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검색결과 2,242건 처리시간 0.032초

NGIS 기반하의 Business GIS 발전방안 (Development Strategies for Business GIS Based on NGIS)

  • 이봉규;송지영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 논문지
    • /
    • 제7권2호
    • /
    • pp.3-14
    • /
    • 2005
  • 본 연구는 유비쿼터스 환경에서의 Business GIS 발전을 위한 국가GIS(NGIS)의 역할과 발전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를 통해 위치기반 환경에서의 GIS 활용 현황 및 정보통신기술 환경과 GIS 기술수준을 분석하였다. 또한, GML(Geography Markup Language)과 TPEG (Transport Protocol Experts Group) 같은 국제표준을 준수하는 GIS 콘텐츠 개발과 GIS의 killer application 분야로서의 LBS(Location-Based Service), 텔레매틱스, ITS(Intelligent Transport System), gCRM(geographic Customer Relationship Management),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u(ubiquitous)-City, u-Town 등 다양한 신규 정보통신분야의 접목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Business GIS의 QoS, 표준화, 연구 및 개발, GIS 교육, 보안등을 위한 국가GIS 기반의 개념적 수익모델을 정립하였다.

  • PDF

Airborne GPS/INS Integration Processing Module Development

  • KANG, Joon-Mook;YUN, Hee-Cheon
    • Korean Journal of Geomatics
    • /
    • 제3권2호
    • /
    • pp.99-106
    • /
    • 2004
  • In order to meet the users' demand, who needs faster and more accurate data in geographic information, it is necessary to obtain and process the data more effectively. Now more effective data obtainments about geographic information is possible through the development of integration technology, which is applied to the field of geographic information, as well as through the development of hardware and software engineering. With the fast and precise correction and update, the development of integrate technology can bring the reduction of the time and money. To obtain fast and precise geographic information using Aerial Photogrammetry method, it is necessary to develop Airborne GPS/INS integration system, which makes GCP to the minimum. For this reason, this study has tried to develop a system which could unite and process both GPS and INS data. For this matter, code-processing module for DGPS and OTF initializaion module, which can decide integer ambiguity even in motion, have been developed. And also, continuous kinematic carrier-processing module has been developed to calculate the location at the moment of filming. In addition, this study suggests a possibility of using a module, which can unite GPS and INS, using Kalman filtering, and also shows the INS navigation theory.

  • PDF

대규모 웹 지리정보시스템을 위한 메모리 상주 공간 데이터베이스 클러스터 (Main Memory Spatial Database Clusters for Large Scale Web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s)

  • 이재동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 논문지
    • /
    • 제6권1호
    • /
    • pp.3-17
    • /
    • 2004
  • 웹을 통해 위치기반 서비스 등과 같은 다양한 지리정보 서비스를 사용하려는 사용자가 급격하게 증가하면서, 웹 지리정보시스템도 많은 다른 인터넷 정보시스템들과 같이 클러스터 기반 아키텍쳐로의 변화가 요구되고 있다. 즉, 사용자의 수에 상관없이 양질의 지리정보 서비스를 지속적이며 빠르게 제공하기 위해서는 비용대비 효율, 가용성과 확장성이 높은 클러스터 기반의 웹 지리정보시스템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가용성과 확장성이 높은 클러스터 기반의 웹 지리정보시스템을 설계한다. 이를 위해 메모리 상주 공간 데이터베이스들을 클러스터의 각 노드로 구성하고 전체 데이터 영역 중 일부만을 복제 처리함으로써, 각 노드가 공간 질의에 대해 공간적 근접성을 이용한 캐시 역할을 수행하도록 한다. 또한, 제안된 시스템은 단순 영역 질의외에 연산 비용이 큰 공간 조인 연산을 효율적으로 처리한다. 본 논문에서는 성능평가를 통해 제안된 기법이 기존 기법에 비해 데이터 양이 많고, 클러스터의 노드 수가 증가할수록 각각 약 23%, 30%의 향상된 성능을 갖음을 보인다.

