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eographic Information

검색결과 4,240건 처리시간 0.033초

Geographic Ad hoc 라우팅을 위한 두 단계 위치 발견 알고리즘 (A Two­step Location Discovery Algorithm for Geographic Ad hoc Routing)

  • 길홍렬;김종권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3년도 가을 학술발표논문집 Vol.30 No.2 (3)
    • /
    • pp.616-618
    • /
    • 2003
  • 대부분의 Ad hoc 라우팅 프로토콜은 네트워크의 규모에 비례하여 경로 설정에 따른 오버헤드가 증가한다. 이에 반해 Geographic 라우팅 프로토콜은 노드의 지리적인 위치만을 이용하여 패킷을 forwarding하기 때문에 각각의 노드는 자신의 이웃 노드에 대한 정보만 유지하면 된다. 따라서 Geographic 라우팅 프로토콜이 큰 규모의 Ad hoc 네트워크 환경에 적합하다. 이러한 Geographic 라우팅은 목적지의 위치를 얻기 위해 Location service를 필요로 한다. 본 논문에서는 Geographic 라우팅 프로토콜을 큰 규모의 네트워크 환경에 적용할 수 있도록. 효율적인 Location service를 제공하는 TLD를 제안한다.

  • PDF

산불진화헬기 조종사에게 유용한 지리정보의 식별 및 공공 자료로부터의 획득 방안 (Identification of Usable Geographic Information for Pilot of Forest Fire Suppression Helicopter and Its Acquisition from Public Data)

  • 류영기;김만규;박종철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52-67
    • /
    • 2011
  • 본 연구는 산불진화헬기 조종사에게 필요한 지리정보를 식별하고, 식별된 지리정보를 공공기관의 자료로부터 획득하는 방안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산불진화헬기 조종사들은 7개의 자연지리 정보와 13개의 인문지리 정보를 필요로 한다. 이 중 국내 공공기관에서 제공하고 있는 지리정보들을 활용했을 때 다음의 15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표고와 주요 고지군, 하천(이상 자연지리 정보), 인구밀집 및 도시지역, 도로, 국립공원경계, 행정경계, 연료 재보급시설, 담수지, 문화재, 가스충전소, 주유소, 탄약고, 지상 송전선, 철탑 정보(이상 인문지리 정보)이다. 자연지리정보 중 조류서식지 정보는 구축이 필요하고 시정, 풍향, 풍속 정보는 제한적으로 획득 가능하므로 보완책이 필요하다. 인문지리정보 중 연료 추진 재 보급지 정보는 공공기관에서 제공하고 있는 지리정보를 활용한 GIS 공간분석으로 획득할 수 있다.

고해상도 위성영상을 이용한 북한지역 지리정보 구축 실험연구 (Acquisi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in North Korea Using High Resolution Satellite Image)

  • 사공호상;한선희;박진형;서기환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7권4호
    • /
    • pp.46-56
    • /
    • 2004
  • 남북한간 경제협력과 교류가 어느 때 보다도 활발하게 추진됨에 따라 북한지역에 대한 지리정보의 수요가 날로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 이렇다 할 방법을 찾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이 연구에서는 고해상도 위성영상을 이용하여 북한지역의 지리정보를 획득하는 방안을 모색하였다. 실효성 있는 연구결과를 도출하기 위하여 북한의 사례지역에 대해 실제로 지리정보를 구축하고, 위치정확도도 검증하였다. 실험연구 결과, 총 52개 항목의 지리정보를 추출하였다. 또한 스테레오 영상의 수평 및 수직오차는 각각 4.6m와 0.9m로 상당히 정확하였으며, 단영상의 수평오차는 약 9m 정도로 스테레오 영상보다는 크지만 북한관련 업무나 연구의 기초자료로 만족할 수 있는 수준으로 나타났다.

