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검색결과 2,242건 처리시간 0.038초

LBS/GIS 서비스를 위한 웹 연동 수치지도 설계 (The Design of Web-Linked Digital Map for LBS/GIS Service)

  • 박성석;김창수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8권8호
    • /
    • pp.1023-1031
    • /
    • 2005
  • LBS(Location Based Service)와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는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지리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으로서 점차 다양한 플랫폼에서 서비스 가능하게 되었다. 그러나 PDA와 같은 이동 컴퓨팅 환경은 일반적인 컴퓨팅 환경에 비해 기능적인 측면에서 심각한 제약사항이 존재하기 때문에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GIS 시스템을 개발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동 환경에 적합하도록 수치지도 경량화 기법과 웹 연동이 가능한 수치지도 포맷을 제안한다. 제안된 수치지도 생성결과 지도의 용량은 기존 지도보다 약 $99.34\%$ 축약되었다.

  • PDF

LDI 표현방법을 이용한 3D GIS 구현 (LDI (Layered Depth Image) Representation Method using 3D GIS Implementation)

  • 송상훈;정영기
    • 한국컴퓨터정보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231-239
    • /
    • 2006
  • 지리정보시스템(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 GIS)은 지리적으로 참조 가능한 소프트웨어 시스템을 말한다. 이러한 지리정보시스템의 주요 특징 중 지리정보의 표현이라는 문제를 중심으로 살펴볼 때 기존의 2차원적인 표현에서 3차원적인 표현으로의 연구개발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으나, 방대한 양의 지리정보를 빠르고 효율적으로 처리하는데 많은 문제가 있어, 본 논문에서는 GIS의 효율적인 장면 렌더링을 위해서 영상기반 모델링과 렌더링을 위해 제안된 LDI(Layered Depth Images)를 이용하여 3차원의 GIS를 렌더링 하고자 한다. 실측기반 방식으로부터 3차원의 지형데이터를 획득하고, 이렇게 획득된 3차원의 지형 데이터는 깊이 정보를 가지고 있는데, 이러한 깊이 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LDI를 생성하였다. 또한 전통적인 모델링 방식인 3DS-Max를 이용하여 LDI를 생성하였다. 이렇게 획득된 LDI 정보를 이용하여 보다 효율적인 3차원의 GIS 렌더링을 할 수 있었다.

  • PDF

다중 센서에 의한 다중 지상 표적 추적시 지형 정보가 미치는 영향 (Effects of Geographic Information on the Performance of Multiple Ground Target Tracking System Using Multiple Sensors)

  • 김인택;이응기;김웅수
    • 한국항행학회논문지
    • /
    • 제2권1호
    • /
    • pp.43-52
    • /
    • 1998
  • 본 논문에서는 다중 센서를 사용하는 센서 융합 환경에서 지형 정보의 사용이 다중 지상 표적 추적 성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조사하였다. 지형 정보의 사용을 연계시와 표적의 발생을 제한하는 두 가지 경우에 대해 적용하였다. 전자의 경우는 거의 영향이 없었으나 후자의 경우는 오궤적의 수가 줄어드는 긍정적인 결과를 가져왔다. 결론적으로 지형 정보의 사용은 부가적인 센서의 운영으로 간주할 수 있기 때문에 좀 더 조심스러운 지형 정보의 사용이 요구된다.

  • PDF

기본지리정보 구축 우선순위 평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valuation of the Priority Order about Framework Data Building)

  • 김건수;최윤수;조성길;이상미
    • 한국측량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측량학회 2004년도 추계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361-366
    • /
    • 2004
  • Geographic Information has been used widely for landuse and management, city plan, and environment and disaster management, etc., But geographic information has been built for individual cases using various methods. Therefore, the discordancy in data, double investment, confusion of use and difficulty of decision supporting system have been occurred. 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national government is need to framework database. This framework database was enacted for building and use of 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and focused on basic plan of the second 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Also, the framework database was selected of eight fields by NGIS laws and 19 detailed items through meeting of framework committee since 2002. In this research, The 19 detailed items( road, railroad, coastline, surveying control point etc.,) of framework database consider a Priority order, In the result of this research, the framework database is obtain to a priority order for building and the national government will carry effectively out a budget for the framework database building. Each of 19 detailed items is grouping into using the priority order of the framework database by AHP analysis method and verified items by decision tree analysis method. The one of the highest priority order items is a road, which is important for building, continuous renovation, and maintain management for use.