  • PDF

공간 데이타 변환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Spatial Data Translation System)

  • 이기영;노경택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8권4호
    • /
    • pp.41-46
    • /
    • 2003
  • 최근 다양한 분야에서 지리 정보의 활용이 증가함에 따라 지리 정보를 좀더 효율적으로 이용하고자 지리 정보 시스템을 구축하였다. 지리 정보 시스템은 고유한 데이타 포맷을 사용하여 지리 정보를 관리하였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다양한 분야에서 기존에 구축해 놓은 다양한 지리 정보 시스템의 지리 정보를 자유롭게 유통 및 활용하려는 요구가 증가하게 되었다. 따라서, 기존에 구축된 지리 정보 시스템의 정보를 변환하여 이를 이용하고자 하는 지리 정보 시스템에 전달하여 주는 데이타 변환 과정이 필요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지리 정보 시스템간의 데이타 변환을 좀더 효율적이도록 국제 표준을 따르는 공간 데이타 변환 시스템을 설계 및 구현하였다.

  • PDF

연안도시 재해지도 작성을 위한 복합재해정보 콘텐츠 분석 (Analysis on Complex Disaster Information Contents for Building Disaster Map of Coastal Cities)

  • 김정옥;김지영;이원희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43-60
    • /
    • 2016
  • 연안도시는 태풍에 의해서 해상에서 발생하는 조석이나 해일뿐만 아니라 호우로 인한 하천범람이나 저지대 침수 등의 복합원인을 고려한 대응방안이 반드시 필요하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재해정보 관리를 효율화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지리정보시스템을 활용한 재해지도를 주목하고 재해지도 작성을 위한 복합재해정보 콘텐츠를 정립하였다. 연안도시 맞춤형으로 설계한 복합재해정보 콘텐츠 프레임은 크게 복합재해콘텐츠, 대피 및 시설콘텐츠, 학습콘텐츠로 구성된다. 제안한 연안도시 복합 재해정보 콘텐츠는 국민안전처 뿐만 아니라 지방자치단체에서 공개하는 정보를 기반으로 공간정보 형태로 구축될 예정이다.

객체-관계 DBMS를 이용한 관광안내 지리정보 데이터베이스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Geographic Database for Sightseeing Information Using an Object-Relational DBMS)

  • 김영란;최은선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4권4호
    • /
    • pp.47-56
    • /
    • 1999
  • 본 연구의 목표는 객체-관계 DBMS를 이용하여 충청북도를 대상 지역으로 하는 관광안내 지리정보 시스템을 구현해 봄으로써, 객체-관계 DBMS의 수행 능력을 살펴보고 특정 응용 구축에 대해 객체-관계 DBMS가 얼마나 우수하게 적용 가능한지를 알아보는데 있다. 관광지 데이타베이스는 충청북도의 행정구역상의 경계. 각종 도로 및 철도의 위치 좌표를 구하고, 관광지의 소개, 숙박시설 및 기타 사항 등의 속성 정보를 조사한다. 객체지향 모델링 기법인 OMT 모델을 이용하여 분석모델을 구성하고, ORDBMS 스키마를 설계한 후 GEUS/XTM를 이용하여 데이타베이스를 구축하였다. 다양한 질의를 통해 구축된 관광정보에 대한 선택적 접근성을 검토한 바, 확장성 보장, 비정형화되고 복잡한 데이터의 모델링, 저장, 검색, 관리에 있어 객체-관계형 DBMS가 일반 DBMS보다 효율적임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인터넷을 통한 공간 정보 서비스에 대한 요구의 증가에 부응하기 위해 다양한 형태의 정보들을 효율적으로 데이터베이스화하고 관리하는데 객체-관계형 DBMS의 이용이 바람직하다.

  • PDF

지리정보체계를 이용한 송배전 지하시설물관리시스템 구축 (Building Underground Facility Management System of Power Transmission and Power Distribution using GIS)

  • 장용구;강인준;김상석;양승태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69-77
    • /
    • 2004
  • 현재 국내에서 관리하고 있는 지하시설물들은 몇몇의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특히, 한국전력공사의 경우 현장에서 구축되는 지리정보 및 속성정보의 신속한 갱신이 되지 않아 보다 정밀하고 안정된 한국전력 선로관리가 어려운 실정이다. 또한, 토목공사 현장에서 관리감독을 수행하고 있는 한국전력 관계자들은 지리정보체계에 대한 지식과 정보는 부족하지만, 현장에 부합되는 지리정보 및 속성정보를 파악하고 있다. 따라서 보다 효율적인 한국전력의 선로관리를 위해서는 이들의 업무분석내용을 충분히 참조해야 하는데 기존의 한국전력 선로관리시스템의 정보는 그러하지 못한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전력공사에서 시설물공사를 통하여 구축된 송 배전 지하시설물에 관한 지리정보 및 속성정보를 이용하여 실무자에게 보다 쉽고 안전하게 유지 관리할 수 있도록 사용자 중심의 송 배전 지하시설물관리시스템을 구축하였다.

