은 소스 노드가 위치 서비스를 통해 싱크의 위치를 알 수 있다고 단순히 가정한다. 그러나, 소스 노드가 싱크의 위치 정보를 알기 위한 방법은 쉬운 일이 아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 우리는 무선 센서 망을 위한 위치 기반 라우팅에서 싱크 위치 전달 방안을 제시한다. 제안 방안에서, 소스 노드와 싱크 노드는 싱크 위치 알림과 질의 메시지를 위치 기반 라우팅을 통해 각각의 두 경로로 보낸다. 두 경로의 교차점에 위치한 노드는 소스에게 싱크의 위치를 알려준다. 그때, 소스는 위치 기반 라우팅을 통해 싱크에게 데이터 패킷을 전달할 수 있다 어떠한 불규칙한 센서 망의 형태에서도 두 경로가 최소한 하나의 교차점을 갖도록 보장하는 것이 본 논문의 요점이다. 시뮬레이션 결과는 우리의 프로토콜이 다른 프로토콜들에 비해 에너지 소비와 제어 부하 부분에서 월등히 우월함을 보인다.

마을숲의 분포 위치와 지형적 공간특성 유형화 방안 - 경북 의성, 전북 진안 및 전남 함평지역을 대상으로 (Locations and Topographical Character of the MAEULSOOP in the Southwestern and the Eastern Region)

  • 권진오;오정학;이정연;박찬열;최명섭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85-93
    • /
    • 2008
  • 전통적으로 마을에 인접하여 인위적으로 조성되거나 관리 및 이용되어온 한국의 전통마을숲은 그 역사가 6-7세기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마을숲 조성의 배경은 흔히 주변의 언덕, 물길과 바람통로 등 마을주변 자연환경과 관련되는 것으로 전해진다, 정착한 마을과 조성된 마을숲간의 위치관계를 지형적 유형으로 특징을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마을숲"이 "주체인 마을"의 생활환경에 어떤 기여를 하고 있는지에 대해 검토하였다. 약 500개 이상의 문헌조사와 현장 확인을 통해 전남 북지역과 경북지역 40개 마을숲에 대해 항공사진, GIS에 의한 3차원분석 등을 통해 마을숲과 마을 주변의 지형적 관계를 유형화 하고 조성 의미를 고찰하였다. 지형적 특징에 따른 유형별 마을숲은 다양한 생태계 및 생활환경개선 효과를 마을에 제공할 것으로 추정되나, 본 연구에서는 대상지의 위치적 특성이 마을 주민의 생활상에 미칠 수 있는 영향과 마을숲 조성의 효과에 기여할 수 있는 역할에 대해 살펴보았다.

  • PDF

점포의 무인화와 소매점 입지: 서울시 무인 편의점과 무인 할인판매점을 대상으로 (Unattended Trends and Retail Locations: Focusing on Unmanned Convenience and Discount Stores in Seoul)

  • 박소현;이금숙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411-424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새로운 소매환경의 흐름을 형성하며 무인화를 구현하고 있는 소비 업종인 편의점을 대상으로 입지 특성을 파악하고 입지 분포에 영향을 끼친 지리적 속성을 밝히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서울시를 사례로 편의점의 성장과 지역적 분포를 살펴보고, 무인 편의점과 무인 할인판매점의 입지 분포를 설명하는 감마 일반화 회귀모형을 구축한다. 분석 결과, 영업 중인 무인 편의점과 무인 할인판매점은 대중교통시설과 인접하고 상대적으로 인구의 유동은 낮지만 청년층 주거인구가 밀집하고 소매업, 외식업의 점포가 많은 지역을 중심으로 출점하여 분포하였다. 또한, 소매 품목의 범위와 특성에 따라 인구와 가구 속성의 영향력은 서로 다르게 작용하며 입지에 영향을 끼쳤다. 본 연구는 무인화한 점포의 초기 출점 입지 선정과 분포에 영향을 끼친 지리적 속성을 파악한 시작 연구로서 후속 학술 연구의 실증적 토대를 제시한다는 점에서 가치 있다.