  • PDF

RS 및 GIS를 이용한 해양수산의 정보화 (Marine and Fisheries Informations by Satellite Remote Sensing and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 윤홍주;김상우;김영섭;김승철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03년도 춘계종합학술대회
    • /
    • pp.737-739
    • /
    • 2003
  • RS 및 GIS 기술을 수산 및 해양과학분야에 실제로 어떻게 활용할 수 있는가를 제시하고 이 분야의 전문가들에게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데 있다. 앞으로 RS 및 GIS 기술은 수산 및 해양분야의 자연재해와 관련되는 여러 가지 현상들을 조사, 감시 그리고 예견하고 수산자원 및 해양환경의 관리와 보존에 활용되어 아주 유용하게 이용될 것이다.

  • PDF

이질적인 공간정보시스템의 상호 운용성을 위한 효과적인 지리데이터의 GML 사상 (Efficient Publishing Spatial Information as GML for Interoperability of Heterogeneous Spatial Database Systems)

  • 정원일;배해영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7권1호
    • /
    • pp.12-26
    • /
    • 2004
  • 과거 지리정보시스템은 고유의 독립적인 형식으로 지리 정보를 구축하여 서비스를 제공하여 왔으며, 최근에는 기존의 이질적인 지리정보시스템간의 다양한 지리 정보를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해 지리정보시스템에서의 상호 운용성 제공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OGC(Open GIS Consortium)에서는 분산 환경에서 이질적인 지리정보시스템들간의 상호 운용성을 제공하기 위해 GML(Geography Markup Language)을 제안하였다. GML은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을 기반으로 공간 정보와 비 공간 정보를 포함하는 지리정보를 저장하고 전송하기 위한 인코딩 방법에 대한 명세를 제공하고 있다. 또한, GML은 웹 환경에서 맵 서버를 통해 지리 정보를 서비스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의 구현에 관한 명세를 포함하고 있다. 이에 GML 문서에서의 지리 정보와 기존의 지리정보시스템들이 가지는 지리정보간의 호환을 위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질적인 지리 정보들의 상호 운용성을 제공하기 위해 GML 문서와 지리정보시스템간의 지리 정보를 사상시키는 기법을 제안한다. 이를 위해 기존의 지리정보시스템의 지리 정보를 GML 문서로 표현하는 방법과 GML 문서에 나타나는 지리 정보를 공간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하는 방법에 대해 기술한다. 제안된 지리 정보 사상 기법을 통해 기 구축된 지리 정보간의 상호 운용성을 제공하여 웹 기반의 통합된 지리 정보서비스를 위한 프레임워크로 제공될 수 있다.

  • PDF

TGIS 개념을 이용한 등온선 및 등염분선 예측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The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Isotherm and Isohaline Forecast System using Temporal GIS)

  • 곽호영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1권1호
    • /
    • pp.73-86
    • /
    • 2000
  • 지리 정보시스템(GIS: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은 공간상에 존재하는 지리 객체의 데이터를 수집, 저장하고 이를 분석, 가공하여 도시계획, 지적 관리, 삼림 자원 관리 등, 지리 관련 응용 분야에 널리 활용하는 시스템이다. 지금까지 지리정보 시스템의 중요성과 필요성이 널리 입증되어 그에 대한 연구는 많이 진행되어 왔다. 그러나 대부분의 연구들은 지리정보를 단순히 공간상의 정보만으로 취급하였으며, 시간에 따른 공간 데이터의 변화를 고려하지 않았거나 간단히 취급하여 왔다. 따라서, 교통 정보 관리나 기상예보 등 시간의 흐름에 따라 변화하는 실세계를 정확히 반영할 수 없었다. 시간지원(時間支援) 지리정보 시스템(Temporal GIS : TGIS)은 기존의 지리 정보시스템에 시간 개념을 확장하여 공간정보 및 비공간 속성정보 뿐만 아니라 시간에 따른 객체의 변화를 표현하여 동적인 세계를 더욱 정확히 묘사하는 새로운 데이터베이스의 연구 분야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TGIS에서 중복 데이터를 최소화하는 데이터베이스를 설계하고, 이러한 시간 개념을 둔 TGIS를 해양에 접목하여, 해양에서 일어나는 거의 모든 현상과 관계가 깊은 수온과 염분을 처리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또한, 지금까지 관측된 데이터를 활용하여, 등온선과 등염분선을 그래픽으로 작성할 수 있는 시스템의 구현과 이 시스템을 통하여 등온선 및 등염분선을 예측할 수 있는 예측시스템을 구현하였다.

