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eographic Information Standards

검색결과 87건 처리시간 0.022초

유일식별자 부여를 위한 건물객체의 효율적인 중첩방안 연구 (The Research of Effectively Matching Method of Building Objects to Register UFID)

  • 문용현;박기석;최석근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75-83
    • /
    • 2011
  • 1995년 이후 국가지리정보구축사업의 일환으로 전국적으로 구축되었던 공간정보시스템의 통합과 연계에 대한 연구가 끊임없이 이어지고 있다. 하지만 공간정보연계와 통합을 위한 체계적인 기준이 모호할 뿐만 아니라 각각의 구축기관마다 공간정보에 대한 식별 ID가 상이하게 구축되어 있어 연계에 어려움을 주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국가표준의 공간정보참조체계를 기반으로 하는 UFID를 부여하기 위해 공간정보객체의 중첩방안을 제시하고 이에 대한 중첩률을 분석하고자 한다.

프로파일링에 의한 지리정보표준 개발방법 연구 (A Study on the Method of GIS Standard Development through Profiling)

  • 박종민;오세웅;서상현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5권4호
    • /
    • pp.56-64
    • /
    • 2002
  • 정부와 공공업무에 사용되는 정보의 대부분은 지리정보와 직간접적으로 관련 있으며 따라서, 효율적인 지리정보의 활용과 신뢰성 있는 정보서비스제공을 위해 체계적인 표준의 개발이 가장 근본적이며 시급한 이슈로 대두되고 있다. 우리 나라에서도 1995년 이후 추진해 온 국가지리정보체계 구축사업의 일환으로 표준화부분을 수행하고 있으며, 다양한 표준과 지침이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단위사업의 필요에 의한 표준개발과 일관된 표준개발 체계의 부재로 인해 상호호환성과 재사용 등을 통한 중복투자 방지의 근본적인 목적달성이 충분히 반영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국제표준화기구인 ISO(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를 기반으로 하여 캐나다 등에서 이미 추진중인 프로파일(profile)을 통한 선진 외국의 표준화 상황을 분석하고, 국가표준개발과정에 적용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법을 제시한다. 이러한 표준화 메카니즘을 도입함으로서 국제표준 및 범용표준에 기반 한 국가표준개발 체계를 확립할 수 있으며, 다양한 표준들을 일관된 체계 하에서 개발하여 궁극적으로는 지리정보 및 서비스에 대한 접근과 상호 운용성을 극대화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국가 GIS 표준의 내용과 표준화 방향 (National GIS Standards: Contents and Future Directions)

  • 장성길;김창호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 논문지
    • /
    • 제1권2호
    • /
    • pp.99-113
    • /
    • 1999
  • 국가 GIS가 주요 정보 인프라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구축되는 공간정보에 대한 표준화가 필수적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국가 GIS 표준화 내용은 어떤 것이어야 하며 어떠한 방향으로 추진되어야 하는지를 제시하고자 한다. 미국, 호주, 일본, 영국의 국가 GIS 표준화 동향과 ISO/TC211, OGC의 표준화 과정을 분석한 결과, 첫째 국가 GIS 표준화는 지리정보 표준과 지리정보 서비스 표준의 두 방향으로 추진되어야 하며, 둘째 ISO/TC211 프로파일을 바탕으로 국가 GIS 표준을 개발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셋째 각 지리정보 표준은 UML을 이용한 개체-관계 (Entity-Relationship) 모델을 통해 명확히 표현되어야 하며, 넷째 지리정보 서비스 표준화 연구에 적극적인 관심을 가져야 할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국가 GIS 표준의 내용을 지리정보 내용 및 내용 분류, 심볼 및 표현, 지리정보 가용성, 공간참조체계, 정확성, 용어표준으로 구성되는 $\ulcorner$지리정보 표준$\lrcorner$과 지리정보 공유 서비스 (데이터 전송, 데이터 접근, 데이터 취득), 지리정보 사용자 편의 서비스 (데이터 분석 및 관리, 데이터 품질관리, 데이터 표현)로 구성되는 $\ulcorner$지리정보 서비스 표준$\lrcorner$의 두 가지 부문으로 범주화하여 국가 GIS 표준화를 추진할 것을 제안하였다.