도시공간빅데이터를 활용한 CCTV 우선설치지수 개발 및 시범적용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CCTV Priority Installation Index using Urban Spatial Big Data)

  • 김혜림;문태헌;허선영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19-33
    • /
    • 2024
  • 방범용 CCTV는 지속적으로 증설되고 있으나 설치 위치 결정에 대한 가이드라인의 부재로 범죄 발생 다발지역과 무관한 위치에 CCTV가 설치되는 경우가 많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도시공간빅데이터를 활용하여 CCTV 우선설치지수를 개발하고, 사례지역에 시범 적용하여 적용 가능성을 타진하였다. CCTV 우선설치지수는 범죄취약지수와 감시취약지수로 구성하였으며, 각각 머신러닝 알고리즘을 통해 예측한 그리드별 범죄발생건수, 가시권 분석을 통해 산출한 그리드별 감시불가면적의 비율을 활용하여 산출하였다. 지수를 시범지역에 적용한 결과 CCTV 가시권 분석에 Viewshed 기능을 활용함으로써 기존 버퍼 기능 활용 시 감시면적이 과대 추정되었던 문제를 해결할 수 있었다. 또한 해당 지수를 적용하여 CCTV 설치 위치를 결정할 경우, 감시면적을 효율적으로 개선 가능하다. 본 연구의 CCTV 위치 결정 프로세스에 따라 사례지역에 신규 CCTV를 추가 설치할 경우, 도로면적 대비 감시면적이 43.25%에서 83.73%로 증가하였다. 따라서, CCTV 우선설치지수는 스마트안전도시 조성을 위한 효과적인 의사결정 도구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GIS 중첩분석을 이용한 요지유적 분포 예측의 시범연구 (Preliminary Research on Prediction of Pottery Site Distribution based on Overlay Analysis Method of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 이진영;박준범;양동윤;김주용;홍세선;정계옥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8권4호
    • /
    • pp.165-175
    • /
    • 2005
  • 지리정보시스템(GIS)은 정보관리나 공간분석을 통해서 문화유적의 보존과 국토이용을 위한 목적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지리정보시스템을 이용하여 전국적으로 분포하는 요지유적의 위치를 입력하고, 입지특성을 분석하여, 분포지역을 예측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전국의 약 1,200개소 요지유적의 위치를 입력하였고, 각 위치별 입지분석(고도, 사변의 경사, 사변방향, 수계) 및 통계분석을 통해 요지의 입지특성을 해석하였다. 요지유적 분포는 1에서 5까지 등급화된 고도분포, 사변경사, 수계비고, 수계거리, 사변방향의 5개 변수에 대한 중첩분석결과에 의하여 결정되었다. 대전광역시 성북동 일대에 분포하는 요지유적을 대상으로 분포를 예측한 결과 조사지역의 산능선 하부와 충적평야에 이르는 중간지역에서 요지유적 분포 가능성이 높게 나타났으며, 야외에서 확인된 요지유적의 분포와도 일치하였다. 본 시범연구 결과 전국적으로 더 많은 요지분포 자료가 확보된다면 요지분포가 확인되지 않은 지역에 대한 분포 예측력이 보다 향상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서 스마트기지국을 이용한 균형된 에너지소비 방안 (A Balanced Energy Consumption Strategy using a Smart Base Station in Wireless Sensor Networks)

  • 박선영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17권4호
    • /
    • pp.458-465
    • /
    • 2014
  • In this paper, we propose a strategy to distribute the energy consumption over the network. The proposed strategy is based on geographic routing. We use a smart base station that maintains the residual energy and location information of sensor nodes and selects a head node and an anchor node using this information. A head node gathers and aggregates data from the sensor nodes in a target region that interests the user. An anchor node then transmits the data that was forwarded from the head node back to the smart base station. The smart base station extends network lifetime by selecting an optimal head node and an optimal anchor node. We simulate the proposed protocol and compare it with the LEACH protocol in terms of energy consumption, the number of dead nodes, and a distribution map of dead node loca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