  • PDF

연안역통합관리를 위한 GIS 기반 해양정보학 (GIS-based Ocean Informatics for Integrated Coastal Management)

  • 김종규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16권2호
    • /
    • pp.227-237
    • /
    • 2004
  • Recently development trends in information technology expand the activity boundaries for human living beyond coastal zones. These rapid changes of paradigm are stimulating scientists and strategists to be encouraged in making adequate model for marine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MGIS) and their applications. Coastal zones are places which are affected by many factors, such as water quality, tide, wave, atmosphere, population, industry, etc. Therefore information related to the coast has to be integrated and analyzed for managing it efficiently. GIS-based Ocean Informatics is suited for those purposes and used in the study for establishing and managing coastal geographic and environmental information system. This paper reviews the properties of ocean and coastal spaces, then defines some MGIS related terminologies for clarifying the scope of MGIS boundaries. In this study, coastal geographic information is established by digital geographic information and digital terrain information. Digital coast chart having information on digital chart and map can merge and analyze various coastal information and can be a useful tool for the coastal integrated management.

Simulating Pedestrian Evacuation Using Geographic Information Technologies

  • Jingjing, Shi;Hui, Lin
    • 대한원격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원격탐사학회 2003년도 Proceedings of ACRS 2003 ISRS
    • /
    • pp.414-416
    • /
    • 2003
  • Pedestrian assemblage is now a normal phenomenon in modern cities. To maintain an unblocked traffic situation, protect the pedestrians' safety and make preparedness for any emergencies is an important task for police department. Modeling pedestrian dynamics and simulating evacuation process can provide useful information for make accurate decisions. In this paper, by virtue of geographic information technologies, the authors proposed a conceptual framework to simulate pedestrian dynamics and evacuation in an open urban environment.

  • PDF

수치지도 지리조사 자료의 표준화 및 활용 (Standardization and Application of Geographic Survey Datas in National Digital Map)

  • 이현직;유지호;이혁호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29-40
    • /
    • 2012
  • 현재 수치지도를 비롯한 모든 공간정보의 속성정보를 취득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현장에서 직접적인 조사를 수행하는 지리조사가 일반적이다. 그러나 수치지도 제작을 위한 지리조사는 수치지도에서 표현하는 모든 지형지물에 대한 현장 직접조사를 수행하여야 하기 때문에 지리조사의 범위가 매우 광범위하다. 또한 현재의 지리조사는 지리조사원도(종이지도)를 이용하여 수작업에 의한 조사방법을 이용하기 때문에 조사에 많은 인력, 경비, 시간이 소요되고 있다. 최근 일부 지리조사를 휴대용 및 차량용 MMS(Mobile Mapping System)를 이용하여 전산화 정보를 수집하고 있으나, 직접적으로 수치지도의 제작에 이용하기 위해서는 해결해야 할 문제점들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현행 지리조사 기준 및 방법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국내 외 공간정보 구축 및 서비스 기관의 지리조사 방법을 조사하여 수치지도 제작에 적합한 지리조사 기준 및 방법을 제시함으로써 수치지도 제작 업무의 효율성을 높이고 수치지도의 최신성 및 신뢰도 향상과 지리조사 자료의 활용성을 증대시켜 전국기반 수치지도의 활용성을 극대화 하고자 한다.

연관 키워드 기반의 지리 및 지역정보 검색시스템 : "경기21서치 2.0" (Gyeonggi21Search 2.0: A Geographic and Regional Information Retrieval System based on Correlated Keywords)

  • 윤성관;이용;장용희;성동현;권용진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17권1호
    • /
    • pp.1-14
    • /
    • 2009
  • 웹에서 다양한 웹 지리 지역정보를 검색할 수 있는 시스템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의 웹 검색 시스템은 사용자가 키워드로 지역 웹 문서를 검색하고 해당 웹 문서를 지도와 비교하여 공간정보를 취득하며, 다른 관련 정보를 얻기 위해서는 검색과 비교를 반복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검색 과정을 단순화하기 위해 웹 지리 지역정보에 포함된 지리공간단어를 활용하고 웹 정보와 공간정보가 유기적으로 통합된 검색시스템을 제안하였다. 이를 위해 현재의 웹 공간으로부터 "현실 지식 응용"이라는 3-계층 공간 모델을 제안하였다. 이 구조에서는 계층 간 정보가 관련성이 높도록 연결되어 있고, 사용자는 연결 구조를 탐험하는 것만으로 웹 지리 지역정보 및 지리적인 특성에 대한 다양한 관계 정보, 그리고 공간정보를 효율적으로 얻을 수 있었다.