  • PDF

공항 이동지역 지리정보 구축 표준화 모델개발 (Development of standardized model of building GIS in Airport Movement Area)

  • 김병종;김원규;이동훈
    • 한국항공운항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51-60
    • /
    • 2009
  • For the world's safest air traffic, safety-related areas through the large investment made in a sufficient safe level, but the airport's lack of safety management is concerned about the safety. Airside area is essential area for the flights, and activities of safe management in airside area is very important. Grafting of airside safety management and IT, importance of the safety and efficiency is growing. Advanced airports of world has applied GIS over 10 years ago, and through applying GIS, Airports GIS has been a specialized area. Therefore, this research is for geographic information standards and related laws, providing a guideline of regulations and standards for AIXM (Aeronautical Information Exchange Model), RTCA DO-272A (USER REQUIREMENTS FOR AERODROME MAPPING INFORMATION), FAA Advisory Circular 150/5300 -18A (General Guidance and Specifications for Submission of Aeronautical Survey to NGS: Field Data Collection and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Standards), and by analyzing aviation information and air map(notice "Civil Aviation Safety Authority No. 2009-1"), provide the direction of standardization for air map.

  • PDF

수치지도 지리조사 자료의 표준화 및 활용 (Standardization and Application of Geographic Survey Datas in National Digital Map)

  • 이현직;유지호;이혁호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29-40
    • /
    • 2012
  • 현재 수치지도를 비롯한 모든 공간정보의 속성정보를 취득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현장에서 직접적인 조사를 수행하는 지리조사가 일반적이다. 그러나 수치지도 제작을 위한 지리조사는 수치지도에서 표현하는 모든 지형지물에 대한 현장 직접조사를 수행하여야 하기 때문에 지리조사의 범위가 매우 광범위하다. 또한 현재의 지리조사는 지리조사원도(종이지도)를 이용하여 수작업에 의한 조사방법을 이용하기 때문에 조사에 많은 인력, 경비, 시간이 소요되고 있다. 최근 일부 지리조사를 휴대용 및 차량용 MMS(Mobile Mapping System)를 이용하여 전산화 정보를 수집하고 있으나, 직접적으로 수치지도의 제작에 이용하기 위해서는 해결해야 할 문제점들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현행 지리조사 기준 및 방법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국내 외 공간정보 구축 및 서비스 기관의 지리조사 방법을 조사하여 수치지도 제작에 적합한 지리조사 기준 및 방법을 제시함으로써 수치지도 제작 업무의 효율성을 높이고 수치지도의 최신성 및 신뢰도 향상과 지리조사 자료의 활용성을 증대시켜 전국기반 수치지도의 활용성을 극대화 하고자 한다.

표준 기반의 통계지리정보 참조모렐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eference model for statistical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based on the GIS standards)

  • 하수욱;남광우;류근호
    • 한국GIS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GIS학회 2010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258-260
    • /
    • 2010
  • 통계지리정보는 기존의 텍스트 기반 통계정보를 공간정보와 결합한 정보로서 공공 민간 분야의 다양한 의사결정을 위한 핵심 기반 정보로 그 활용성이 주목받고 있다. 본 논문은 통계지리 정보와 이를 이용한 서비스 구축 및 유지 관리 과정에서 발생하는 상호운용성 문제의 해결을 위한 접근방법으로 기존의 공간정보 표준 참조 모델들을 기반으로 통계지리 정보 및 서비스 참조모델을 제안하고, 각각의 정보 및 서비스 분류에 해당하는 표준화 요구사항을 제시한다.

  • PDF

표준기반 웹 지리정보 서비스 구현방안 (A Study on the Implementation of Standards-Based Web Geographic Information Service)

  • 연영광;한종규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47-58
    • /
    • 2013
  • 모바일 웹 환경에서의 정보 이용이 증가함에 따라 과거에 개발된 특정 플랫폼만을 고려한 웹 정보기술들이 점차적으로 이용 가능하지 못하게 되고 있다. 이러한 기술들은 정보의 상호 운용성을 보장하는 웹표준 기술로의 교체와 더불어 새로운 모바일 환경에 요구되는 인터페이스 개발을 필요로 한다. 이 논문에서는 이러한 배경에 모바일과 데스크톱 환경을 고려한 웹 지리정보 서비스를 구현하기 위한 관련 표준들을 검토하였다. 검토된 결과를 토대로 오픈소스로 구성된 지리정보 서비스 시스템을 설계하고 더불어 모바일과 데스크톱 환경을 위한 ExtJs 기반의 웹매핑 클라이언트를 구현하였다. 이 논문에서 구현하고 제안한 방법은 새로운 웹표준 환경변화에 대응할 수 있도록 데스크톱 환경 뿐만 아니라 모바일 정보 환경에서 지리정보 서비스를 구현하는데 참고 될 수 있는 사례로 활용될 수 있다.