  • PDF

유출관리모형을 활용한 수문학적 공간정보 분석 (Analysis of Hydrologic Geo-Spatial Information Using Runoff-Management Model)

  • 이상진;노준우;안정민;김주철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 논문지
    • /
    • 제11권1호
    • /
    • pp.97-104
    • /
    • 2009
  • 현재 GIS는 유역의 지형학적 분석분야에서 뿐만아니라 유역의 수문학적 분석분야에서도 유용한 도구로 활발하게 활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SSARR모형을 기반으로한 유역유출분석 모형을 활용하여 금강유역을 대상으로 장기유출량을 산정, 검증하고 이를 토대로 강우-유출 관리 모듈과 연계하여 신뢰도 있는 수문정보를 산정하여 사용자에게 제공코자 하였다. 모의와 검증을 거친 적정한 토양습윤지표, 용수이용량, 직접 및 기저유출량 등의 다양한 수문성분들이 GIS Tool의 활용을 통하여 소유역 단위의 유용한 수문학적 공간정보로서 생산되었다. 또한 사용자의 편의를 위하여 Graphic User Interface를 설계하여 다양한 수문정보를 도시함으로써 향후 효율적 유역수문관리를 지원하는 Toolkit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Development of Ship Route Track System Based on Digital Sea Chart with the Capability of Precise Coordinate Analysis of GPS

  • Kang, In-Joon;Kang, Ho-Yun;Chang, Yong-Ku;Mun, Do-Yeoul
    • Korean Journal of Geomatics
    • /
    • 제3권1호
    • /
    • pp.7-14
    • /
    • 2003
  • For GIS to land and sea in Korea, GIS on land was almost completed with big cities by NGIS(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business. However, MGIS(Marine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being constructed by the National Oceanographic Research Institute is still constructing geography information and definition of attribute information and real condition. We are being studied on research to get maximized the ripple effect linking GPS and Navigation techniques on GIS. GPS in accuracy is divided into navigation and precise surveying equipment. Now, GPS technology has been developed very much and low price GPS equipments are introducing. But expense on GPS equipment is high yet. Therefore, GPS equipment for navigation is used on cheap GPS equipment in a car or ship. In this paper, the author used algorithm to convert ellipsoid coordinate between WGS84 and Bessel ellipsoid and to analyze map projection between BESSEL ellipsoid and UTM plane coordinate system. And the author developed ship navigation system with cheap GPS equipment using algorithm of ellipsoid conversion and map projection. The author proposed the necessity on constructing MGIS to manage many ships.

  • PDF

Ontology와 WebGIS 기반 프로토타입 농작물 작황 정보시스템 구축 (Prototype of Crops Information System based on Ontology and WebGIS)

  • 이홍로;백정현;백정호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43-51
    • /
    • 2008
  • 본 논문은 농작물 작황 정보의 의미를 보다 정확하게 이해하고 조작할 수 있도록 메타데이타를 정의하는 온톨로지에 기반하여 정보를 검색하고, 사용자가 작황지역의 위치와 작물 특성을 제공함으로써 더 많은 정보를 획득하는 WebGIS기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그리고 이 논문은 작황정보를 WebGIS와 융합함으로써 위치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프로토타입형 작황 정보 시스템을 구현하고자 한다. 사용자가 요청한 질의를 분석, 질의에 일치하는 정확한 지리정보를 제시하고 해당 지리정보와 연계되는 검색결과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한다. 그래서 이 논문은 의미 기반 WebGIS정보를 시각화 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함으로써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