  • PDF

증강현실기반의 지리 학습 콘텐츠 활용 사례연구 (A Case Study for Augmented Reality Based Geography Learning Contents)

  • 이석준;고인철;정순기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96-109
    • /
    • 2011
  • 최근 정보통신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GIS)의 사용이 점차 일반화되고 그 응용분야와 활용범위가 확대되고 있다. 특히, 지리정보 관찰과 학습에서도 GIS의 활용은 긍정적인 효과가 기대되며, 2차원 시각 교보재인 사진이나 영상물에 비해 보다 사실적으로 지리적 특성을 파악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다소 복잡한 지형정보의 효과적인 시각화는 학습자로 하여금 지리정보 이해를 도울 뿐만 아니라, 지리적 정보를 파악하고 분석하는 능력을 키울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지리 학습에서 활용할 수 있는 학습보조자료 개발을 목표로 증강현실기술을 이용한 다양한 지형정보 가시화 기법과 사례를 연구하였다. 더불어 증강현실기반의 지리 학습을 위해, 기존에 구축된 GIS 데이터의 가공과정과 가공사례를 소개함으로써 3차원 지리정보의 효과적 가시화를 위해 증강현실 기술을 적용할 가치가 있음을 나타내었다.

지형정보체계를 응용한 토양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arthwork Volumes Using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s)

  • 신봉호;엄재구;양승용;송원재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181-186
    • /
    • 1994
  • 본 연구는 GIS의 DEM기법을 응용한 양에 관한 연구로서 수치시험 1, 2를 통해 지형정보 즉, 공간데이타(X, Y)와 속성데이타(Z)의 획득방법과 각각의 지형정보 획득방법에 따른 단면적 결정방법 그리고 토양 산정의 정확도를 분석하여 효율적인 지형정보의 획득법과 최적토양 산정방법을 제시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결과로부터 격자기반의 DEM기법을 응용한 토양 산정시 격자를 기반으로 하여 지형변환점의 지형정보를 임의유출(Random)방식으로 획득하고 지형을 비선형, 불등간격으로 해석하여 토양을 산정하는 방법이 매우 효율적임을 알 수 있었다.

  • PDF

Development of a GML 3.0 Encoding System Using Mapping Rules

  • Lee Yong Soo;Kim Dong O;Hong Dong Sook;Han Ki Joon
    • 대한전자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자공학회 2004년도 학술대회지
    • /
    • pp.723-728
    • /
    • 2004
  • Recently, because of the extensive use of geographic information in the various fields, the requirement for the easy circulation and utilization of the various geographic information among the individuals, organizations, societies and countries is raised. In order to support the interoperability of the heterogeneous geographic information in the various fields, OGC(Open GIS Consortium) proposed the GML(Geography Markup Language) specification that defines the XML encoding rule about the heterogeneous geographic information. In addition, ISO/TC 211 adopted the GML specification to make it as the international standard. Therefore, in this paper, we first analyzed the GML 3.0 specification in detail that can support the interoperability of the heterogeneous geographic information. And then we suggested and applied the mapping rule that define the encoding method to improve the encoding process easily and efficiently. Finally, we designed and implemented the GML 3.0 encoding system using the mapping rule to encode the geographic information that was constructed in spatial databases into the GML 3.0 document. Especially, we used ZEUS as a spatial database system to test our encoding system in this paper.

  • PDF