지리정보의 활용을 지원하기 위한 메타데이터 표준안 정립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stablishing a Metadata Standard for Facilitating the Usage of the Geographic Information)

  • 김계현;송용철;김한국;민숙주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 논문지
    • /
    • 제5권2호
    • /
    • pp.55-68
    • /
    • 2003
  • 중앙정부나 지자체를 중심으로 국가지리정보체계(NGIS)구축사업이 광범위하게 추진되고 있는 지금, 지리정보구축에 소요되는 비용에 대한 부담으로 인해 각 기관들에 산재된 지리정보의 공동 활용이 매우 중요시되고 있다. 이에 따라 지리정보 생산 및 관리의 효율성과 이용의 활성화를 도모하기 위하여 '지리정보 목록의작성 및 관리에 관한 지침'이 2002년 제정되어 시행되고 있다. 이와 함께 국가지리정보유통망을 통한 지리정보의 활용을 증진하기 위한 유통용 메타데이터 표준이 제정되어 있지만, 지리정보관리기관의 효율적인 지리정보 관리를 위해서는 부족한 부분이 많은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동 지침에 의거하여 ISO 19115에 부합되는 국가메타데이터 표준(안)을 제시하였다. 제시된 국가메타데이터 표준(안)은 유통용 메타데이터 표준을 모두 수용하고, 기존 메타데이터와의 비교분석을 바탕으로 효율적인 지리정보 관리를 위한 관리용 메타데이터 항목을 추가하여 총 13개 섹션으로 설계되었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국가메타데이터 표준(안)을 통해서 우선 사용목적에 맞는 다양한 지리정보를 검색하고 활용하기 위한 표준화된 기반이 구축되어 공공부문 및 민간부문의 GIS 활성화를 위한 커다란 초석이 마련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문헌분류법에서의 지역구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tructure of Geographical Division in Library Classification System)

  • 남태우;백혜경;이형미;정수진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9권4호
    • /
    • pp.189-214
    • /
    • 2008
  • 본 연구는 현 KDC 4판의 지역구분체계가 가지는 문제점을 지적하고 이에 대한 개선방안을 마련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주요 분류법들을 십진과 비십진으로 나누어 각각의 분류법에서 채택한 지역구분 원칙에 대해 분석하였으며, 아울러 한국, 미국, 일본의 국가기관에서 채택한 지역구분 기준에 대해 조사하였다. 이와 같은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KDC 4판 한국지역구분표의 개선안을 도출하였다. 또한 국민편의를 위해 마련된 공공기관의 행정구역분류체계와의 연관성 및 일관성 유지 방안과 아울러 행정지리에 의한 구분 이외의 다양한 지리현상을 반영한 추가적인 지역구분기준의 마련 방안을 제시하였다.

  • PDF

우리나라 해양지명 표준화에 관한 연구 - 해양지명 명명 사례조사를 중심으로 - (A Study on Standardization of Marine Geographical Names in Korea)

  • 임영태;최윤수;윤하수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19권6호
    • /
    • pp.55-65
    • /
    • 2011
  • 우리가 살고 있는 지역에는 이름 즉 지명이 있다. 바다 속 작은 바위에도 이름이 있다. 이를 해양지명이라 한다. 해양지명은 고유지명과 속성지명으로 분류할 수 있는데, 서론에서 언급한 해협, 만, 포 및 암(岩), 초(礁), 퇴(堆)등은 해양지명의 속성지명이다. 속성지명의 경우 이름을 붙이는 데는 일정한 법칙이 있다. 이를 통하여 우리나라 주변 바다에 많은 항해장애물인 암(岩), 초(礁), 퇴(堆)에 어떻게 이름을 명명하고 있는지, 현재 사용되고 있는 해양지명에 관하여 사례조사를 실시하였다. 또한 과거 해양지명의 속성분류와 현재의 속성 분류를 비교하고, 국립해양조사원에서 간행한 항해용해도에 사용되는 해양지명과 해양지명위원회에서 고시한 해양지명에 대해 조사 분석을 통하여 향후 해양지명의 표준화에 관한방안을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