  • PDF

한반도 해역 해양지질 및 지구물리 자료 통합 DB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an Integrated DataBase System of Marine Geological and Geophysical Data Around the Korean Peninsula)

  • 김성대;백상호;최상화;박혁민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47-62
    • /
    • 2016
  • 본 연구는 한반도 해역 해양지질 및 지구물리 자료의 통합 DB시스템을 2009년부터 2013년까지 구축하였으며, 현재까지 시스템 운영 및 정보업데이트를 수행하고 있다. 해양수산부 연구사업에서 생산한 해저퇴적물의 입도분석자료, 층별 단면도, X-ray 영상, 중금속 분석자료, 유기탄소 분석자료와 함께 지구물리탐사 결과인 천부탄성파, 심부탄성파, 자력, 중력 자료를 수집하였다. 더불어, 국내 국 공립기관이 보유하고 있는 기존 자료와 미국, 일본의 한반도 해역 자료도 추가로 수집하였다. 자료포맷은 텍스트 파일, 엑셀 파일, PDF 파일, 이미지 파일, SEG-Y 이진파일 등으로 다양하였으며, 원본자료는 Archive DB에 원형 그대로 저장하여 향후의 재가공과 재분석에 대비하였다. 또한, 수집 자료의 비교분석을 목적으로 GIS 기반 데이터베이스와 검색시스템도 개발하였다. 모든 자료를 ArcGIS 툴을 이용하여 shape 파일로 변환하였으며, 오라클과 ArcGIS를 이용하여 GIS DB를 구축하였다. 클라이언트/서버 방식의 GIS 어플리케이션 개발을 통해 자료검색과 과학 자료 표출기능을 구현하였으며, 가시화를 위해 ChartFX 프로그램과 새로 개발한 전용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A GGQS-based hybrid algorithm for inter-cloud time-critical event dissemination

  • Bae, Ihn-Han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23권6호
    • /
    • pp.1259-1269
    • /
    • 2012
  • Cloud computing has rapidly become a new infrastructure for organizations to reduce their capital cost in IT investment and to develop planetary-scale distributed applications. One of the fundamental challenges in geographically distributed clouds is to provide efficient algorithms for supporting inter-cloud data management and dissemination. In this paper, we propose a geographic group quorum system (GGQS)-based hybrid algorithm for improving the interoperability of inter-cloud in time-critical event dissemination service, such as computing policy updating, message sharing, event notification and so forth. The proposed algorithm first organizes these distributed clouds into a geographic group quorum overlay to support a constant event dissemination latency. Then it uses a hybrid protocol that combines geographic group-based broad-cast with quorum-based multicast. Our numerical results show that the GGQS-based hybrid algorithm improves the efficiency as compared with Chord-based, Plume an GQS-based algorithms.

환경정보 체계화에 관한 연구(II) (Studies on Environmental Information System(II))

  • 김명진;최덕일;장준기;이재운
    • 환경영향평가
    • /
    • 제2권1호
    • /
    • pp.21-29
    • /
    • 1993
  • We live in an age of information and an era of rising environmental awareness. As a result, efficient and judicious use of environmental information has become a prerequisite to planning and management of environmental affairs in contemporary societies. So, we have embarked on a study of Environmental Information System(EIS). In the first article, we discussed the status analysis of EIS in Korea, USA, and Japan. This study as the second project has three major components. First, it classifies items and sources of 22 EIA factors. Second, it explains building of environmental information comprising geographic and attribute data of 17 factors. Finally, the study presents applications of EIS as an alternative assessment of suitability analysis. Based on these analysis, the study makes some recommendations and conclusion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